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인의 보편적 신뢰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시민의 사회참여행동과 사회적 불평등 인식의 영향력 검증

Generalized Trust, Civic Engagement, and Inequality: Effect of Civic Engagement and Inequality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13, vol.15, no.4, pp.1~28(27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981.2013.15.4.007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강철희

(연세대학교); 이상철

초록


본 연구는 경제적 안정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보편적 신뢰에 초점을 두고 이에 대한 영향 요인을 검증한다. 보편적 신뢰의 영향 요인으로 논의되고 있는 시민의 사회참여행동과 사회적 불평등 인식의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검증하면서 보편적 신뢰에 대한 이론적 토대의 확장과 더불어 정책적 함의를 모색한다. 특히 이전 연구와는 다르게, 시민의 사회참여행동과 사회적 불평등 인식의 상호작용 효과에 주목하면서 이에 대한 검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의 인구현황에 근거해서 무작위적으로 조사된 512명의 자료를 활용한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보편적 신뢰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이웃 및 일반시민에 대한 신뢰의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국회와 정당과 같은 정치기구에 대한 신뢰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 둘째, 보편적 신뢰의 결정요인 중 기부 및 자원봉사 등을 통해 측정한 시민의 사회참여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지도층에 대한 정서적 거리를 통해 측정한 사회적 불평등 인식의 경우, 보편적 신뢰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큰 경우 보편적 신뢰의 수준은 낮아진다. 넷째, 시민의 사회참여행동과 사회적 불평등의 상호작용효과는 보편적 신뢰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불평등 인식 수준이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 모두에 있어 시민의 사회참여행동의 몰입도가 높을 경우 보편적 신뢰는 상대적으로 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이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논의한다.


By using the data about Koreans’ Perceptions on Social Elites conducted by the authors and the Korea Research, his article comprehensively examines effect of civic engagement suggested by Putnam (1993) and of inequality suggested by Uslaner (2003) on generalized trust. In addition, it also attempts to examine interaction effect of civic engagement and inequality on generalized trust. The authors present a multiple regression model on the effects of civic engagement, inequality, and interaction on generalized trust, controlling for other related factors.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civic engagement is not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generalized trust, inequality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generalized trust.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ivic engagement and inequality on generalized trust. Finally, this article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upon the finding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