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부모 자녀의 사회적 지지, 일상생활 스트레스, 학교적응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 빈곤과 비빈곤의 다집단 분석 -

The Process Analysis Effect of Social Support, Daily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Single Parent Family -Multi-Group Analysis on the Poor and Non-poor-

한국아동복지학

2015, vol., no.52, pp.279~307(28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946.2015..52.009

한국아동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아동복지학

김현숙

(원광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 자녀의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빈곤 학생과 비빈곤 학생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익산교육지원청의 교육복지실태조사 3차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교 3학년 한부모 자녀 397명(빈곤 185명, 비빈곤 212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의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 있어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은 유의미한 매개역할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총효과를 통해 한부모 자녀의 행복감에 가장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빈곤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빈곤 학생의 경우 모든 경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빈곤 학생의 경우 ‘일상생활 스트레스→학교적응’의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daily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poor and non-poor stude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were obtained from Wave 3 of the survey on present condition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in the Office of Education in Iksan, Jeoollabuk-do, Korea. This study selected 397 middle school third-grade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poor, 185; non-poor, 212). Data were examin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AMOS 18.0, and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aily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di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for a total effect, the variable that most influenced the happiness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was social support. Third,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oor and non-poor students. Among the poor students, all pathway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whereas among the non-poor students, the “daily stress→school adjustment” pathway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