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논문통합 검색

논문 통합검색

  • 본 연구는 장애인 이동권 운동이 한국 사회에서 야기한 사회적 갈등을 규범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사회 규범으로서 아이리스 마리온 영(Iris Marion Young)의 ‘포용적 민주주의’를 제안한다. 기존의 정의론이나 사회복지적 접근은 장애인을 비장애인 중심의 질서에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나, 이는 장애인의 독자성과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 채 기존 질서를 강화하는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전장연의 지하철 타기 운동을 사례로, 공공선, 공적 논의 참여 방식, 포함 개념에 대한 규범적 충돌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포용적 민주주의’가 갖는 대안적 규범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이에 근거하여 장애인 이동권 운동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권에 대한 헌법적 명시, 비장애인 중심주의(ableism)를 혁파할 수 있는 ‘장애부(Disbleism department)’ 설치, ‘장애인지예산 도입’ 등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존 질서 내의 포함이 아닌, 사회 질서 자체의 재구성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등하게 공존할 수 있는 포용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는 당위를 강조한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influencing public acceptance of long-term care facility siting in Seoul, focusing on differences between Gangnam and non-Gangnam regions. As Korea enters a super-aged society, demand for such facilities is growing, yet local opposition has delayed supply. A total of 1,200 residents were surveyed through online proportional quota sampling by gender, age, and distric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 Gangnam,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income, and home ownership were the main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 contrast, in non-Gangnam areas, perceptions regarding government-led decision-making had a negative impact, indicating that trust in policy and perceptions grounded in local realities played a more significant role.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iated persuasive strategies and policy designs that account for the heterogeneous perception structures between reg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851-86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과정 관점과 스트레스과정 모델에 근거하여 자녀의 성인기 과업(취업, 결혼) 이행 여부와 노년기 부모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부모 소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7차년도 한국고령화패널조사(KLoSA)에서 30세 이상 자녀를 둔 55세 이상 응답자 6,12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년기 정신건강은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로 측정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함께 소득의 조절효과에 따른 회귀선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취업 또는 미혼 아들을 둔 부모는 미취업 또는 미혼 아들을 두지 않은 부모보다 더 높은 우울감을 보였고, 미혼 아들이나 미혼 딸을 둔 부모는 미혼 아들이나 미혼 딸을 두지 않은 부모보다 더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소득 수준은 자녀 성인기 과업 미이행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를 조절하였다. 소득이 낮은 집단에서는 미혼 아들이나 미취업 딸을 둔 부모가 그렇지 않은 부모보다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소득이 높은 집단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완화되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에서 자녀의 생애경험이 성별화된 기대와 과업 유형에 따라 부모의 정신건강과 중요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생애과정 관점의 ‘연결된 생애(Linked-lives)’ 개념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자녀의 성인기 이행과 노년기 정신건강 간의 관계 패턴이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평균 수명의 증가로 부모와 자녀가 공유하는 기간이 늘어나고 비규범적인 부모 역할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세대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노년기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 및 정책·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uided by the life course perspective and the stress process model,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s between adult children’s employment and marital status as indicators of the life transitions and their parents’ mental health. It also explores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income. Using data from the 201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N = 6,122 parents aged 55+ with at least one child aged 30+), we estimated regression models and tested interaction effects. Results showed that having an unemployed or unmarried s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while having an unmarried son or daughter was linked to lower life satisfaction. Parental income moderated these relationships: among lower-income parents, having an unmarried son or unemployed daughter was related to lower life satisfaction, whereas these effects were attenuated and became non-significant among higher-income par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ing parents’ mental health is shaped by adult children’s life transitions, which are intertwined with gendered expectations and economic resources. Drawing on the concept of “linked lives,” this study deepens understanding of intergenerational dynamics in later life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policy development aimed at improving older adults’ well-be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001-102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Rowe와 Kahn(1997)의 성공적 노화 이론을 기반으로, 질병 및 장애의 위험, 신체적·정신적 기능 유지, 적극적 사회참여가 고령자의 고독사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구 형태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3,010명(1인 가구 658명, 다인 가구 2,352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분석에서는 질병 및 장애의 위험이 높고, 신체적·정신적 기능 유지 수준이 낮을수록 고독사 불안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적극적 사회참여는 유의하지 않았다.