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질환 회복 내러티브는 당사자의 회복 경험을 1인칭 시점으로 서술한 이야기로, 정체성회복과 임파워먼트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정신질환 회복 내러티브를 풍부히 발달시키기 위한 실천 방법과 전략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생성형인공지능 ChatGPT를 활용해정신질환 시기별(첫퇴원 직후, 재활, 회복) 내러티브를 생성하고, 생성된 텍스트에 대한 주제분석과 내러티브 질문기법의 적용을 예시하는 텍스트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에서는 화자의 자기감각 회복, 통제감 증진, 의미 형성 등에 기여하는 내러티브 대화 전략(외재화, 재저작 등)의 적용 과정과 기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내러티브 전략의 임상적·교육적 활용 방법을 조명한 점과 온라인 상담 전략으로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의의가 있다.
A mental illness recovery narrative is a first-person account of one’s own recovery experience, playing a key role in identity restoration and empowerment.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methods and strategies to further develop this practice. To achieve this, generative AI―ChatGPT―was used to create narratives representing different stages of mental illness (post-first discharge, rehabilitation, recovery). A text analysis was conducted, illustrating thematic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questioning techniques. The findings present processes and mechanisms through which narrative dialogue strategies (such as externalization and re-authoring) contribute to the speaker’s sense of self, enhancement of control, and meaning-ma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ighlighting clinical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of narrative strategies and suggests the potential for expanding these practices into online counseling.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5-242
* DOI : http://dx.doi.org/10.24301/MHSW.2025.6.53.2.21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사례관리자가 수행하는 기관 간 연계업무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시간압박감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연계기관의 수를 연계업무의 대리변수로 설정하고, 이를 직무요구-자원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에 따라 직무요구로 간주하였다.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아동보호전문기관 사례관리자 17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고, Hayes의 PROCESS Macro Model 4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연계기관 수가 많을수록 사례관리자의 시간압박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간압박감은 다시 소진 수준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 결과, 시간압박감은 연계기관 수와 소진 간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소진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보호전문기관 사례관리자의 소진 예방 및 정신건강 향상을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performed by caseworkers at Child Protection Agencies on their levels of burnout, and to examine whether time pressure mediates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the number of collaborating agencies was used as a proxy variable for inter-agency collaboration and conceptualized as a job demand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JD-R)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172 caseworkers at Child Protection Agenc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revealed that a higher number of collaborating agenci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time pressure among caseworkers, which in turn significantly raised their burnout levels. Bootstrapping analysis confirmed that time pressur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ollaborating agencies and burnout. Additionally, higher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burnout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eventing burnout and promoting the mental well-being of caseworkers in Child Protection Agenci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43-260
* DOI : http://dx.doi.org/10.24301/MHSW.2025.6.53.2.24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간병살인과 둘러싼 사회적 관심과 의미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간병살인”의 키워드로 2008년 1월 1일부터2024년 12월 31일까지 17년이란 장기간 동안 보도된 네이버(NAVER) 포털 뉴스기사4,738건을 수집하여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12개의 토픽이추출되었다. 각 토픽을 구성하는 주요 내용과 시기별 토픽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간병살인과 관련된 뉴스 기사에 나타난 토픽은 ‘영케어러의 현실: 사회적 고립’, ‘간병의 이중고: 생계 파탄’, ‘간병의 끝: 가해자’, ‘간병, 극한의 부담: 내면 붕괴’, ‘치매: 간병의덫’, ‘늦은 대응: 간병 위기’, ‘존엄사: 권리와 윤리의 딜레마’, ‘책임지지 않는 제도: 방치된 간병’, ‘판단의 어려움: 현실vs법’, ‘공적 책임: 간병 법제화’, ‘전환의 시작: 지역사회 통합돌봄’, ‘또 다른 간병 위기: 장애’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간병살인이슈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가족 중심의 돌봄 체계’가 간병살인 문제를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었다. 둘째, 간병살인 문제 해결을 위해‘제도적 개선과 국가 주도적 돌봄 정책 확대, 그리고 간병살인과 관련된 ‘법적 체계 개선’이 필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interest and meaning surrounding nursing murder and seek countermeasures. To this end, an LDA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4,738 news articles on the Naver portal that were reported for a long period of 17 years from January 1, 2008 to December 31, 2024 as the keyword of “care murd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2 topics were extracted. The main contents of each topic and the changes in the topics by period were examined. The topics that appeared in news articles related to care murder were ‘Young Carer’s Reality: Social Isolation’, ‘Double Lives Breakdown of Carer’, ‘Career’s End: The Abuser, Extreme Burden of Care: Inner Collapse’, ‘Dementia: Care Trap’, ‘Late Response: Caregiving Crisis’, ‘Dignified Care: The Dilemma of Rights and Ethics’, ‘Debt-responsible System: Neglected Caregiving’, ‘Difficulties of Judgment: The Realityvs Act’, ‘Public Responsibility: Caregiving Legislation’, ‘Start of Transition: Community Integrated Care’, and ‘Another Care Crisis: Disability’. The analysis of the issue of care murder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aging of Korean society and the ‘family-centered care system’ could be the main cause of deepening the care murder problem.
