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기기

이용안내지표구성 및 가이드라인

지표구성 및 가이드라인

계층분석기법, 전가문가 의견과 국내외에서 공신력을 인정받은 관련지표 반영

공공기관 사회공헌 자가진단 지표 및 가이드라인
지표구성 및 가이드라인
공공기관의 사회공헌을 정밀하게 진단하기 위해서 지표를 인프라와 전략, 운영, 피드백을 포함한 4개 대분류와 조직, 전략체계, 핵심성과지표(KPI), 자원봉사, 평가 등 17개 소분류로 구성하였으며, 반드시 대응해야할 1단계 문항 72개와 선도수준인 2단계 문한 49개로 총 121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각 지표별 비중은 계층분석기법(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하여 사회공헌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와 공공기관 사회공헌 전담자의 설문의견을 합산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 인프라가 30%, 전략 38%, 운영 22%, 피드백 10%로 진단결과를 점수화 하였다.
문항별 비교 통계
대분류 소분류 비중 문항수 연관지표(문항수)
1단계 2단계 ISO26000 경영평가 동반성장 인권경영 DJSI KoBeX
I 인프라
30%
1. 조직 7% 4 3 - 3 - - 1 6
2. 제도 및 시스템 9% 5 3 4 5 - - 4 -
3. 리더십 9% 3 3 - 5 - - - 5
4. 의사결정 및 참여 5% 3 6 5 5 - - 9 5
전략
38%
5. 미션 및 비전 12% 4 1 - 4 - - 4 5
6. 전략체계 14% 3 2 - 5 - - 4 5
7. 핵심성과지표(KPI) 9% 2 3 - 2 - - 3 2
8. 사업규모 3% 3 2 2 - - - 2 3
운영
22%
9. 영역 및 대상 5% 5 1 - 3 - - 2 4
10. 업의 특성 연계 사업 6% 4 3 - 4 - - 6 4
11. 복지적 관점 사업 5% 5 2 - 3 - - - 3
12. 자원봉사 3% 9 5 3 4 - - - 3
13. 동반성장사업 2% 6 2 8 8 8 - 8 8
14. 사회적 일자리 창출 1% 4 1 5 3 - 5 5 5
피드백
10%
15. 평가 3% 4 7 1 4 - - 4 4
16.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5% 4 4 8 4 - - 4 4
17. 외부보고 및 홍보노력 2% 4 2 - - - - 2 2
  100%   100% 72 50 36 62 8 5 58 68

본 지표의 목적이 또 하나의 새로운 평가지표를 만드는데 있지 않고 사회공헌 관련 기존의 평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에 있는 만큼 새로운 지표로 구성하기 보다는 기존에 국내외에서 공신력을 인정받은 관련 지표들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가이드라인에 활용된 국내외 사회책임 관련 지표들은 ISO26000, 공공기관 경영평가 중 사회책임 관련 지표, 공공기관 동반성장평가, 인권경영가이드라인, 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평가, KoBEX SM(Korean Business Ethics Index-Sustainability Management)평가 등이다.

ISO 26000 : 국제표준화기구(ISO)가 2010년 제장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으로 지배구조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거래, 소비자이슈, 공동체 참여 및 개발 등 7대 의제를 사회적 책임 이슈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실행지침과 권고사항 등을 담고 있음. 공공기관 사회공헌가이드라인지표에서는 공공기관의 사회공헌에 영향력이 큰 지배구조, 인권, 노동관행, 공정거래, 공동체 참여 및 개발 관련 일부지표를 활용함.

공공기관 경영평가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 48조에 근거하여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자율 ·책임경영체계 확립을 위해 매년 경영노력과 성과를 평가하는 제도로 2012년부터 사회공헌 관련 지표가 포함되어 평가되고 있음. 경영평가를 받는 전 공공기관 지표에 ‘경영전략 및 사회공헌‘ 지표가 포함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강소형기관을 제외한 중앙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이 대상이며 지표는 비계량 지표인 전략기획(2점)과 계량지표인 국민평가(2점), 정부3.0(1.5점), 경영공시(1.5점) 정부권장정책(5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공기관들이 대응하고 있는 사회공헌 지표는 비계량 지표인 전략기획내의 지표로 세부 지표 3개 중 1개에 해당하는데 사회공헌, 사회적 일자리창출, 공장사회 및 동반성장 지표임.

공공기관 동반성장평가 : 공공기관의 동반성장 지원실적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동반성장에 공공기관이 선도적 역할을 수행토록 유도하기 위해 『상생협력법』 제 19조 (공공기관 중소기업 협력 촉진)에 의거, 2011년부터 산업자원통상부 산하 동반성장위원회에서 평가를 주도하고 있음. 공공기관의 특성을 반영한지표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관장의 동반성장 추진의지‘,’핵심과제 추진실적’,’기타과제 추진실적‘,’중소협력사 체감도 조사'로 협력사와의 공정한 경쟁 보장과 중소기업 역량강화가 주요 내용임.