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 모형의 설명력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가족 환경이 정서적 안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가구 유형별로는 1인 가구에서 질병 및 장애의 위험이, 다인 가구에서는 질병 및 장애의 위험과 신체적·정신적 기능 유지가 고독사 불안감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독사 예방 정책이 가구 구조의 이질성과 개인의 복합적 취약성을 고려한 맞춤형 개입으로 정교화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지역사회 기반 노인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실천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based upon Rowe and Kahn’s (1997) successful aging theory, examined how disease and disability risk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ffected fears of solitary death among older adults, with attention to household type. Using data from the 2022 Seoul Survey of Older Adults (n=3,010; 658 single-person and 2,352 multi-person household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Higher disease and disability risk and lower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greater fears of solitary death, while social particip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 model explained more variance for those living with family, highlighting the stabilizing role of the family environment. By household type, disease and disability risks significantly predicted fear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hile both disease/disability risk and physical/cognitive function were statisically significant in multi-person househol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cies to prevent solitary death should account for differences in household structure and individual vulnerabilities, providing a basis for community-based elder care system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981-99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독거노인 돌봄 서비스의 효과와 한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서비스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서울시 K구 A센터에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 참여하는 생활지원사 5명과 독거노인 14명을 위해 스마트워치를 적용한 노인돌봄서비스를 설계하고 3개월 간 수행하도록 했다. 생활지원사들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워치 기반의 생체 및 활동 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안부 확인, 데이터 기반 생활 상담을 수행하였다. 분석자료는 생활지원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 결과와 스마트워치를 통해 수집된 독거노인 생체 및 활동 데이터이다. 분석 결과, 스마트워치 기반 서비스는 고정형 안전 모니터링 기기의 한계를 보완하고, 대면 접촉이 어려운 고위험군의 안부 확인을 위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돌봄자의 직업적 자긍심을 증진시키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기 미착용 시 모니터링의 한계, 기술적 오류, 기존 업무 관행과의 충돌 등 현실적인 제약도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개선 방향으로 신기 효과를 넘어설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서비스 설계, 서비스 도입 과정에서 부정적 사용경험의 최소화, 돌봄 서비스 제공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 다양한 기기의 조합을 통한 모듈형 돌봄 체계 구축, 돌봄자의 암묵지 명시화, 서비스에 적합한 기록관리 체계 마련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a smartwatch-based care service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identifies key considerations for improvement. A three-month field study was designed and conducted at a community care center in K District, Seoul, involving five care workers and 14 older adults. The care workers conducted real-time monitoring of biometric and activity data, routine well-being checks, and data-informed consultations using smartwatches. Data for analysis included results from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the care workers and biometric and activity records collected from the older adults’ smartwatches. Findings indicate that smartwatch-based care can complement fixed monitoring systems, support outreach to high-risk individuals with limited face-to-face contact, and enhance care workers’ professional engagement. However, several challenges emerged: difficulties when the device is not worn, technical malfunctions, and misalignment with existing workflow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1) designing sustainable services that reduce novelty effects, (2) minimizing negative user experiences during early adoption, (3) enhancing the digital competency of care service providers, (4) building modular systems through device integration, (5) translating care workers’ tacit knowledge into explicit resources, and (6) developing appropriate documentation and record management systems. These insights contribute to the evolving discourse on technology-assisted care and highlight the need for systems that are both responsive to users and supportive of care providers’ practice environm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943-96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시기를 포함한 공익형 노인일자리사업의 노노(老老)케어 활동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일 경험을 토대로 노인들이 인식하는 일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발생 시기 이전부터 활동하고 있었던 참여노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이용한 일반적 질적연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귀납적 주제분석 과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57개의 의미단위 및 18개의 하위범주를 토대로 8가지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화된 참여노인들이 경험하는 일의 의미는 코로나19 이전 ‘주체적인 삶을 영위하게 해주는 일’, ‘삶의 활력을 불어 넣어주는 일’, ‘지지체계를 통한 심리ㆍ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일’, ‘간절함에도 탈락을 두렵게 하는 일’, ‘부정적 편견을 갖게 하는 일’로 나타났고, 코로나19 이후로는 ‘위기를 통해 삶의 의미로 수용된 더 소중한 일’, ‘예측 불가능한 불안정한 일’, ‘신체ㆍ심리ㆍ사회적 위축을 더 경험하게 한 일’로 도출되었으며 긍정적ㆍ부정적 의미를 모두 포괄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참여노인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상황과 맥락 속에서 해석되었으며, 특히 코로나19의 상황 속에서 참여노인들이 겪게 된 경험의 변화가 어떻게 일의 의미로 수용되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참여자 중심 관점에서 필요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재난을 고려한 노인일자리사업의 실천적ㆍ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 depth the meaning of work as perceived by older adults, based on their specific work experiences as participants in the older adult-to-older adult care activities under the public senior employment program, includ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o this end,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tilizing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six older adults who had been engaged in the program prior to the outbreak of COVID-19.