Second, to solve the problem of nursing murder, ‘institutional improvement, state-led care policy expansion, and ‘legal system improvement’ related to nursing murder were needed.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23-157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12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해체이론과 스트레스 과정 모형을 기반으로 주거 및 지역 불안전이 아동?청소년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삶 만족도와 스트레스가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위해 ‘청소년의 주거권 실태와 보장방안 연구’의 5,75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형1에서는 성별, 학교급, 이주 배경, 지역 규모, 경제 수준이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2에서는 경제 수준을 제외한 통제변수의 영향이 유지되었고, 삶 만족도가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증가하였다. 모형3에서는 지역 불안전과 스트레스, 지역 불안전과 삶 만족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주거 불안전과 우울감의 관계에서는 스트레스와 삶 만족도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불안전한 환경에 처하여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청소년을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housing insecurity and perceived neighborhood insecurity on depress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and the Stress Process Model. It also explores whether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moderate these relationships. Using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n adolescents’ housing rights (N = 5,754),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are conducted. In Model 1, gender, school level, migrant background, type of residential area, and economic statu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depressive symptoms. Model 2 showed that, all control variables, except for economic status, remained significant. Additionally, lower life satisfaction and higher stres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In Model 3,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insecurity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insecurity and stress, were significant. However, no moder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r stress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insecurity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practical interventions aimed at suppor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in insecure living environmen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5-75
* DOI : http://dx.doi.org/10.24301/MHSW.2025.6.53.2.5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밝혀진 여대생의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들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2014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10여 년간 출판된 여대생의 신경성 폭식증 관련 국내 논문30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0여 년간 여대생의 신경성 폭식증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는 연평균 약 3편 출판되었으며, 전체연구의 80%가 심리영역에서 수행되었다. 둘째, 여대생의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미치는 개인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서 요인(부정적 정서, 정서조절), 성격특질 요인(완벽주의, 대인관계 민감성, 자기수용), 인지 요인(체형 인지, 섭식 인지, 반추, 부적응 도식, 지각), 행동 요인(스트레스 대처, 병리적 섭식)의 4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여대생의 신경성 폭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족 요인(가족특성, 아동기 가족경험), 사회문화 요인(사회적 인식, 발달적 스트레스)의 2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신경성 폭식증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explore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bulimia nervosa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s identified in domestic research. To achieve th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were performed on 30 Korean studies related to bulimia nervosa in female college students, published over the past ten years from 2014 to 2024.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decade, an average of three studies per year were published on factors related to bulimia nervosa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80% of them focusing on psychological domains. Second, The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bulimia nervosa were categorized into four domains: Emotional factors(negative affect, emotion regulation), Personality traits(perfectionism, interpersonal sensitivity, self-acceptance), Cognitive factors(body image, eating cognition, rumination, maladaptive schemas, perception), Behavioral factors(stress coping, pathological eating behaviors). Third,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wo domains: Family-related factors(family characteristics, childhood family experiences), Sociocultural factors(social perceptions, developmental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mied at effective interventions on blumia nervosa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5-214
* DOI : http://dx.doi.org/10.24301/MHSW.2025.6.53.2.185
* UCI :
서지정보 닫기
-
코로나19 팬데믹은 고령층의 사회적 단절과 외로움을 심화시켰으며, 이 시기에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은 외로움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외로움과 우울증 간의 관계를 분석할 때, 외로움이 독립적으로 결정된다는 외생성가정을 전제로 하였다. 