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어판 가족보호요인척도(Inventory of Family Protective Factors-Korean Version: IFPF-K)의 구성타당도 및 내적일관성 신뢰도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Inventory of Family Protective Factors-Korean Version(IFPF-K)

한국가족복지학

2015, vol., no.48, pp.85~111(26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964.2015..48.001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가족복지학

정소연

(서울여자대학교)

초록


Gardner와 동료들(2008)은 가족의 보호요인이라는 개념이 ‘적은 수의 스트레스원’, ‘적응적 평가’, ‘사회적지지’, ‘보상적 경험’과 같은 4개의 하위요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에 기반하여, 가족보호요인척도(Inventory of Family Protective Factors)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가족보호요인척도(IFPF-K)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내적일관성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구조화된 조사도구를 활용한 설문조사가 2014년 8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약 6주간 서울S구에 거주하고 있는 가족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470가족의 응답내용이 분석되었다. IFPF-K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먼저 1요인 모형과 4요인 모형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결과 4요인 모형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1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IFPF-K의 경우 문항중복의 가능성이확인되어 4개 문항을 삭제한 축약형 척도를 만들게 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및 Cronbach’s α값 산출 등을 통해 원척도와 축약형 척도를 비교하였다. 축약형 척도는 요인구조 및 하위요인간 상관관계에있어 IFPF-K 원척도와 매우 유사하였을 뿐 아니라, 보다 향상된 적합도 지수를 보여주었다. 내적일관성 신뢰도의 경우 IFPF-K 원형이 축약형 보다 약간 더 높은 α값을 보였으나 축약형 역시 .90 이상의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논의에서 연구의 의의, IFPF-K 원형 및 축약형 척도 활용에 대한 제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 등이 기술되었다.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concept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was consisted of 4 factors(fewer stressors, adaptive appraisal, social support, and compensatory experiences), Gardner et al. (2008) developed “Inventory of Family Protective Factors (IFPF).”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orean version of IFPF (IFPF-K). For this study, a survey utiliz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rom mid August to late September, 2014. The study sample was the families living in S-Gu, Seoul, Korea and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470 famil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tor structure of IFPF-K,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implemented. At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process, the fit indices of 1-factor and 4-factor model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latter. Since item redundancy was detected, however, a short version of IFPF-K was newly presented and the two versions of the scale were compared at the later stage of the analysis process. The short version displayed the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the original version in terms of the interfactor correlations and factor structure. In addition, it showed a little higher fit statistics than the original IFPF-K. Although the original version had a higher Cronbach’s α, the α of the short version was also above .90, indicating a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In discussion, some critical issues regarding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IFPF-K as well as the implications and meaningfulness of the study results were described.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