• 지식·정보
  • 문헌DB
  • 논문통합 검색

논문 통합검색

지역사회 사례관리체계에서 공공과 민간의 역할, 이대로 괜찮은가? - 경직된 실천과 파편적 제도 -

Case Management Practice and Local Partnership between Public and Independent Sector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15, vol.17, no.1, pp.241~266(25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981.2015.17.1.006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김용득

(성공회대학교)

초록


사례관리는 복합적 욕구를 가진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실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사례관리는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실천되고 있다. 최근 재정립된 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중 하나가 사례관리 활동이다. 공공 영역에서도 시군구에 설치된 희망복지지원단에 통합사례관리사를 배치하여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공공과 민간 영역을 망라하여 사례관리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는 이러한 움직임은 지역사회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삶의 욕구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그러나 다양한 욕구의 부응에 필요한 포괄적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례관리 체계가 지역 내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풀어야할 근본적인 과제들이 있다. 공공과 민간의 역할은 어떻게 분업되면서 통합되어야 하는가? 공공과 민간 영역 내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여러 사례관리 프로그램들의 분절과 역할중복은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지역사회에서 서비스 간 연계와 관리는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질문들을 통해서 사례관리 실천의 맥락에서 공공과 민간 관계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대안적인 역할분담 방안을 제시하였다.


Case management has been viewed as an effective practice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having complex needs. In Korea, case management is widely used in the service delivery of public and independent sectors. Furthermore, case management has actively been adopted as public sector social work practice recently. In this situation, we are expect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eprived people in the community. But most of related studies are reporting the outcome negatively as like‘service with no solution’, ‘heavy striving but no improvement’, ‘service linkage without network system’. On these evaluations, this study raised two questions and explored the context of those evaluations. The first is “Are we misusing case management approaches?” The second is “ Are there any systematic barriers in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social services?”Through exploration on these questions, two fundamental problems were found in the policy on public side case management practice in Korea. The first i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the problem of over focusing on the aspects of clinical procedure and intervention rather than coordination. Second is the weakness in the partnership working resulting from institutional vulnerability of social service system. Because of these underlying barriers, in spite of striving efforts of case managers,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practice is limited. To cope with these problems, relevant model to public social service area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ore flexible understanding of case management practice. And cooperative system between public and independent sector should be set up.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