이로 인해, 코로나19와 같이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외로움에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에서는 외로움의 내생성 문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방법론적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단계 최소자승법을 활용하여 고령층의 주관적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을 도구변수로 사용함으로써 외로움의 내생성을 통제하고, 외로움이 우울증에 미치는 적확한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경기도 및 서울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 154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조사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외로움에는 내생성이 존재하였고, 주관적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중 특히 주관적 스마트폰 사용 능력이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단계 최소자승법 분석결과, 기술 활용능력에 의해 내생성이 통제된 외로움의 효과는 기존 OLS 회귀분석에서 나타난 효과보다 우울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고령층의 외로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으로 고령자를 위한 디지털문해력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고령친화적 ICT 관련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The COVID-19 pandemic has exacerbated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mong older adults, and digital technology proficiency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mitigating loneliness during this period. However,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depression have assumed the exogeneity of loneliness, thereby facing methodological limitations in addressing endogeneity when loneliness is influenced by digital technology proficiency during the pandemic. To overcome this issue, this study employs the Two-Stage Least Squares (2SLS) method, using self-assessed digital competence as an instrumental variable to control for the endogeneity of loneliness and accurately analyzes its impact on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telephone survey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ith 154 older adults aged 65 and above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The results indicate the presence of endogeneity in loneliness, with self-assessed smartphone competence significantly affecting loneliness. Furthermore the 2SLS analysis reveals that the effect of loneliness, after controlling for endogeneity through self-assessed digital competence, has a greater impact on depression than previously estimated using OLS reg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al strategies to reduce loneliness among older adults by diversifying digital literacy programs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ge-friendly ICT products and servi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41-68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4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3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연령차별경험과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9,95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연령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연령차별경험 여부에 따라 우울과 사회신뢰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연령차별경험은 우울 수준을 높이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신뢰도는 연령차별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차별경험이 많은 노인일수록 사회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우울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차별경험이 한번이라도 있는 노인은연령차별경험이 없는 노인보다 사회신뢰도가 낮고 우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연령차별경험을 줄이기 위한 전연령 대상 교육프로그램 및 사회적 노력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우울을 줄이고 사회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health implications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within Dementia Relief Centers and to derive practical strategies applicable to clinical settings.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FGI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and clinicia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Social Health Conceptual Framework proposed by Vernooij-Dassen et al. (2022). The findings identified three key domains of music therapy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ocial health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Engagement’, which fosters emotional exchange and nonverbal interaction to promote social connections; ‘Capability’, which strengthens autonomy and self-efficacy; and ‘Identity’, which aids in restoring social roles and a sense of self through self-expression and reminiscence. At the social environmental level, strategies such as community resource linkag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were emphasized,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social networks, provision of tangible support, and enhancement of relationship quality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recontextualizes an existing theoretical framework to align with the clinical context of Dementia Relief Centers, thereby presenting concrete and practical strategies through which music therapy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ocial health. Future research will focus on developing a music therapy intervention model centered on social health, grounded 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59-187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159
* UCI :
서지정보 닫기
-
플랫폼 노동자는 업무 특성상 무력감이나 외로움에 취약하다. 사회적 자본은 이러한 정신건강문제를 완화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플랫폼 노동의 특성상 자본 유형에 따른 영향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유형인 결속형 및 가교형 자본이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지역 기반플랫폼 노동자 587명이다. 결과를 보면,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외로움을 감소시키며, 외로움은 무력감을 매개하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반면, 가교형 사회적 자본은 외로움과 무력감증가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외로움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플랫폼 노동자의 사회적 자본의 유형이 외로움과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따라서 사회적 자본 유형을 고려한 차별화된 정신건강 개입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e COVID-19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rapid expansion of platform worker, intensifying psychosocial challenges such as loneliness and powerlessness, particularly among region-based platform work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on workers' sense of powerlessnes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loneliness in these relationships. Using data from the Yonsei University Survey on platform Workers, we analyzed responses from 587 region-based platform work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bonding social capital reduced loneliness, which in turn fully mediated its effect on powerlessness. In contrast, bridging social capital was found to increase both loneliness and powerlessness, indicating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bonding social capital offers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ridging social capital may provoke psychological strain due to excessive interaction demands and competi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differentiated functions of social capital in the precarious working environment of platform labor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targeted policy interventions to address loneliness and powerlessness among platform worker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76-104