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 total of 57 meaning units, 18 subcategories, and 8 core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meanings attributed to work by the participants before the pandemic included: “a means of leading an autonomous life,” “a source of vitality,” “provid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a support system,” “an opportunity they desperately desire but fear losing,” and “a cause of negative prejudice.” After the pandemic, the meanings included: “a more precious endeavor accepted as meaningful in a time of crisis,” “an unpredictable and unstable task,” and “a source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withdrawal.” These themes encompass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s. The findings were interpreted within the context of diverse situations experienced by older participants, particularly focusing on how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COVID-19 pandemic were internalized as meaningful aspects of their work.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key implications from a participant-centered perspective and proposes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suggestions for senior employment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societal cris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819-84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시니어클럽은 고용노동정책의 일자리기관과 소득보장정책의 사회복지기관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가지는 하이브리드형 조직이라 할 수 있다. 관련 연구들은 사업의 효과성이나 특정 사업단 단위의 성과 분석에 집중하였을 뿐, 시니어클럽이라는 조직 전체를 대상으로 성공요인을 규명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운영에 있어 우수한 평가를 받은 시니어클럽 3개소를 대상으로 조직이론 관점에서 성공요인을 탐색적으로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정부의 공식 평가에서 4년 동안 2번 이상 S등급을 달성한 시니어클럽 3개소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인터넷자료 및 심층인터뷰이다. 인터뷰는 기관장 3명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뷰를 위한 질문의 틀은 노인일자리사업 특성, 사업 참여자, 조직 및 물리적 환경, 인적자원 관리, 지역사회 네트워크 및 재원확보, 기관장 리더십의 6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각 요인별로 사례 내 분석(within-case analysis)과 사례 간 분석(cross-cas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분석대상 3개 기관 모두에게서 강력하게 발견되는 요인은 3가지(일자리사업 특성요인, 지역사회네트워크 및 자원확보, 기관장 리더십)로 확인되었고, 나머지 3가지(일자리사업 참여자, 인적자원관리, 조직구조 및 물리적환경)도 중등도 이상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전자의 강력한 3개 요인을 ‘필요 요인’(necessary condition), 후자의 3개 요인을 ‘충분 요인’(sufficient condition)으로 명명하였다. 즉, 시니어클럽의 성공을 위해서는 ‘사업아이템의 수월성’, ‘공격적 지역사회네트워킹과 자원동원’, 그리고 ‘적극적인 기관장 리더십’이 다른 무엇보다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지역상황과 특성에 따라 각 요인이 어떻게 상이한 모습으로 작동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Senior Club may be a hybrid-typed organization, providing both employment assistance under labor policy and social service under income maintenance policy. This study explores success factors of Senior Clubs, which have achieved the excellence award from the government. Three cases of Senior Clubs with Super-grade at least twice over four years were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in-depth interviews with 3 directors and 3 participants. The interview framework, based on organizational theory, including six dimensions: 1) senior employment program characteristics, 2) participant-related property, 3) organizational and physical environment, 4) human resources management, 5) community networking and resource mobilization, and 6) leadership. By performing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is, we found that three out of six appeared as strong success factors for all three clubs, which were senior employment program characteristics, community networking and resource mobilization, and leadership. The other three were also meaningful success factors. Authors named the former as “necessary conditions” and the latter as “sufficient conditions.” This suggests that “excellent planning of employment program, aggressive community networking and resource mobilization, and active leadership” are essential for success of Senior Clubs. The study also discusses how these factors appeared diversely depending on each club’s local context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887-91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단어 유창성 과제를 통해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한국 성인 세대의 의미기억 구조 및 어휘 네트워크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세대 간 언어 인지 구조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 어휘 산출률, 의미 지식 구조, 어휘 네트워크 구조, 동물 범주의 보편성과 다양성이라는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산출 수와 종 다양성 지표 분석 결과,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유사한 산출 능력을 보였으나, 노년층은 산출 수와 다양성 모두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다차원척도법을 통한 의미 구조 분석에서, 청년층이 비전형적 개념을 포함한 개방적·유동적 개념망을 형성하는 반면, 중장년층은 하위 범주 간 구획이 뚜렷한 안정적 구조를, 노년층은 중심 항목에 집중된 축소형 구조를 나타냈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청년층은 높은 중심성과 밀도를 지닌 응집력 있는 구조를 보였으며, 중장년층은 균형 잡힌 연결성을 유지하였다. 반면 노년층은 전체 연결 수와 밀도의 감소, 낮은 중심성 지표 등 단순화된 구조를 보여 정보 탐색 전략의 유연성 저하와 새로운 개념 연결의 어려움을 시사하였다. 넷째, 동물 범주의 보편성과 다양성 분석에서 다이스 거리 기반 군집 분석과 생물학적 분류 분석 결과, 포유류는 모든 세대에서 공통 중심 범주로 나타났으며, 9개 항목이 공통된 중심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포유류는 세대 간 다양성과 접근성 차이를 보여, 범주 확장 방식이 연령에 따라 다름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의 영향이 단순히 어휘 수 감소에 그치지 않고, 개념 연결 방식, 범주화 전략, 정보 탐색 방식 등 전반적인 인지 전략의 차이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세대별 언어 인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언어 평가 및 중재 전략 개발에 필요한 실질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emantic memory structures and lexical network characteristics across Korean adult generations―youth, middle-aged, and older adult―using a verbal fluency task.