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부모 가족의 기간이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로

The Pathways From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to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한국가족복지학

2015, vol., no.47, pp.5~28(23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964.2015..47.001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가족복지학

김현숙

(전주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기간이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중1패널 1차년, 2차년, 3차년의 3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3차년의 가족구성에서 양부모와 한부모로 응답한 학생과 학부모 2,195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부모, 한부모 1년, 한부모 2년, 한부모 3년의 네 집단 간 경제수준, 부모의 삶 만족도, 방임적 양육태도, 자녀의 자존감, 자녀의 정서적 적응의 차이분석 결과 경제적 수준과 부모의 삶 만족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족의 기간은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경로를 분석한 결과는 한부모 기간→경제적 수준→자존감→정서적 적응, 한부모 기간→경제적 수준→방임적 양육태도→자존감→정서적 적응, 한부모 기간→경제적 수준→방임적 양육태도→정서적 적응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자녀의 정서적 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자존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athways that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influences in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Data was obtained from the wave 1st, 2nd and 3rd for 3 years in Middle School 1 Panel of the survey on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0. This study selected 2,195 objects who are from single parenthood or two parenthood in the wave 3rd. Analysis method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results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two parenthood, single parenthood one year, two years and three years) in economic status, life satisfaction and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of parent,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adjustment ha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 Second,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had not direct influences but had indirect influences in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to analyze the pathways were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 economic status → self-esteem → emotional adjustment,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 economic status →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 self-esteem → emotional adjustment, duration of single parenthood → economic status →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 emotional adjustment. Third, as a results of examining through a total effect, the variable that influences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most is self-esteem influence.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