* DOI : http://dx.doi.org/10.24301/MHSW.2025.6.53.2.76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핵심 요소인 강사의 역할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 강사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선행연구 검토와 현장 실무자 10명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와 전 문가 자문을 통해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한 후, 217명의 전문 강사를 대상으로 각 지표별 필요성 을 질문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지표를 도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의 준비 의 충실성에서 7개, 강의 전달의 적절성에서 10개, 강사 태도의 성실성에서 4개, 콘텐츠 구성력 에서 12개의 세부 지표가 도출되었으며, 평가 등급 부여를 위한 기준도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전문 강사 평가를 위한 최초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강사의 역할 강화 및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 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ocial worker grit scale suitable for the conditions in South Korea and is based on empirical facts of social workers. Preliminary items for the Grit Scale for Social Workers were develop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social workers and existing scale items were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we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f 520 social workers and perform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respons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were then evaluated based on the survey data. As a result, the social worker grit scale consists of 21 items and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consistency of interest,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ping with situations.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extracted items was checked using Cronbach’s alpha, inter-item correlation, and item-total scor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is scale and conventional scales measuring similar concepts, such as Grit-O and self-efficacy, were analyzed and found to be significant. Next, an analysis of theoretically related variables reveal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t Scale for Social Workers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Finally, the results of the incremental validity test showed that the Grit Scale for Social Workers had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in addition to the explanatory power of Grit-O.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5-133
* DOI : http://dx.doi.org/10.24301/MHSW.2025.6.53.2.10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3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연령차별경험과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9,95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연령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연령차별경험 여부에 따라 우울과 사회신뢰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연령차별경험은 우울 수준을 높이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신뢰도는 연령차별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차별경험이 많은 노인일수록 사회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우울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차별경험이 한번이라도 있는 노인은연령차별경험이 없는 노인보다 사회신뢰도가 낮고 우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연령차별경험을 줄이기 위한 전연령 대상 교육프로그램 및 사회적 노력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우울을 줄이고 사회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utiliz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trust in this relationship. The analysis was based o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9,955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residing in South Korea. To examine the effect of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depress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llowing the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trust was tested using the PROCESS Macro. Additionally,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social trust according to whether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age discri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Second, social trus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depression. Specifically, older adults with more experiences of age discrimination tended to report lower levels of social trust an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ird, those who had experienced age discrimination at least once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ocial trust and higher depression compared to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societal initiatives targeting all age groups to reduce age discrimination toward older adults. The study also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itigating depression and enhancing social trust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89-210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189
* UCI :
서지정보 닫기
