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논문통합 검색

논문 통합검색

휴먼서비스조직 돌봄서비스제공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Scale for Care Service Providers Working a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Focusing on Care Workers for the Elderly

한국노년학

2016, vol.36, no.1, pp.57~78(21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573.2016.36.1.005

한국노년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노년학

김나영

(대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휴먼서비스조직 돌봄서비스제공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DeVellis(2011)와 엄명용과 조성우(2010)의 척도개발 절차를 토대로 6단계의 척도개발 절차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측정개념 구체화’단계로, Spreitzer(1995)가 제시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4가지 하위차원인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 영향력을 본 연구에서 다루는 심리적 임파워먼트로 개념화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예비문항 구성 및 측정양식 결정’단계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 브레인스토밍, 기존에 개발된 임파워먼트 척도 문항 고찰, 그리고 연구자가 개발한 문항 등을 포함하여 총 67개의 1차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내용타당도 검증’단계로, 전문가 그룹과 요양보호사 그룹을 대상으로 총 4차에 걸쳐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정 보완된 예비문항들에 대해 전문가 대상 내용타당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네 번째 단계는 시설 재가급여 제공 요양보호사 각각 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인‘본 조사 및 타당도 검증’단계에서는 서울 경기지역 22개 노인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7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687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끝으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일관성 신뢰도 계수를 확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지표구성에 있어 브레인스토밍과 FGI 등을 통해 돌봄서비스제공자의 관점과 의견을 적극 반영한 점, Spreitzer(1995)가 제시한 4가지 하위차원 각각을 유지하면서 돌봄서비스제공자의 근무 상황 및 여건을 반영한 척도를 개발한 점, 독립된 4가지 하위차원을 가진 모델과 2차 요인모델의 모형적합도가 모두 안정적으로 확보되어 총점과 각 요인별 점수 모두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의 이론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scale for care service providers working a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For this study, the scale development is achieved according to six stage procedures. The first stage is the procedure of ?the clarity of construct concept'. In this stage, the four sublevel of Spreitzer(1995)'s psychological empowerment -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 are grounded as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care service providers. The second stage is the procedure of ?the generation of a large pool of items and the format for measurement'. The third stage is the procedure of the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In this stage, total four events of focus group interviews are performed with the professional group and the care worker group. And, the survey on content validity is evaluated with professionals. In the fourth stage, ?the pilot test' is conducted to 10 care workers working at facilities and homes. In the fifth stage, the procedure for?main survey and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the survey is performed to 718 care workers employed at 22 long-term senior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he final 687 members’responses a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result, the analyse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items analysis, the verification of scale construct validit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verification of convergent validity and distinction validity are conducted. Finally,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is checked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is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developed scale. The developed scale has the theocratical implications such as that views and opinions of care service providers are actively reflected through the brainstorming and FGI, the scale is developed that reflects work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care service providers while each of the four sub-dimensions suggested by Spreitzer(1995) is maintained and the total score and each factor's score are available to use since model adequacies of all models are stably secured.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