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회복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구성요인과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척도개발 설문조사에 참여한 415명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타당화 설문조사에 참여한 417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회복탄력성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의사소통, 영성, 공적지지, 경제적 안정, 사회지지의 5요인, 22문항이 구성되었다. 요인별 Cronbach α는 영성 .879, 의사소통 .918, 경제적 안정 .874, 사회지지 .905, 공적지지 .899로 내적일치도가 확인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5개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GFI, RMSEA, RFI, IFI, TLI, CFI, NFI 등 다양한 적합도 지수에서 모형적합도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II(KFSS-II)와 임상적 회복탄력성 척도(CRI)의 상관관계에서도 대부분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가족회복탄력성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갖추었음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ocial support among foster children and explore the effects of this trajectory on perceived stigma and self-esteem. It also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by subtypes of social support(material, inform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220 foster children in the Korean Foster Care Panel Study, from 2019 to 2021,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revealed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levels of social support, with a general upward trend over time. While the baseline level of social support in 2019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bsequent stigma or self-esteem in 2021, the rate of change in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outcomes. Specifically, foster children who experienced a steeper increase in social support over time exhibited lower levels of stigma an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in 2021. Furthermor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for subtypes of social support revealed that emotional support significantly increased as children grew older, with both the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in emotion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ing stigma and self-esteem in the third yea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interventions and support for foster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1-30
    * DOI : http://dx.doi.org/10.24300/jkscw.2025.6.74.2.1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a mental health promotion approach for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and to propose strategies for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existing mental health policies have yet to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sychiatric rehabilitation, and promotion efforts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remain limited to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are also capable of experiencing mental health, this study positions recovery as the ultimate goal of mental health promotion and identifies secondary conditions such as stigma and physical ― ― health issues as key target problems. These secondary conditions are closely linked to weakened sense of coherence (SOC) and general resistance resources (GRRs); conversely, enhancing SOC and GRRs can alleviate these conditions and support recovery. Grounded in the theory of salutogenesis, this study theoretically structures the causal mechanisms of mental health promotion and explores how the health promotion strategies presented in the Ottawa Charter can be applied within the lived context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particular, mental health promoting hospitals, expanded physical health services, and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s are identified as core strategies that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improving positive mental health. This study offers a conceptual framework for mental health promotion tailored to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futur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policy and practi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페이지 : 45-6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인 노인 배우자 돌봄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노인 배우자 돌봄 경험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수행한 국내 학술지(KCI등재지) 연구 논문 9편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의 돌봄자 되기’, ‘배우자를 돌보는 삶의 민낯’, ‘돌봄의 삶을 이어가기 위한 적응전략’, ‘ 불안을 안고 성장하는 돌봄의 삶’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돌봄의 의미, 돌봄 책임, 노인 돌봄 배우자의 자기 돌봄을 중심으로 논의하였고, 노인 돌봄 배우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are giving of spouses of elderly. To th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used that systematically analyzed qualitative studies on caring experiences of elderly spousal conducted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9 research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 caring experiences of elderly spouses. Key themes are becoming a caregiving for an elderly spouse, the bare face of my life caring for spouse, Adaptation strategies to continue the life of care, manage to the life of care by communicating with various support systems, a life of care growing with anxiety. Based o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care experience of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their spouses, care responsibility, and the 'self-care' of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their spouses were discussed, and practical direc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pouses we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7-9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Z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 Z세대가 미디어 이용 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명의 Z세대를 대상으로 일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빠르지만 혼란스러운 정보’, ‘디지털 이용으로 인한 소통의 어려움’, ‘디지털 과잉과 격차’,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힘’ 등 4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로 정리되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Z세대는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지만, 정보의 신뢰성 문제와 비판적 사고 능력 부족으로 인하여 혼란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SNS 사용 증가로 인해 가족 간, 세대 간 대화 단절 및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한계로 인해 사회적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정과 공교육 차원의 통합적 실천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디지털 환경 속에서 Z세대의 균형 잡힌 정보 활용과 건강한 사회적 소통 역량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gital media usage experience of Generation Z and to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the problems that Generation Z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using media.