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1) average word production rate, (2) semantic knowledge structure, (3) lexical network structure, and (4) the universality and diversity of the animal category. First, analysis of word count and species diversity indicated that while the youth and middle-aged groups showed similar performance, the older adul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output and diversity. Second,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distinct generational patterns: the youth demonstrated open and flexible conceptual networks including atypical items; the middle-aged formed stable structures with clear subcategory boundaries; and the older adult showed reduced, centrally concentrated networks. Third, lexical network analysis showed high density and centrality in the youth group, balanced connectivity in the middle-aged group, and a simplified network with decreased connectivity and centrality in the older adult, suggesting reduced flexibility in information retrieval and conceptual integration. Fourth, cluster and biological classification analyses based on Dice distance revealed that mammals served as a central category across all generations, while non-mammals varied significantly by age group, reflecting different strategies of category expan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e-related differences in semantic memory involve not only quantitative decline but also fundamental shifts in conceptual organization and cognitive strategy.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age-sensitive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965-98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Andersen 모형에 기반해 서울시 저소득 노인의 복합적인 돌봄 욕구(1수준) 및 자치구 특성(2수준)이 돌봄서비스 총 이용금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치구 특성에 맞춤화된 노인 돌봄서비스의 중요성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1년 서울시 돌봄SOS센터 이용자 현황(N = 46,024)’ 및 서울시 행정데이터를 혼합매칭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만 65세 이상 저소득 노인 17,672명을 대상으로 다층모형(HLM)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5개 자치구에 따라 저소득 노인의 돌봄서비스 총 이용금액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다층모형의 기본 전제를 충족하였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통제했을 때, 저소득 노인의 복합적인 돌봄 욕구가 많을수록 돌봄서비스 총 이용금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치구 요인은 65세 이상 노인인구 수 혹은 자치구 주민 1인당 사회복지 예산과 저소득 노인의 돌봄서비스 이용금액 간에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반해, 노인의 공적 돌봄서비스 발전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Guided by Andersen model,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complex care needs (1-level) and community factors (2-level) on care costs among low-income older adults in Seoul. Data from Care SOS Center users in 2021 were matched with public data, and a subsample of 17,672 low-income older adults aged 65 or over was analyzed. This study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o separately examine 1-level and 2-level factors’ effects on the care cos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met a basic assumption of HLM, which means the estimated variance of the care costs statistically differs by community factors. Second,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complex care need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are costs. Finally, community factors such as older population and public welfare expenditures per capita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care cos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or eldercare servi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921-94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보장정보원이 구축하는 사회서비스정보시스템의 장기요양기관 기관공시 정보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기관 자료를 연계하여 SFA(Stochastic Frontier Analysis)를 기반으로 장기요양 시설급여 기관 중 노인요양시설의 기술적 비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기관의 비효율성은 대부분 1.2 이내로, 대부분의 노인요양시설에서 20% 이내의 추가적인 비효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효율성이 높은 상위 5개소와 하위 5개소를 비교하면 하위 5개소는 최적 비용보다 90~190% 초과된 비용을 지출하였다. 셋째, 비효율성을 선형회귀모형으로 추정한 결과는 중규모의 시설에서 비효율성이 높아지며, 설립 유형별로는 개인설립 기관이 타 설립유형대비 효율성이 높았으며, 수도권보다는 기타 광역시와 기타 시도에 위치한 기관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규모와 기술적 비효율성 관계를 2차 함수로 추정한 결과, 정원이 60인 내외의 규모에서 비효율성이 가장 높았다. 분석 결과에 기반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의 기술적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역별 표준 모형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정원이 50~70인 시설에 대한 운영 컨설팅 등 지원이 필요하며, 해당 규모이면서 기술적 효율성을 달성한 우수 기관의 사례를 발굴 및 공유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사회보험의 특성상 장기요양 수가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assesses the technical inefficiency of Korea’s long-term care facilities by applying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 to merged data from the Social Service Information System (SSIS)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Using a flexible Translog cost frontier estimated on 5,506 facility-year observations, we derive each facility’s inefficiency score―measured as actual cost relative to the estimated minimum cost for a given service level. Our results show that most facilities have inefficiency scores below 1.2 (up to 20% excess cost), whereas the five least efficient incur costs 90~190% above the frontier. A follow-up regression reveals that inefficiency is highest in medium-scale facilities (peaking at about 60 beds), and that privately operated facilities are more efficient than those run by corporations or local governments. Facilities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lso outperform their metropolitan peers. These patterns suggest that mid-scale providers face disproportionate fixed-cost pressures and that public or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s introduce additional overhead. We therefore recommend setting region-tailored efficiency benchmarks, offering targeted consulting to mid-scale providers, and sharing best practices from top perform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867-88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공개입양을 실천하는 부모와 아동의 경험을 탐색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이 함께 출연하고 입양 이야기를 중심으로 제작된 3 개 채널의 총 48편 영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중심주제는 ‘공개입양의 디지털 실천: 부모의 개 방적?지속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성장’으로 나타났다. 먼저, 부모들은 입양 과 관련된 사회적 편견을 줄이고 자녀의 심리사회적 성장을 지지하기 위해 유튜브에서 입양 사실을 공개하였다. 이는 입양 이야기를 사적 영역을 넘어 사회적 담론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부모의 개방적이고 일관된 의사소통은 아동이 친생모에 대한 질문과 상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복합 적 감정을 해석하도록 지지하였다. 