인권영영가이드라인 : 2011년 UN인권이사회가 발표한 『UN 기업과 인권 이행지침』을 근거로 우리 기업들이 인권경영 관련 세계적 추세에 적극적으로 발맞춰 나갈 수 있도록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제정. 본 가이드라인은 인권경영 및 차별금지 관점에서 활용하고 있음.

DJSI평가 : 기업의 가치를 재무적 정보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성과와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평가 모형으로 세계 최대 금융정보사인 미국 다우존스와 지속가능경영지수 글로벌 선도기업인 SAM사가 개발. 1999년부터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2,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평가. 편입기업을 대상으로 투자하는 펀드가 존재할 만큼 전 세계에서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는 지표임. 전년도 시가총액 기준으로 전 세계 상위 2,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처청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반을 평가하는 국제적 지표로 산업별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경제, 환경, 사회 측면에서 공통항목과 59개 산업별 항목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며 산업별 항목은 130여 지속가능경영 항목에 대한 가중치 적용

KoBex SM 평가 : 지속가능경영 전반을 평가하는 지표로 국내에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으며 공공기관들이 지속가능경영 계량목표로 이 점수를 관리하고 있을 만큼 중요하게 대응하고 있는 지표임. ‘대한민국 지속가능경영대상'에서 2013년부터 ‘대한민국 사랑받는 기업 정부포상'으로 바뀌어 수상과 연계돼 있으며 평가주관은 산업정책연구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상공회의소, 한국표준협회, 지속가능경영학회임. 그해 8월 30일 이전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기업을 대상으로 전수평가 진행. 참여 공공기관은 2014년 기준 65개 기관이며 지표는 비계량 지표인 전략기획(2점)과 계량지표인 국민평가(2점), 정부3.0(1.5점) 경영공시(1.5점), 정부권장정책(5점)으로 구성

각 지표별로 ‘자가진단 가이드라인'을 통해 방향성 및 선도기관 수준을 일부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계량화 지표의 경우, 기관 평균 및 선도기업의 데이터 제시는 오히려 공공기관의 사회공헌을 양적으로만 확장시킬 우려가 있어 제시수준에 있어 신중을 기하였다.
* 이용안내 PDF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용안내 다운로드

로그인

레이어 팝업닫기

아이디 비밀번호찾기

레이어 팝업닫기

아이디 찾기

레이어 팝업닫기

아이디 찾기

회원님의 정보와 일치하는 아이디 입니다.

samp**
회원님의 아이디가 생각나지 않으신 경우 ‘이메일 발송’ 버튼을 클릭하시면 등록하신 이메일로 회원님의 아이디가 발송됩니다.
이메일 발송
레이어 팝업닫기

비밀번호 재설정

아이디를 입력해 주세요

레이어 팝업닫기

비밀번호 재설정

비밀번호 재설정 방법 선택

아래 항목에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방법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회원가입 시 입력하신 이메일로 비밀번호 재설정 지침을 발송해 드립니다.
회원가입 시 선택한 보안질문의 답변을 입력합니다.

레이어 팝업닫기

비밀전호 찾기

회원님께 발급된 24간 동안 유효한 임시 비밀번호 입니다.

sample
레이어 팝업닫기

비밀번호 재설정

보안 질문에 답해주세요

회원가입 시 입력했던 보안질문의 답을 입력해 주세요
※ 보안질문 5회이상 불일치 시 비밀번호 찾기 이용이 잠시 제한됩니다.

레이어 팝업닫기

비밀번호 재설정

레이어 팝업닫기

회원자격 연장

(회원 ID)님의 회원자격 유효기간이 (00)일 남았습니다.

회원자격 유효기간 연장여부를 선택해 주세요
※ 회원자격 만료 시 진행하신 자가진단 서비스의 자료는 통계항목으로 활용됩니다.

회원자격 연장 시 금일로 부터 3년간 연장 됩니다.
회원자격 만료 시 동일한 ID로 재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레이어 팝업닫기

자문요청

공공기관 사회공헌 자가진단 결과 자문 요청

연간 목표수립, 과제 설정 등 전문가의 자문을 경험해보세요.

이메일:
연락처:

※ 자문요청 시 사회공헌정보센터 등 전문기관에 자가진단 결과가 공개 됩니다.
※ 자문 결과를 받으실 이메일, 유선번호 불일치 시 회원정보 수정 후 신청해 주세요
레이어 팝업닫기

브라우저 프린터 설정

레이어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