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members of Generation Z and analyzed by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into four main categories and ten subcategories: ‘fast but confusing information’, ‘difficulty in communication due to digital use’, ‘digital overload and gap’, and ‘the power to survive in the digital 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Generation Z quickly acquires information in a digital environment but experiences confusion due to issues with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a lack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addition, due to the increase in SNS use,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hips due to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and gener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communication in a digital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practice plan at the family and public education levels and suggested support measures for Generation Z’s balanced use of information and healthy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a digital environ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3-6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병사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신화가 순차적인 매개효과를지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병사 392명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Hayes, 2017)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사의 불안정 성인애착은 정서인식명확성 및 정신화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우울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 및 정신화는 상호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우울과는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병사의 불안정 성인애착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신화, 우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정서인식명확성은 정신화에, 정신화는 우울에 영향을 미쳤고, 정서인식명확성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병사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신화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 및 제한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사항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the mental health of social service ag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isolation i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318 social service agents working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nonsangbuk-do wer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8.0 and PROCESS Macro 4.2(Model 4).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discrimination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social service agents. Second, social isolation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social service agents, interventions aimed at directly reducing discrimination, as well as, psychological strategies to alleviate the resulting sense of social isol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parallel.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faced by social service agents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promotion policies and interven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군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5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병의 군복무 적응에 관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장병의 군생활과복무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복무 적응과 관련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13년간(2010~2023) 해당 분야의 연구 동향과 발전 방향을 조망하고자 총 31편의 학위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의 기본 정보,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상담 이론 및 프로그램 구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공별 분포는 상담심리, 군상담학, 사회복지학, 미술치료 전공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상담 관련전공들도 일부 포함되었다. 둘째, 연구 대상은 주로 육군 병사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간부보다는 병사 중심의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셋째, 상담 이론 및 기법 중에서는 미술치료 기반의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활용되었으며, 프로그램 회기는 8회기와 10회기가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바탕으로 군 장병의 심리적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향후 연구 및 실천 현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on military service adaptation of soldiers and to find ways to support soldiers' military life and service. To this end, a total of 31 Korean master's and doctoral theses related to military service adaptation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development directions in this field over a 13-year period (2010~2023), and analyzed in terms of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counseling theories, and program compon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distribution of majors was in the order of counseling psychology, military counseling, social work, and art therapy, with some other counseling-related majors included. Seco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army soldiers, and the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soldiers rather than officers. Third, among the counseling theories and techniques, art therapy-based program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nd 8 and 10 sessions were the most commonly applied.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and policy support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military personnel,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군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5-10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만성질환 노인 3인의 돌봄 수혜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재가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사례연구로 분석하였다. 사례내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돌봄에 부여하는 의미와 돌봄에 영향을 미친 생애와 병고. 그리고 돌봄을 받는 아픈 노인들이 인식하는 삶과 돌봄의 의미에 돌봄 상호작용이 미친 영향을 기술하였다. 