-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고령 인구의 건강한 자립생활을 위한 실외 환경, 특히도시공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고령 인구의거주 밀집 지역과 도시공원의 공간 분포 간 형평성을 분석하고, 도시공원 소외지역을제시하였다. 도시공원의 형평성은 집계구 단위의 인구자료와 전국 도시공원 정보 표준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변량 모란지수(Bivariate Moran’s Ⅰ)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치구 단위에서는 광진구가 고령 인구 비율은 높으나 도시공원이 부족한 지역으로 나타났고, 서초구는 고령 인구와 도시공원 모두 밀집된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행정동 및 집계구단위의 정밀 분석에서는 광진구의 구의1동, 중곡2동, 자양2동, 중곡1동이 도시공원 소외지역으로 확인되었으며, 집계구 반경 250m 이내 접근 가능한 공원의 수가 현저히 낮았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고령 인구가 일상적으로 접근 가능한 도시공원의우선적 조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층을 위한 도시공원 조성 계획과 도시공원을 통한 노인 여가 복지 지원 정책 수립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With the transition into a super-aged society, securing green spaces such as urban park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address social issues such as social isolation and rising medical expenses by supporting the welfare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popul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equity of urban parks in relation to elderly residential areas in Seoul and identifies urban park-deprived areas. The spatial equity of urban parks was assessed using Bivariate Moran’s I analysis, based on population data at the census block level and the national standard dataset of urban park informa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districts of Seoul, Gwangjin-gu has a high proportion of elderly residents but a relatively low number of urban parks, whereas Seocho-gu has both a high proportion of elderly residents and a large number of urban parks. When comparing results at the district (dong) and census block levels, Guui 1-dong, Junggok 2-dong, Jayang 2-dong, and Junggok 1-dong in Gwangjin-gu were found to have an insufficient number of urban parks relative to the elderly population. Additionally, at the census block level, the number of urban parks accessible within a 250-meter radiu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
To address urban park inequit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prioritized development of urban parks in the identified park-deprived areas, ensuring easy access for the elderly popu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rve as a crucial foundation for urban park planning for the elderly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supporting elderly leisure and welfare through urban green spac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69-92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69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핵심 요소인 강사의 역할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 강사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선행연구 검토와 현장 실무자 10명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와 전 문가 자문을 통해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한 후, 217명의 전문 강사를 대상으로 각 지표별 필요성 을 질문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지표를 도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의 준비 의 충실성에서 7개, 강의 전달의 적절성에서 10개, 강사 태도의 성실성에서 4개, 콘텐츠 구성력 에서 12개의 세부 지표가 도출되었으며, 평가 등급 부여를 위한 기준도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전문 강사 평가를 위한 최초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강사의 역할 강화 및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 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beliefs and disability awareness parents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have and what roles they played in the process of their children’s independe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living independently over the age of 20 across the country. Data were collected in-depth interviews from August 2023 to February 2024.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grounded theory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46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in open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appeared to be habitualized parental roles and mixed emotions. The core category was found to be ‘a journey to find parental growth, family harmony, and children’s happiness by supporting their children’s self-deter- mination with the beliefs of each-of-us-lives.’ The participant experience process was composed of five stages. The type analysis were found to be three types. In the situation model, family level, social level, and nation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through discussion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child independence, consensus on independenc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degree and type of disabili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개발원
* 페이지 : 355-392
* DOI : http://dx.doi.org/10.36064/koddi.2025.16.1.01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핵심 요소인 강사의 역할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 강사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선행연구 검토와 현장 실무자 10명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와 전 문가 자문을 통해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한 후, 217명의 전문 강사를 대상으로 각 지표별 필요성 을 질문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지표를 도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의 준비 의 충실성에서 7개, 강의 전달의 적절성에서 10개, 강사 태도의 성실성에서 4개, 콘텐츠 구성력 에서 12개의 세부 지표가 도출되었으며, 평가 등급 부여를 위한 기준도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전문 강사 평가를 위한 최초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강사의 역할 강화 및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 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which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lf-efficacy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fluences disability accept- 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the context of an increasingly digital society, the study examined the psychological impact of SNS self-efficacy on the psychosocial adapt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an emotional perspective. Data were drawn from the 2022 Panel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ducted