셋째, 공개입양은 또래?친척 관계에서 의 낙인 경험에 더해 악성 댓글에 직면하게 되었지만, 동시에 입양의 보편 성을 알리고 가족 정체성을 옹호하는 장으로 기능하였다. 넷째, 부모의 주 도에서 시작된 공개입양은 시간이 흐르며 아동의 주체적 소통으로 확장되 었다. 이는 입양아동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주체적으로 표현하는 권리 주 체로 전환됨을 확인시켜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 특성을 고려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육, 디지털 지원체계 강화, 편견 완화, 온?오 프라인에서 아동의 알 권리와 참여권 보장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parents and children practicing disclosed adoption on YouTube. A total of 48 videos from three channels featuring children and centered on adoption narrativ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yielded four overarching categories, 10 subcategories, with the central theme identified as ‘Digital Practices of Disclosed Adoption: Parents’ Open and Sustained Communication and Children’s Growth’. First, parents disclosed their adoption status on YouTube to reduce social prejudice surrounding adoption and to support their children’s psychosocial development. This expanded the adoption narrative beyond the private sphere into the realm of public discourse. Second, parents’ open and consistent communication enabled children to ask questions, imagine their birth mothers, and work through ambivalent emotions in constructive ways. Third, disclosed adoption exposed children not only to malicious comments, adding to experiences of stigma within peer and extened family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it served as a platform to raise awareness of adoption’s universality and to advocate for family identity. Fourth, disclosure, initially driven by parents, gradually evolved into children’s autonomous expression over time. This finding highlights the transition of adopted children into rights holders capable of independently articulat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85-11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미혼 장애인의 가족건강성이 향후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21년도 4차 「장애인삶 패널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미혼 장애인 7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Baron &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가족건강성, 결혼의향, 자아존중감 관계가 장애유형에 따라 다른지 살펴보기 위해, 장애유형별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미혼 장애인의 가족건강성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높은 자아존중감 수준은 높은 수준의 결혼의향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가족건강성과 향후 결혼의향 간 관계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Sobel Z = 3.74, p<.001)으로 나타났다. 단, 장애유형별 분석 결과, 유의한 매개효과는 신체장애 유형, 지적 및 정신장애 유형에서는 나타났으나, 시청각장애 유형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the intention to marry among unmarri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alyzed were data from 755 unmarried individuals aged 19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4th wave (2021)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through Baron and Kenny’s (1986) three-step regression analyses and the Sobel tests. Supplementary subgroup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strengths, marriage intention, and self-esteem varied by type of disability. We found that higher levels of family strength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elf-esteem, which in turn were linked to stronger intentions to marr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marital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obel Z = 3.74, p < .001). However, thi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in individuals with physical, developmental, and mental disabilities, but not in those with visual or hearing impair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341-37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따라 이질적인 하위 집단을 도출하고, 각 집단 간 학업열의, 학업무기력, 진로적응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22년 기준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2,252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정서행동문제의 다섯 하위 영역(우울, 사회적 위축, 신체증상,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을 기준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간수준 정서행동문제(48.3%)’, ‘저수준 정서행동문제(25.3%)’, ‘주의집중 문제?공격성(6.5%)’, ‘고수준 정서행동문제(19.9%)’의 네 개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집단 간 학업 및 진로 관련 변인 비교 결과,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저수준 정서행동문제 집단은 가장 높은 학업열의와 진로적응력을 보이는 동시에 가장 낮은 학업무기력 수준을 나타냈으며, 고수준 정서행동문제 집단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특히 주의집중 문제?공격성 집단은 학업열의에서 최상위 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학업무기력은 가장 높은 수준을, 진로적응력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행동문제의 전반적인 수준뿐만 아니라 구성 양상에 따라 학업 및 진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 및 상담 개입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관련 실천 및 정책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subgroups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pattern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examined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helplessness, and career adaptability. Data were drawn from the fifth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ample consisted of 2,252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2022.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ive dimension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somatic symptoms, attention problems, and aggression. Four distinct latent groups emerged: the moderate-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group (48.3%), the low-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group (25.3%), the attention problems-aggression group (6.5%), and the high-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group (19.9%).