사례간 분석에서는 각각의 개별 연구참여자 사례를 관통하며 나타나는 돌봄제공자와의 관계 경험의 의미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생애와 이어지는 돌봄의 의미 짓기’, ‘빈곤과 노화로 깊어진 질병, 그리고 고독’, ‘갈등과 수용의 반복, 돌봄 받기’, ‘안분지족의 삶’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잘 다루지 않은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재가 노인들의 돌봄 수혜경험을 주제화시켜 당사자의 관점에서 돌봄 수혜경험의 복잡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을 중심으로 노인 돌봄실천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care-receiving experiences of three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analysis within the case described meanings that research participants attached to care, life experiences, and illnesses that might have influenced care, the impact of care interactions on perceptions of life, and the meaning of care among the sick elderly receiving care. The analysis between cases derived ‘the participants' meaning-making of care throughout their lives', 'diseases deepened by poverty and aging, and loneliness', 'repetition of conflict and acceptance, receiving care', and 'a life of conten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hematizes the experience of receiving care for elderly people who use nursing care services at home, and present the complexity of car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ipients. It suggests specific directions for supporting elderly care practices centered on main implications derived from results of this stud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페이지 : 29-6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와 욕구충족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노인 472명을 대상으로 SPSS 26.0과 PROCESS Macro v4.2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건강성도 긍정노후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가족건강성이 자원봉사활동동기와 긍정노후인식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특히, 욕구충족도는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가족건강성을 경유하여 긍정노후인식에 도달하는 경로를 조절하며, 욕구충족도의 수준에 따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변동이 나타났다. 욕구충족도가 높아질수록 긍정노후인식이 증가하였으나, 낮은 경우 자원봉사활동동기의 직접적인 효과가 더욱 컸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 지원체계와 욕구충족도가 노인 복지 정책 설계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며, 지역사회 기반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가족 단위의 지원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on positive aging awareness in older adults,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needs satisfaction.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472 senior volunteers and analyzed through SPSS 26.0 and PROCESS Macro v4.2 for frequencies, reliability,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y significantly improved family health, which, in turn, statistically contributed to a more positive aging awareness in older adults. Family health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positive aging awareness. Notably, needs satisfaction moderated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heightened needs satisfaction increased positive aging awareness, while those with lower needs satisfaction experienced a stronger direct effect of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on positive aging awareness. Based on these outcomes,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strong family support mechanisms and effective needs satisfaction strategies into eldercare policy frameworks, advocating for community-level counseling,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creation of family-based support system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페이지 : 5-2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융합돌봄서비스에 참여하여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을 직접 지원하는 제공자들이 현장에서 겪는 윤리적 딜레마의 구체적 양상과 대응 방식을 탐색하고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제공자들이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는 개인 역량 문제를 넘어 조직의 제도적 측면과 사회적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된 복잡한 현상이므로, 이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비교 분석을 시행하여 제공자가 직면한 딜레마의 본질과 대응 전략을 명확히 파악하였으며, 융합돌봄 제공기관에서 추천받은 제공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발달장애인의 성장 지원을 가치 있게 여겼으나, 예측 불가능한 도전행동으로 높은 스트레스와 공포감을 경험하였고, 가족과의 갈등, 기관의 무리한 요구, 열악한 근로조건 등으로 정서적 소진과 무력감을 호소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별 맞춤형 활동 제공, 긍정행동 중재 교육 참여, 동료 간 슈퍼비전 등 구체적 전략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서비스 현장의 문제점을 반영한 정책적·실천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제공자 전문교육 및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마련 등 서비스 질적 향상에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d clarify the specific nature and coping strategies of ethical dilemmas faced by service providers who directly supported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ing challenging behaviors in integrated care services. Given that ethical dilemmas experienced by providers are complex phenomena closely connected to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social environments beyond individual capacitie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was selected to deeply understand these intricacies. Through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es, the essential nature of dilemmas and providers' coping strategies were clearly identifi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roviders recommended by integrated care service organizations. Participants valued supporting the growth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they experienced high stress and fear due to unpredictable challenging behaviors. They also reported emotional burnout and helplessness resulting from conflicts with families, unreasonable demands by institution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providers employed specific strategies such as individualized activity provision, participation in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training, and peer supervision.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that can address issues in service settings, enhance professional training for providers, and develop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페이지 : 95-12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소명의식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소명의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설계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사는 직무 특성상 높은 소명의식을 바탕으로 조직에 헌신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이러한 태도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조직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32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과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소명의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이 조직지원인식에 의해 차이가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 행정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tilizes the 17th wave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to empirically classify housing-based social strata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LCA), incorporating categorical housing indicators such as tenure, housing type, housing quality, and age of dwelling. The analysis identifies seven latent housing classes, each displaying distinc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welfare experiences independent of income or asset levels. Differences in welfare policy needs, social risk, and the profile of policy target groups emerged across the class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single-indicator class divisions and demonstrate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necessity for multidimensional, housing-based social stratification frameworks to inform more targeted welfare and social policy design in Korea.초록 닫기
