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논문통합 검색

논문 통합검색

남양주 희망케어센터와 경기도 무한돌봄센터의 사회복지전달체계로서의 적절성 비교

Comparison of Adequacy of the “Hope Care Centers” in Namyangjoo Si and the “Unlimited Care Centers” in GyeongGi Do as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s

사회보장연구

2013, vol.29, no.4, pp.109~134(25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662.2013.29.4.006

한국사회보장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보장연구

박경숙

(경기대학교); 장명숙

초록


확대되고 있는 사회복지급여와 서비스가 국민의 욕구에 맞추어 적절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오랫동안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과제로 남아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번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개편이 시도되었고 그동안 지자체 현장에서도 다양한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 모형들이 시행되었다. 본 논문은 희망복지지원단의 모체라고 볼 수 있는 남양주 희망케어센터와 경기도 무한돌봄센터의 적절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각 센터의 내부종사자와 외부 협력기관의 사회복지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희망케어센터와 무한돌봄센터의 적절성을 실행구조와 성과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희망케어센터가 외부 협력기관 사회복지전문가들로부터 무한돌봄센터보다 대부분의 적절성 문항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으나 내부종사자들로부터는 자원개발, 접근성향상, 네트워킹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결과로부터 남양주 희망케어센터처럼 일반행정기관으로부터 독립된 조직에서 권역별로 접근성을 높이면서 자원개발과 서비스연계, 사회복지전문사례관리에 민관이 협력하여 집중하는 체제가 향후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Inadequate delivery of the increasing social welfare benefits and services on behalf of the people’s needs has been the unsolved problem for the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a long time. Several different pilot projects have been attempted at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and various social werlfare delivery models were newly implemente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paper tries to compare adequacy of the “Hope Care Centers” in Namyangjoo Si and the “Unlimited Care Centers” in GyeongGi Do as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s. Adequacy of these delivery systems was evaluated at the two different levels-operating structure and performance outcome- by the workers in the two centers and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othe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same local areas. The “Hope Care Centers” received better evaluation than the “Unlimited Care Centers” on the most of the questions for adequacy evaluation from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othe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y also received better evaluation on the questions about resource development, accessibility and necessity of networking from the workers in the two centers.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develop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hich is independent from the public administration office, is more accessible to people by setting up the frontline offices at the more local levels than county level, and provides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between the public and non public workers for case management, resource development and service linkage.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