by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focusing on 552 registered individuals who responded to SNS-related item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were employ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lf-esteem and depression, respectively, mediated positive and negative indirect effects between SNS self-effi- 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The direct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supporting a full mediation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NS self-efficacy indirectly pro- motes disability acceptance by enhancing emotional resources. Among the control variables, only disability severit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This study under- scores the need for emotion-focused digital literacy programs and emotional sup- port systems to enhance SNS self-efficacy. It also provide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psychological pathways through which SNS self-efficacy fosters emotional recovery and self-acceptance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moving beyond a purely technical approach.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개발원
* 페이지 : 306-327
* DOI : http://dx.doi.org/10.36064/koddi.2025.16.1.011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로봇을 경험한 총 동거 기간이 외로움과 고립에 미치는 영향과 이과정에서 하루 중 소셜로봇을 실제로 사용하는 시간의 조절 효과를 소셜로봇 유형 별(AI 인형로봇과 AI 스피커)로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연구소의 돌봄 로봇 이용자 자료(2023)를 활용하였으며 소셜로봇 이용자 169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Hayes의 SPSS Process Macro의 모델 3을 활용하여 조절된 조절 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 사회학적 변수가 투입된 첫 번째 모델에서는 만성질환 수와 주관적 경제적 만족도가 외로움과 고립에 영향을 미쳤으며, 두 번째 모델에서는 총 동거 기간과 하루 중 실제 사용시간이 외로움과 고립에 영향을 주었다. 세 번째 모델에서 하루 중 실제 사용 시간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고 마지막으로, 총 동거 기간과 하루 중 실제 사용 시간, AI 스피커와 AI 인형로봇의 삼원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삼원상호작용효과의 단순 기울기 유의성 검증을한 결과, AI 인형로봇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하루 중 실제 사용 시간이 길수록 총 동거 기간이 외로움에 더욱 강한 부적 영향을 주었고, 고립은 부정적으로 강화시키는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AI 스피커의 경우는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외로움과 고립이라는 주관적, 객관적 변인을 AI 스피커와 AI 인형로봇의 사용 시간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분석하고, 보다 실증적인 소셜로봇의 효과에 대해 논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Korea, which has stigma as the ‘Number one country in the elderly suicide rate’ that one elderly kills himself every 40 minutes is facing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hock crisis, and their elderly suicide problem is emerging as a hot topic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Especially, while the single-household elderly who bereaved their spouse are defined as the ‘suicide risk elderly group’ because of the acceler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s this group is found that they are more vulnerable to suicide than other elderly, it is need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the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ive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household elderly who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by conduct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data of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ligion’, ‘Disability’,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household elderly who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customized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ach predictive factor of suicidal ideation, and discuss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and indicative point to reduce suicidal ideation of single-household elderly who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93-122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93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로봇을 경험한 총 동거 기간이 외로움과 고립에 미치는 영향과 이과정에서 하루 중 소셜로봇을 실제로 사용하는 시간의 조절 효과를 소셜로봇 유형 별(AI 인형로봇과 AI 스피커)로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연구소의 돌봄 로봇 이용자 자료(2023)를 활용하였으며 소셜로봇 이용자 169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Hayes의 SPSS Process Macro의 모델 3을 활용하여 조절된 조절 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 사회학적 변수가 투입된 첫 번째 모델에서는 만성질환 수와 주관적 경제적 만족도가 외로움과 고립에 영향을 미쳤으며, 두 번째 모델에서는 총 동거 기간과 하루 중 실제 사용시간이 외로움과 고립에 영향을 주었다. 세 번째 모델에서 하루 중 실제 사용 시간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고 마지막으로, 총 동거 기간과 하루 중 실제 사용 시간, AI 스피커와 AI 인형로봇의 삼원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삼원상호작용효과의 단순 기울기 유의성 검증을한 결과, AI 인형로봇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하루 중 실제 사용 시간이 길수록 총 동거 기간이 외로움에 더욱 강한 부적 영향을 주었고, 고립은 부정적으로 강화시키는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AI 스피커의 경우는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외로움과 고립이라는 주관적, 객관적 변인을 AI 스피커와 AI 인형로봇의 사용 시간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분석하고, 보다 실증적인 소셜로봇의 효과에 대해 논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total cohabitation period experienced by social robots on loneliness and isol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ime spent actually using social robots during the day in this process by social robot type (AI doll robot and AI speaker). To this end, data on caring robot users (2023) of Ewha Womans University’ Age Integration Research Institute were used, an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model was verifi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odel 3 of Hayes’ SPSS Process Macro for 169 social robot us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first model in which demographic variables were introduce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subjective economic satisfaction affected loneliness and isolation, In the second model, total cohabitation period