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ollaboration-based Instruction Model for Self-Determination on Career Attitude, Self-Determination, and Transition Goal-Attain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장애와 고용

2017, vol.27, no.3, pp.57~87(30 pages)

UCI : http://uci.or.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장애와 고용

이현명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이숙향

초록


연구목적: 장애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교육은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4명(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진로인식’, ‘진로탐색’, ‘진로준비’, ‘부모협력’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방과후 시간에 총 1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험집단 학생들의 전체 목표달성척도(GAS) 평균점수는 55.88점으로 기대 수준 이상에서 전환목표를 달성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장애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향후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given that it has an important effect on 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ollaboration-based Instruction Model for Self-Determination(CIMSD) on career attitude, self-determination, and transition goal-attain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high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province of Gyeonggi-do.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IMSD included four areas: career awareness, career exploration, career preparation, and parents collaboration. CIMSD was used in career education process.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3 sessions during the after school hour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areer attitude and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lso, the overall GAS mean score of transition goa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55.88. That is,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transition goal more than expected level of outcome scor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about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ovided.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