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논문통합 검색

논문 통합검색

회상요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15, vol.46, no., pp.133~164(31 pages)

UCI : http://uci.or.kr/G704-002139.2015.46..003

사회복지연구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유석분

(송곡대학교); 김민석

초록


회상요법은 노년기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정신건강상의 문제에 대한 유익한 개입으로 알려져 있다. 광범위한 적용에도 불구하고 회상요법의 효과에 대해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결과들을 객관적으로 비교 통합할 수 있는 메타분석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총 67편의 연구물이 수집되었고 각 성과변수별 평균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평균효과크기는 랜덤효과모델에 기초하여 추정되었다. 평균효과크기의 이질성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g=1.413), 자아통합감(g=1.576), 자존감(g=1.389), 인지(g=1.04), 생활만족도(g=1.162)의 효과크기는 모두 1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연구방법론상에 편의(bais)의 정도가 높은 연구물이 포함되어 나타난 결과였다. 두 번째, 평균효과크기의 과대추정과 관련된 연구방법론상의 특징은 적은 표본수, 평가자 눈가림 미수행이였다. 세 번째, 사전 측정시점에서 우울 수준이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했을때 회상요법의 우울의 평균효과크기는 높은 편이였다. 네 번째, 회상요법의 유형별 효과성의 정도는 성과변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우울의 평균효과크기는 단순회상이 적용되었을 때나 생애회고가 적용되었을 때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과 자아통합감의 경우엔 생애회고나 생애회고 치료의 평균효과크기가 단순회상이 적용되었을 때의 평균효과크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입횟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의 차이도 성과변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자존감과 자아통합감의 경우엔 보다 많은 횟수의 개입이 있을때 보다 효과적이였고 우울감의 경우엔 개입횟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회상요법의 실행과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the reminiscence therapy has the potential to promote the psychosocial adaptation and solve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older adults. In contrast to the popular application of it, the effectiveness of reminiscence therapy has not reviewed systematically. This study is to synthesize and compare the quantatic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meta-analysis. The total 67 of studies are analysized through the meta-analysis. Depression, ego integrity, self esteem, cognition, life satisfaction are selected as the outcome variables. For each outcome variables, the standardized mean effect sizes are estimated on the random effect model. It is explored the factor conducive to the heterogeneity of the effect siz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effect sizes of depression(g=1.413), ego integrity(g=1.576), self esteem(g=1.389), cognition(g=1.04), life satisfaction(g=1.162) are more than g=1, which is overestimated by the poor quality of studies. Second, the overestimation of effect sizes is mainly involved with the small samples and the nonblinded outcome assessor. Third, the mean effect size of the studies that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high level of depression at the pre-test is more high. Fourth, the mean effect sizes of simple reminiscence, life review, life review therapy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outcome variables. Fifth, the mean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intervention sessions a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outcome variables. The important suggestion about the practice and the study of reminiscence therapy is made on this result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