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 유아기 놀이의 세대별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Generation Changes of Early Childhood Play in South Korea

한국보육학회지

2015, vol.15, no.2, pp.263~293(30 pages)

UCI : http://uci.or.kr/G704-SER000008863.2015.15.2.001

한국보육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보육학회지

김성원

(고신대학교); 권미량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만 20~80대의 세대별로 유아기에 즐겼던 놀이의 다양한 내용과 방법들을 조사하여 한국 유아기의 놀이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유아기 놀이의 연령별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만 70∼80대(1924∼1943년 출생)의 놀이에서는 땅과 자연으로 하는 놀이, 먹을거리와 함께 발전하는 놀이, 자연과 일상으로 놀잇감 만들기와 같은 특성을 보였다. 둘째, 만 50∼60대(1944∼1963년 출생)의 놀이는 전쟁을 소재로 한 놀이, 논과 밭에서의 놀이, 운동 형식이 있는 놀이와 같은 특성을 보였다. 셋째, 만 30∼40대(1964∼1983년 출생)의 놀이는 이름이 있는 놀이, 아지트에서의 놀이, 가족과 동네에서 전수받은 놀이와 같은 특성을 보였다. 넷째, 만 20대(1984∼1993년 출생)의 놀이는 가족에게서 전수받은 놀이, 상품화 및 기계화 된 놀이, 유아교육기관과 실내에서의 놀이와 같은 특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한국 유아기 놀이의 변화를 살펴보면,‘놀이장소가 자연에서 실내로 바뀌다’,‘함께하는 놀이에서 혼자 하는 놀이로 바뀌다’,‘일상생활의 놀이에서 구조화된 놀이로 바뀌다’,‘가정과 자연에서의 놀이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로 바뀌다’의 놀이 변화 특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유아기 놀이의 시사점을 살펴보면,‘놀이대상은 공동체와 함께하는 놀이로’,‘놀이내용은 의식주 생활과 관련된 놀이로’,‘놀이방법은 교류와 움직임이 있는 놀이로’,‘놀이환경은 자연 속에서 찾아가는 놀이로’가 유아기 놀이의 시사점으로 나타났다.


And so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period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lay culture by surveying the various contents and methods of early childhood games enjoyed by 7 different generations; people in their 20s 30s, 40s, 50s, 60s, 70s and 80s. Also, we will explore how the games’characteristics changed throughout generations, and check where this culture is heading. The result of the study above is the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arly childhood plays according to generations are: 1. The plays of people in their 70-80s(born 1924-1943) showed characteristics of games using earth and nature, games advancing by using edible materials, and making toys out of nature and everyday life. 2. The plays of people in their 50-60s(born 1944-1963) showed characteristics of war-related games, games possible in farmlands, and games in athletic forms. 3. The plays of people in their 30-40s(born 1964-1983) showed characteristics of games with specific names, games using hideouts, and games taught by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4. The plays of people in their 20s(born 1984-1993) showed characteristics of games taught by family members, games that had been commercialized and mechanized, and games conducted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nd indoors. Next, when we looked into the changes of Korean early childhood plays, there wer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such as:‘playground changed from nature to indoors,’ ‘sociable play to solitary play,’‘everyday life games to structured games,’and‘in home and nature to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Lastly, looking in to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plays of Korea, we discovered that‘children should play all together as a community,’‘contents should be related with everyday life,’‘methods should be interactive and with activity,’‘environment should be in nature, discovering new thing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