    * 발행처 : 중앙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63-8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소명의식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소명의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설계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사는 직무 특성상 높은 소명의식을 바탕으로 조직에 헌신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이러한 태도가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조직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32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과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소명의식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이 조직지원인식에 의해 차이가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 행정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ll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mong social workers employed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CB. Social workers, due to the nature of their profession, tend to demonstrate a strong sense of calling, which often drives their dedication to the organization. However, whether this intrinsic motivation translates into actual citizenship behavior may largely depend on the extent to which they perceive support from their organiz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a sample of social workers, and a total of 323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call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CB.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itive impact of calling on OCB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o strengthen support systems that enhance positive work behaviors among social work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페이지 : 23-4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동기면담(Motivational Interviewing, MI)과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를 통합한 상담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살예방 실무자를 대상으로 해당 프로그램이 공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상담 지식 및 기술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복지센터에 근무하는 실무자 8명을 대상으로 4회기로 구성된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효과성 검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프리드만 검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동기면담-인지행동치료 통합 상담훈련은 자살예방 실무자의 공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상담 기술 역량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후 4주가 지난 시점에서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담 지식역량은 사전과 사후 시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시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기면담과 인지행동치료의 통합적 접근이 자살예방 실무자의 상담 역량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담 훈련 프로그램은 자살예방 실무자 교육에 활용 가능한 실천적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지니며, 향후실무 현장에서의 적용과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unseling training program integrating Motivational Interviewing(MI)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in enhancing empathy, communication self-efficacy, counseling knowledge, and counseling skills among suicide prevention practitioners. This program, consisting of four sessions, was administered to eight practitioners working at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the Friedman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grated MI-CBT counseling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the participants' empathy,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unseling skills, and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Meanwhile, although counseling knowledg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at the four-week follow-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grated approach of MI and CBT can effectively enhance counseling competencies among suicide prevention practitioners. Therefore, the counseling trai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holds promise as a practical model for training practitioners and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application and dissemination in the fiel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페이지 : 139-16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이 어떻게 마약류를 사용하게 되고 중독에 이르게 되는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 7명을 사례자로 선정하고 1:1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과 Poth(2024)가 제안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사례자들은 성정체성 및 성적지향 혼란(말할 수 없는 비밀), 나와 비슷한 사람 찾기, 성적 욕구 해결을 위한 가벼운 만남, 파트너의 권유와 호기심, 긍정적 약물 경험, 낮아진 약물 재사용 장벽, 잊을 수 없는 기억, 급격히 늘어난 약물 사용량(직접구매), 개미지옥(약물 사용을 위한 성관계)이라는 단계별 중독 과정을 경험했다. 또한 연구자들은 사례자들이 마약류 중독에서 헤어 나올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이른바 ‘개미지옥’에 빠지게 만든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자들이 경험한 개미지옥은 육체적 금단과 갈망, 사회적 차별과 낙인으로 인한 스트레스, 자기 파괴적 심리, 자기혐오와 관련이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청소년 대상 성정체감 및 성적지향에 대한 교육, 마약류 인식 및 감염병 예방 교육, 마약류 중독 성소자들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낙인 해소를 위한 인식 개선 활동과 내면화된 자기 파괴 및 자기혐오 심리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를 실천 및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in elderly carers of grandchildre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questionnaire was revis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targeting 30 elderly carers of 65 years of age. Afterwards, 29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a deliberate sampling, and 28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7 questionnaires that were unsuitable for the study due to age and fixed response.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in elderly carers of grandchildre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were verified by apply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in elderly carers of grand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 control factors and external control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depression and locus of control. In addi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 subfactor of locus of control, was found to affect depression, but external locus of control did not affect depression. Finally, internal locus of control, a subfactor of locus of control,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but external locus of control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페이지 : 89-11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이 어떻게 마약류를 사용하게 되고 중독에 이르게 되는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 7명을 사례자로 선정하고 1:1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과 Poth(2024)가 제안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사례자들은 성정체성 및 성적지향 혼란(말할 수 없는 비밀), 나와 비슷한 사람 찾기, 성적 욕구 해결을 위한 가벼운 만남, 파트너의 권유와 호기심, 긍정적 약물 경험, 낮아진 약물 재사용 장벽, 잊을 수 없는 기억, 급격히 늘어난 약물 사용량(직접구매), 개미지옥(약물 사용을 위한 성관계)이라는 단계별 중독 과정을 경험했다. 