and actual usage time during the day affected loneliness and isolation. In the third model, the control effect of the actual use time during the day was confirmed, and finally, the total cohabitation period, actual use time during the day, and the three-way control effect of AI speakers and AI doll robots were significan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simple slope of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 case of AI doll robots, the longer the actual use time during the day, the stronger the total use period had a negative effect on loneliness and showed a moderating effect to strengthen isolation. In the case of AI speakers, the moder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variables of loneliness and isolation in relation to the usage time of AI speakers and AI doll robots and discusses the effects of more empirical social robot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9-39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9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핵심 요소인 강사의 역할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 강사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함이 목적이다. 선행연구 검토와 현장 실무자 10명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와 전 문가 자문을 통해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한 후, 217명의 전문 강사를 대상으로 각 지표별 필요성 을 질문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지표를 도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의 준비 의 충실성에서 7개, 강의 전달의 적절성에서 10개, 강사 태도의 성실성에서 4개, 콘텐츠 구성력 에서 12개의 세부 지표가 도출되었으며, 평가 등급 부여를 위한 기준도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전문 강사 평가를 위한 최초의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강사의 역할 강화 및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 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by strengthening the role of certified instructor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a review of prior studie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n field practitioners, and expert consultations, a preliminary set of indicators was constructed. A survey was then administered to 217 certified instructors to assess the necessity of each item, serving as the basis for the final validation process. The resulting framework comprises 32 sub-indicators across four domains: Thoroughness of Lecture Preparation (7 items), Appropriateness of Lecture Delivery (10 items), Sincerity of Instructor Attitude (4 items), and Content Organization Skills (12 items). Evaluation grading criteria were also established. As the first validated evaluation tool for certified instructors in this field,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instructional quality and guiding future development of in- structor standards by demonstrating its applicability.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개발원
* 페이지 : 275-305
* DOI : http://dx.doi.org/10.36064/koddi.2025.16.1.010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 결정 요인을 종단적으로 규명하여, 관련된 제반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함에 궁극적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 해 STATA 18/SE를 사용하였고, 다음의 연구방법론이 사용되었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했고, 둘째,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셋째,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 결정 요인을 판별하기 위해 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한 패널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사회활동 참여 정도는 COVID-19 시기와 맞물려 중간 미만으로 나타났고, 둘째, 심리적 자원 요인의 경우,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 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건강 요인은 행복 정도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 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제반 제언을 제시하 였고, 후속 연구를 위한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longitudinally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which have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in recent years, and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To verify the study hypotheses, STATA 18/SE was us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ologies were employed.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key variables. Third,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a fixed effects model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participa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was below average, particularly during the COVID-19 period. Second, among psychological resources, both self-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participation. Third, among health-related factors, only subjective happi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a set of suggestions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for future research.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개발원
* 페이지 : 35-60
* DOI : http://dx.doi.org/10.36064/koddi.2025.16.1.002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중도 뇌병변장애인의 지역사회에서의 삶과 포토보이스 참여 경험을 이해하고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만 65세 이상 노년기 중도 뇌병변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참여적 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인 포토보이스를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 결과 2개의 주제와 6개의 범주, 1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노년기 중도 뇌병변장애인들은 갑자기 발생한 ‘장애와 노화로 고단한 나의 삶’이란 중첩된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또한 중도장애로 인해 경험하게 된 현실적 어려움과 과거의 나로 돌아갈 수 없음을 한탄하던 시간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바닥을 치고 일어서기’의 여정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레질리언스 보호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노년기 중도뇌병변장애인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측면의 사회복지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and experiences of people with moderate brain lesions in the community in old age and to seek practical alternatives.