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all outcome variables. The low-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group demonstrated the highest academic engagement and career adaptability, along with the lowest levels of academic helplessness. In contrast, the high-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group generally exhibited adverse outcomes across all domains. Notably, the attention problems-aggression group showed an academic engagement level that was statistically comparable to that of the highest group, while exhibiting the highest academic helplessness and the lowest career adapt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ot only the overall severity but als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can be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adolescents’ academic and career adjustment. The study offers insights that may inform the design of tailored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based on a nuanced understanding of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fil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77-10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ADHD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태도와 학교적응 요인을 분석하고, ADHD 증상 수준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집단별 맞춤형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10대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자료 중 초등학생 2,039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ADHD 증상 수준에 따라 일반군(50분위), 경계군(80분위), 위험군(90분위)으로 구분하여 분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양육태도(거부, 강요, 비일관성)는 ADHD 증상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세부 요인은 분위에 따라 ADHD 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특히 경계군에서는 ‘강요’가, 위험군에서는 ‘거부’가 유의미한 가운데 ‘비일관성’은 공통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학교적응 요인 중에서는 모든 분위에서 ‘학업유능성’과 ‘학교생활’이 ADHD 증상에 부적 영향을, ‘또래관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증상 완화를 위해 가정 내 일관된 양육환경 조성과 정서적 수용 경험, 학교 내 성공 경험의 축적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증상 수준별 맞춤형 개입 전략의 필요성과 학교사회복지적 실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s and school adjustment on ADHD sympto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their differential impacts according to symptom severity, thereby informing tailored intervention strategies. Data were drawn from the “Mental Health Survey of Teenager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21, with responses from 2,039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alyzed. Based on ADHD symptom level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he general group (50th percentile), borderline group (80th percentile), and high-risk group (90th percentile), and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arenting styles-namely rejection, coercion, and inconsistency-had significant aggravating effects on ADHD symptoms, with varying impacts across symptom levels. Coercion was most salient in the borderline group, rejection in the high-risk group, and inconsistency was identified as a consistent risk factor across all groups. Second, among school adjustment factors, academic competence and school lif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with ADHD symptoms across all quantiles, while peer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associ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stent parenting, emotional acceptance at home, and the accumulation of successful experiences at school for mitigating ADHD symptom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stratified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school social work practi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49-7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각 경로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차 웨이브 8차(2023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직무만족이 높아지면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두 집단 모두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 형태에 따른 직무적합성을 고려한 직무설계와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고용정책 수립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i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this mediating pathway differ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8th wave of the secon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in 202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First, job suit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indicating that higher job suitability is associated with stronger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ui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greater job suitability led to increased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enha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effect of job suitability on job satisfac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employment type. Partial mediation was found in both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differentiated employment policy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job satisfaction and designing jobs that reflect job suitability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199-22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정신질환자 보호자의 돌봄 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신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정기적 이용 여부, 이용 기관 수)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정신질환자 보호자 39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으로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질환자 보호자의 돌봄 부담은 삶의 만족도에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정신재활서비스 정기적 이용 여부와 돌봄 부담의 상호작용항이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향후 정신재활서비스의확대와 보호자 지원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sleep, a crucial factor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re portrayed in picture books. To achieve thi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24 domestic and international picture books in which sleep serves as a central theme. The analysis focused on the frequency and narrative content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haracters and the process leading to sleep.