또한 연구자들은 사례자들이 마약류 중독에서 헤어 나올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이른바 ‘개미지옥’에 빠지게 만든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자들이 경험한 개미지옥은 육체적 금단과 갈망, 사회적 차별과 낙인으로 인한 스트레스, 자기 파괴적 심리, 자기혐오와 관련이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청소년 대상 성정체감 및 성적지향에 대한 교육, 마약류 인식 및 감염병 예방 교육, 마약류 중독 성소자들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낙인 해소를 위한 인식 개선 활동과 내면화된 자기 파괴 및 자기혐오 심리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를 실천 및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LGBTQ(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ople who are addicted to drugs experience drugs and lead to addi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seven LGBTQ people who are addicted to drug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our study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 proposed by Creswell and Poth (2024).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could be categorized into sexual identity confusion, sexual orientation confusion, efforts to meet people within the LGBT community, casual meetings to resolve sexual needs, partner's suggestion and curiosity, positive drug experience, lowered drug reuse barrier, unforgettable memory, rapidly increased drug use (direct purchase), and cases that fall into an “ant pit” meaning they cannot get out (sex for drug use). Additionally, indirect factors such as stress from social stigmas which lead to an experience of drugs, factors that sharply fall into an addiction state like the so-called “ant pit”, and factors like drug-used sex were check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education on sexual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for adolescents, education on drug recognition and precluding of infectious diseases, improvement of awareness to eliminate social prejudice and stigma experienced by drug addicts, and treatment for internalized self-destruction and trauma to self-abhorre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페이지 : 1-2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족 내 역할 가치관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제9차 자료(2022년)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SEM)에 기반한 경로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토, 사용자 정의 추정을 활용한 정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는 가족 내 역할 가치관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스트레스와 우울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여 두 변수가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경제활동 및 자녀 유무에 따른 다집단 경로분석 결과,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배우자 만족도 → 스트레스’ 경로, 자녀 유무에 따라 ‘배우자 만족도 → 우울’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기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가족 내 역할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배우자 관계의 질이 기혼여성의 심리적 요인을 매개로 가족 내 역할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집단 특성을 고려한 정신건강 증진 및 가족 가치관 함양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married women’s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 influences their values regarding family rol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Using data from the 9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202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Bootstrapping was used to asses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and user-defined estimands enabled precise analysis of specific mediation paths. The analysis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spouse satisfaction on family role values; however,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through stress and depression supported a full mediation effect. Multi-group path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employment status and the presence of children: the path from spouse satisfaction to stress varied by employment status, and the path to depression varied by parental statu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may influence the formation of family role values.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the quality of spousal relationships indirectly affects family role values through psychological factors, and it underscores the need for targeted mental health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equitable family valu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페이지 : 31-5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종사자 555명의 자료를 SPSS 27.0 통계패키지와 PROCESS macro 1번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이직의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은 이직의도를 낮추는 보호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하기 위해 우울 감소 및 직무만족 향상 방안과 관련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scale of self-acceptance to comprehensively evaluate individuals' capacity for self-acceptance. Existing self-acceptance scales are primarily focused on self-esteem and positive self-assessment, often failing to adequately reflect negative experiences and multidimensional acceptance.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ntegrates Carl Rogers’ humanistic personality theory and Friedrich Nietzsche’s concept of Amor Fati to propose an expanded framework of self-acceptance. Self-acceptance is structured into three core dimensions: Acceptance of Experience, Unconditional Self-Worth, and Integration and Growth through Negative Experiences. Each dimension provides evaluation criteria acros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perspectives. As an initial theoretical effort,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involving item development and validity testing. The proposed scal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y providing a practical tool for assessing and supporting clients' self-acceptance and psychological matur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페이지 : 71-8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종사자 555명의 자료를 SPSS 27.0 통계패키지와 PROCESS macro 1번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이직의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은 이직의도를 낮추는 보호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하기 위해 우울 감소 및 직무만족 향상 방안과 관련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er return-to-work plan submission system implemented to support the return-to-work of industrial accident workers. First, as a result of simply comparing the return-to-work rate and number of days of treatment between workers who submitted return-to-work plans and those who did not, 68.4% of industrial accident