PhotoVoice,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on five people with moderate brain lesions aged 65 or older, an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2 themes, 6 categories, and 16 concepts were derive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people with moderate brain lesions in old age discussed the overlapping difficulties of ‘my life tired from disability and aging’ that occurred suddenl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journey of ‘hit the floor and stand up’ gradually escaping from the realistic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moderate disability and the time when they lamented that they could not return to their past self. In addition, in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find a resilience protective factor that overcomes advers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in practical and policy aspects for people with moderate brain lesions in old ag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11-237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211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포괄적 정의론을 토대로, 지방자치단체의 노인자살률이 각 지자체의 분배, 인정, 대표의 정의적 조건 및 사회경제적 특성과 어떤 결합 관계 속에서 설명될 수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담론을 실증 분석으로 연결하는데 적합하고, 원인조건 사이의 상호작용을 전제하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이용해 17 개 광역지자체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노인자살률을 설명하는 4개의 원인조건조합이 도출되었으나 원인조건 중 노인자살률의 필요조건은 없었다. 노인자살률에 대한원인조건 조합의 충분조건 배열은 1개 확인되었으며, 분배, 인정, 대표가 모두 부정의하고, 고령화율이 높으며, 노인 천명당 사회복지예산은 낮고, 노인 천명당 재가요양시설수는 적고, 노인 천명당 여가복지시설수는 많으며, 인구 천명당 공무원수가 많은 결합조건은 높은 노인자살률의 충분조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자살률에 대한 지자체의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표준분석을 추가로 시행했으며, 인천과 대전이 해당되는 고령화율이 낮은 결합조건과 강원과 경남이 속한 고령화율이 높은 결합조건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grounded in Nancy Fraser’s integrative theory of justice, aims to analyze how the elderly suicide rates across 17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can be explained by the configurational relationships among justice-related conditions―namely, distribution,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as well as socioeconomic factors. To empirically link theoretical discourse with real-world phenomen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was employed, a method suitable for examining causal complexity and interaction among conditions. The analysis identified four causal configurations associated with high elderly suicide rates; however, no single condition was found to be necessary. One sufficient configuration was identified, indicating that a combination of unjust distribution,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high aging rates, low per capital social welfare expenditure for the elderly, a small number of home care facilities per 1,000 elderly persons, a high number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per 1,000 elderly persons, and a high number of public officials per 1,000 persons constitutes a sufficient condition for elevated elderly suicide rates. In order to further examine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in relation to elderly suicide, a standard analysis was conducted. This analysis revealed that Incheon and Daejeon fall under configurations with low aging rates, whereas Gangwon and Gyeongnam were identified within configurations characterized by high aging rates.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39-267
* DOI : http://dx.doi.org/10.21194/kjgsw.80.2.202506.239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중증장애인이 자립생활센터에서의 이직 실행 과정 중 경험하게 되는 조직문화와 노 동환경을 드러내고 그러한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 역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이직한 후 5년이 지나지 않은 중증장애인 6명과 심층 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반복적 비교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증장애 인의 자립생활센터에서의 이직경험은 39개의 의미 단위와 8개의 하위주제, 그리고 ‘모두의 자립 생활을 위한 디딤돌로서의 열망의 무산’, ‘장애인 당사자를 억압하는 조직문화’, ‘배재와 고립’과 같은 3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자립생활센터에 상근 경험이 있는 중증장애인 들은 모두의 자립생활을 위한 디딤돌이 되고자 하는 열망으로 자립생활센터에 취업을 하지만, 모 두의 자립생활보다는 성과를 중시하고 효율성을 중시하는 업무형태에 의해 비장애인 중심의 문화 및 더 나아가 장애인 당사자를 억압하는 조직문화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중증장애인들은 조직에 서 배제와 고립을 경험하고 결국 이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자립생활센터에서 자 립생활 철학의 가치를 추구하면서도 성과를 지향하는 비합리적인 모습에 의해 중증장애인이 고용 에서 배제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따라 자립생활센터의 존재 의의 에 대한 기본적 고찰, 자립생활센터에 적합한 평가체계 및 예산지원 방안 마련, 중증장애인 고용 환경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 environment that severely disabled people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transferring from in- dependent living cent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everely disabled people who had worked at independent living centers in Gyeongnam Province for more than one year and had transferred within the past five year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 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the transfer experience of severely disabled people at independent living centers was divided into 39 meaning units, eight subthemes, and three essential themes: ‘the failure of aspirations as a stepping stone for independent living for all’,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op- presses disabled people themselves’, and ‘exclusion and isolation’. Severely disabled people working at independent living centers get jobs at independent living centers with the desire to become stepping stones for independent living for everyone, but they experience exclusion and isolation from the organization and eventually change job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that severely disabled peo- ple are excluded from employment due to the irrational appearance of independent living centers pursuing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such as funda- mental examin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independent living cen- ters,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ystem and budget support policy suitable for independent living centers, and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environment for severely disabled people.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개발원
* 페이지 : 1-34
* DOI : http://dx.doi.org/10.36064/koddi.2025.16.1.001
* UCI :
서지정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