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among the types of characters shown sleeping, animals we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young children, with boys more commonly represented than girls. Mothers were most frequently depicted as caregivers assisting with sleep. Second, regarding the pre-sleep process, bedtime routines most often included basic daily activities and the use of attachment objects. Resistance to sleep was more commonly portrayed than smooth transitions to sleep. In terms of sleep environments, the most common setting was the familiar home environ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icture books can serve as effective tools for parents and educator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sleep-related behaviors and emotional expressions. Furthermore, the result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icture books related to slee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부모교육학회
    * 페이지 : 193-21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랜드와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가 강원도 정선 지역 6개 학교에서 시행한 학교사회복지사업의 성과와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2012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해 학생들의 자기존중감, 회복력, 생활만족도, 학교 및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식 등의 변화를 시계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개인에 대한 인식 변수인 자기존중감, 회복력, 생활만족도의 연도별 평균은 일부 기간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환경체계에 대한 인식의 경우, 학교, 학교생활만족도,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식 등에서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시계열분석 결과, 자기존중감, 학교에 대한 인식,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로 확인되었다. 학교사회복지사업의 이용 유무에 따른 분석 결과, 대부분 주요 변수에서 학교사회복지사업 이용집단이 미이용집단에 비해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에 대한 인식, 학교생활만족도,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식 등은 차이가 크고, 이 중 자기존중감, 학교에 대한 인식,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인식,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학교사회복지사업의 실천적, 연구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and effectiveness of the school social work program implemented by Kangwon Land and the Korea School Social Workers Association in six schools located in Jeongseon, Gangwon Province. To achieve this, annual survey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24 were utilized to conduct a time series analysis on changes in students' self-esteem, resilience, life satisfaction,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and school social workers. The results showed a gradual upward trend in the annual averages of personal perception variables, including self-esteem,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certain periods. Notably, perception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system-such as the school,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social workers-showed a distinct upward trend. The time series analysis confi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esteem, perceptions of the school, school life, school social workers, and the community. Analysis based on program participation revealed that most key variables had higher average scores for the group engaged in the school social work program compared to the non-participating group. Particularly, perceptions of the school,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social workers showed large differenc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firmed for self-esteem, school perception, percep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percep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research-oriented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advancement of school social work program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5-4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아동에 대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학대 수준별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에 속할 확률을 설명하는 아동, 부모, 가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5차년도 자료(2022년도; 중학교 3학년)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과 OLS, 다중로짓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높은 성취압력과 낮은 학대’, ‘성취압력과 학대 모두 낮은 수준’, ‘높은 성취압력과 정서학대’, ‘높은 성취압력과 신체 및 정서학대’ 의 4개 유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가장 비중이 높은 ‘성취압력과 학대 모두 낮은 집단’에 속할 확률은 대체적으로 아동의 성별이 여자일 때, 미디어기기 고위험 사용집단이 아닐 때, 어머니의 일반적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 때, 형제자매 수가 많고 사교육비가 적을 때 높았다. 셋째, 스마트폰 고위험 사용집단에 해당될 경우 ‘성취압력과 학대 모두 낮은 수준’에 비해 ‘높은 성취압력과 낮은 학대’, ‘높은 성취압력과 정서학대’, ‘높은 성취압력과 신체 및 정서학대’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방안 및 추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lassified latent types based on the levels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hild abus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parents, and households that explai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type. Data were drawn from the 15th wave (2022)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focusing on students in the 9th grade (middle school third year). Latent profile analysis (LPA), ordinary least squares (OL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the analys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PA identified four distinct profiles: (1) high achievement pressure and low abuse, (2) low achievement pressure and low abuse, (3) high achievement pressure and emotional abuse, and (4) high achievement pressure with both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Second,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into the “low achievement pressure and low abuse” group-the most prevalent type-was higher among girls, those not classified as high-risk smartphone users, those whose mothers reported lower general stress levels, those with more siblings, and those with