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지속가능한 사회공헌 활동을 응원합니다.
사업 목적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주민 · 비영리단체 · 지자체 · 정부가 연계 협력하여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여 사회공헌 생태계 구축에 기여함
추진 방향
- 지표 구성
-
한국형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도(Korea CSR in the Community) 표준 가이드 개발
- ISO 14001(환경) · 26000(사회적책임) · 37301(준법경영), UN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UNGC(10대원칙)
- GRI Standards(지속가능경영보고서), ESG 평가기준(MSCI, SASB, TCFD, KCGS, SUSTINVEST)
- 기획재정부 · 행정안전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사회적 가치 실현)
- 심사 방향
-
기업과 기관의 사회공헌 수준 진단을 위해 변화이론에 성숙도 5단계 모델 적용
- 변화이론(TOC, Theory of Change) : 투입→활동→산출→결과→임팩트
- 성숙도 모델(Capability Maturity Model) 5단계 : 인식→기준→적용→확산→성과
인정 대상
- 민간기업
- 대기업(사업장, 지점, 지소 등), 중견·중소기업, 소상공인, 사회적기업
- 공공기관
- 공공기관(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및 지방공공기관(공기업 출자·출연기관)
- 기타기관
- 협동조합, 교육기관, 의료기관, 기타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