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해외귀국 유아의 적응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유아와의 비교를 통해서 -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daption of Children Returning from Abroad - With a Focus on the Comparison of Children Returning from Abroad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한국영유아보육학

2015, vol., no.91, pp.1~23(22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724.2015..91.004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영유아보육학

현정환

(서울신학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해외귀국 유아의 적응문제를 보육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다문화가정 유아와의 비교를 통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이런 인식이 보육교사의 다문화 보육경험, 다문화 보육효능감 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675명을 대상으로 귀국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예상 적응수준에 대한 기대치를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귀국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기대치 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 보육경험이 있는 보육교사는 경험이 없는 보육교사에 비해 다문화가정 유아보다 귀국 유아의 적응수준을 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 보육효능감이 강한 보육교사일수록 유아의 적응수준을 높게 평가하였다. 이 결과는 보육교사들은 다문화 보육 문제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국적이나 인종의 차이가 아니라, 타문화에 대한 경험의 차이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여기에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보육경험이나 다문화 보육효능감의 인지가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daption of children returning from abroad by focusing on a comparison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fulfill this aim,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a survey of 657 teachers. The teachers were asked about their expectations regarding the adapting ability (i.e., the adapting abilities of languag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group activity participation, following of social norms, 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who returned from abroad. Also,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a survey of children who returned from abroad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show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returning from abroad and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oreover, teachers who have more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 childcare tend to underestimate the adapting ability of children who returned from abroad compared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lso, the mor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childcare, the higher she tends to estimate children’s adapting ability in general. These results show tha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childcare are not regarding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about children’s nationality or race, but rather about whether teachers have experience with foreign cultures. Also, through this study, it has become more obvious that teachers’ efficacy and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 childcare play a critical role in dealing with problems in multicultural childcare.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