lower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ird, children identified as belonging to the high-risk smartphone usage group were more likely to fall into the other three profiles-those involving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pressure and varying forms of abuse-compared to the baseline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정신질환자 보호자의 돌봄 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신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정기적 이용 여부, 이용 기관 수)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정신질환자 보호자 39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으로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질환자 보호자의 돌봄 부담은 삶의 만족도에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정신재활서비스 정기적 이용 여부와 돌봄 부담의 상호작용항이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향후 정신재활서비스의확대와 보호자 지원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our domains for enhancing the social value of care services provided by home-based care workers and to deriv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lder adult welfare. To achieve this, the study employed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n home-based care workers with at least three years of experience.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jor domains: improving social recognition, addressing employment instability and low wages, rectifying unfair treatment, and strengthen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In the first domain, four themes emerged: education for older adults receiving service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efforts to raise public awareness, the need for initiatives from institutions and their staff, and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among care workers. In the second domain,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improving the wage system, reforming the allowance system, and enhancing working conditions. The third domain highlighted four themes: the importance of guidance on the use of formal titles, the necessity for institutional measures to sanction service users who engage in unfair treatment, the need for private institutions to evaluate staff from public agencies representing the government, and the self-protective strategies of care workers. In the final domain, two themes were identified: establishing channels for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making and creating regular case meetings within institution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ressing opinions on client care.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discussion points and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were propo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페이지 : 5-4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정신질환자 보호자의 돌봄 부담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신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정기적 이용 여부, 이용 기관 수)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정신질환자 보호자 39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으로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질환자 보호자의 돌봄 부담은 삶의 만족도에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정신재활서비스 정기적 이용 여부와 돌봄 부담의 상호작용항이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향후 정신재활서비스의확대와 보호자 지원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 burde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role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 utilization in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99 caregivers across the nation, assessing their levels of care burden, life satisfaction, and experience with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are burden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le the utilization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s moderated this negative impact. Specifically, among caregivers who had experience us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s, the adverse effect of care burden on lif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allevia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 burden negatively influences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and that regular utilization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s may mitigate this negative effect. The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expansion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s and the need for targeted support services for caregiv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9-212
    * DOI : http://dx.doi.org/10.24301/MHSW.2025.9.53.3.189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4차년도 자료 중(2021년 기준) 고등학교 1학년 2,2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 SPSS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그릿 및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지각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그릿 및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그릿과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있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은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eather gri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2,265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as of 2021)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rom the 4th year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4.2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osi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i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grit and life satisfaction. Grit and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grit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ositive and negative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confirmed that grit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life satisfaction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부모교육학회
    * 페이지 : 263-28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