workers who submitted return-to-work plans returned to work, which was 19.90%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The number of days of treatment was 205 days for industrial accident workers who submitted return-to-work plans and 294 days for those who did not, which was 89 days less for those who submitted return-to-work plans. In addition,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68.4% of those who submitted return-to-work plans returned to work, which was 17%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The number of days of treatment was 205 days for industrial accident workers who submitted return-to-work plans, which was 67 days less than those who did not. Therefore, the return to work rate of industrial accident workers who submitted a return to work plan was high and the recovery period was short. This means that the return to work plan submission system is contributing to shortening the recovery period of industrial accident workers and increasing the return to work rate.초록 닫기
    * 발행처 : 중앙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47-6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종사자 555명의 자료를 SPSS 27.0 통계패키지와 PROCESS macro 1번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이직의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은 이직의도를 낮추는 보호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하기 위해 우울 감소 및 직무만족 향상 방안과 관련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depress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on turnover intention, and attempt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is relationship. To this end, the data of 555 social welfare work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7.0 and PROCESS macro model 1.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cted as a major factor in significantly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on turnover intention, it was verified that job satisfaction acts as a protective factor that lowers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were presented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초록 닫기
    * 발행처 : 중앙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5-4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립지원통합서비스의 기존 서식 을 ‘주체성 지향’ 실천 원칙에 기반한 서식으로 수정?개발하고, 이 서식의 변화가 자립준비청년의 사례관리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구체 적으로는 기존의 서약서, 초기상담지, 욕구조사표 등을 수정하고, 자립지원 통합서비스 제공 계획표와 점검표를 ‘자립준비활동 계획표’ 및 ‘점검표’로 전면 개편하였다. 또한 ‘청년 체크리스트’와 ‘청년 웰빙조사표(Well-being Indicator Tool for Youth, WIT-Y)’를 새롭게 추가하여 자립준비청년의 다차 원적 삶의 질을 평가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편된 서식을 적용한 사례관리를 경험한 청년들은, 기존 서식을 활용한 사례관리를 경험한 청년 에 비해 더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목표를 설정하며 성취감을 경험하였고, 자 신의 삶을 다각도로 성찰하는 계기를 얻었다고 진술하였다. 자립지원전담인 력과의 상호작용도 풍부해졌으며, ‘존중 속에서 성인이 되었음’을 느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서식이 사회서비스의 목표 달성 을 지원하고, 의미 있는 실천 변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helpfulness of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on the self-esteem of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whether satisfaction with childcare teachers mediates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third wave (2020) of the third panel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Survey” were used.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578 children who, as of 2018, had attended a community child center for more than one year as fourth graders and were followed up in 2020 when they reached the sixth grad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4.2 (Model 4), employing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helpfulness of service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childcare teacher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Furthermore, the helpfulness of services indirectly affected self-esteem through teacher satisfaction, while the direct effect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by confirm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s percep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and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care teachers functions as an emotional mediator that amplifies the service effec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emotional care role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 critical importance of childcare teachers, offering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child welf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61-89
    * DOI : http://dx.doi.org/10.24300/jkscw.2025.6.74.2.6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립지원통합서비스의 기존 서식 을 ‘주체성 지향’ 실천 원칙에 기반한 서식으로 수정?개발하고, 이 서식의 변화가 자립준비청년의 사례관리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구체 적으로는 기존의 서약서, 초기상담지, 욕구조사표 등을 수정하고, 자립지원 통합서비스 제공 계획표와 점검표를 ‘자립준비활동 계획표’ 및 ‘점검표’로 전면 개편하였다. 또한 ‘청년 체크리스트’와 ‘청년 웰빙조사표(Well-being Indicator Tool for Youth, WIT-Y)’를 새롭게 추가하여 자립준비청년의 다차 원적 삶의 질을 평가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편된 서식을 적용한 사례관리를 경험한 청년들은, 기존 서식을 활용한 사례관리를 경험한 청년 에 비해 더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목표를 설정하며 성취감을 경험하였고, 자 신의 삶을 다각도로 성찰하는 계기를 얻었다고 진술하였다. 자립지원전담인 력과의 상호작용도 풍부해졌으며, ‘존중 속에서 성인이 되었음’을 느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서식이 사회서비스의 목표 달성 을 지원하고, 의미 있는 실천 변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mployed an action research methodology to revise and develop forms used in the Integrated Support Self-Reliant Youth based on practice principles that emphasize youth agency. It explored how the redesigned forms influenced the case management experiences of youth. Existing documents such as the pledge form, initial consultation form, and needs assessment form were modified, while the service plan and monitoring sheet were reorganized into a self-reliance activity plan and a monitoring form. A new “Youth Checklist” and the “Well-being Indicator Tool for Youth (WIT-Y)” were also introduced to assess and support the multidimensional quality of life of youth preparing for self-reliance. Youths who experienced case management using the revised forms reported setting more realistic and everyday goals, gaining a sense of achievement, and reflecting more deeply on their lives. They also described more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caseworkers and a sense of being “respected as adul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ractice-oriented forms reflecting core social work values can function as catalysts for meaningful change in social work practi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31-60
    * DOI : http://dx.doi.org/10.24300/jkscw.2025.6.74.2.31
    * UCI : 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