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과 일본의 장기요양보장제도 도입 환경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roductory Environments for the Long-term Care Scheme of Korea and Japan

노인복지연구

2004, vol., no.24, pp.299~323(24 pages)

UCI : http://uci.or.kr/G704-001512.2004..24.005

한국노인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노인복지연구

엄기욱

(군산대학교)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로서 노인간병보험 구상을 제시하고, 2005년부터 시범사업을 거쳐, 2007년부터의 시행을 목표로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제도는 사회보험의 운영원리를 기본 틀로 제시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고려한다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보다 앞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인 개호보험제도를 도입 시행하고 있는 일본의 제도 도입당시의 환경과 우리나라의 환경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조세방식이 아닌 보험방식을 통한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의 도입은 시기상조임을 다음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첫째로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긴 하지만 고령화율이 이제 겨우 8%를 넘은 상황에서 사회보험을 통한 장기요양서비스의 제공은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다. 둘째로는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정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의 시행은 제도만이 존재하고 서비스의 부재가 우려된다. 셋째, 노인 장기요양에 대한 1차적 국가책임의 범위와 한계가 논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넷째, 노인간병보험의 기본 이념과 목적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섯째, 제도도입을 위한 국민적 합의도출 노력이 미약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도도입을 위한 준비와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입의 당위성이 미약한 현 상황에서 또 하나의 사회보험을 도입하는 것은 국민의 국가정책 특히 사회보험에 대한 불신을 더할 뿐이다.


Recently 'Nursing Insurance for Elderly' was proposed as a long-term care scheme for the elderly. The demo project will be performed in 2005 and the full-scale service will be performed from the year 2007. Although this scheme proposed the operational principles of social insurance as a basic framework,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f the environments surrounding senior welfare systems are considered. Accordingly, the environments were compared between Korea and Japan at the time of introduction, which has introduced a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before us and executed the scheme stably. Through this, it was addressed that introducing the long-term care scheme not through taxation but through insurance is much too early for us to accommodate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First of all, although our society is aging quickly, the rate of the aged is a little more than 8% only.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induce the national agreement on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as a form of social insurance. Second, as there is not a secure foundation for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service, it might be the absence of service while the institutions are there, if the scheme is introduced hastily. Third, the scope, the preliminary respon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 on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have not been discussed. Fourth, the basic philosophy and purpo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are not apparent or clear. Fifth, enough efforts to induce national agreement to introduce the corresponding institution were not made. If another social insurance is introduced under these circumstances where the environments to introduce a new institution were not prepared as seen in above, it will add distrust national policies, in particular to social insurance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