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논문통합 검색

논문 통합검색

[노인]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2967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를 검증하고,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집단에 따른 경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구축한 장애인삶 패널조사(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인 5차(2022년)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며, 연구 대상은 만 50세 이상인 장애노인 2,570명 이다. 분석 방법은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다집단 분석을 실 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노인의 가족건강성은 삶의 만족에 정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은 장애노인의 가족건강성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집단 간 다집단 분석 결과, 장 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경로는 노령화 장애인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 반면, 장애수용 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경로는 노인성 장애인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 과를 바탕으로 장애발생시기를 고려한 장애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t further investigates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pathways between two groups: those aging with disability and those experi- encing disability with ag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5th wave (2022)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established by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The sample included 2,570 individuals aged 50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 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ngt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Second,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paths between the two groups. Specifically,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 ance on self-esteem was stronger among those aging with disability, while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on life satisfaction was stronger among those with disability due to ag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e im- 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by considering the onset timing of disabil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개발원
    * 페이지 : 212-244
    * DOI : http://dx.doi.org/10.36064/koddi.2025.16.1.008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와 우울의 관계를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이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주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모두 응답한 노인 9,87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1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관계에서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이 좋을수록 이들의 관계를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이 좋으면 낮은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으로 인한 우울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향상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디지털교육서비스 지리적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geographic accessibility to digital education servi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Utilizing secondary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analysis was based on a sample of 9,875 older adults who provided complete responses to all key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Moder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1 (Hayes, 2018).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device us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suggesting that lower levels of digital engagemen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digital education servic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greater accessibility buffering an adverse impact of limited digital device use on de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hancing physical access to digital education services might mitigate ment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digital exclusion in later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promoting digital inclusion and addressing mental health disparitie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페이지 : 65-9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인 노인 배우자 돌봄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노인 배우자 돌봄 경험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수행한 국내 학술지(KCI등재지) 연구 논문 9편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의 돌봄자 되기’, ‘배우자를 돌보는 삶의 민낯’, ‘돌봄의 삶을 이어가기 위한 적응전략’, ‘ 불안을 안고 성장하는 돌봄의 삶’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돌봄의 의미, 돌봄 책임, 노인 돌봄 배우자의 자기 돌봄을 중심으로 논의하였고, 노인 돌봄 배우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are giving of spouses of elderly. To th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used that systematically analyzed qualitative studies on caring experiences of elderly spousal conducted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9 research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 caring experiences of elderly spouses. Key themes are becoming a caregiving for an elderly spouse, the bare face of my life caring for spouse, Adaptation strategies to continue the life of care, manage to the life of care by communicating with various support systems, a life of care growing with anxiety. Based o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care experience of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their spouses, care responsibility, and the 'self-care' of the elderly who take care of their spouses were discussed, and practical direc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pouses we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7-9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만성질환 노인 3인의 돌봄 수혜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재가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사례연구로 분석하였다. 사례내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돌봄에 부여하는 의미와 돌봄에 영향을 미친 생애와 병고. 그리고 돌봄을 받는 아픈 노인들이 인식하는 삶과 돌봄의 의미에 돌봄 상호작용이 미친 영향을 기술하였다. 사례간 분석에서는 각각의 개별 연구참여자 사례를 관통하며 나타나는 돌봄제공자와의 관계 경험의 의미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생애와 이어지는 돌봄의 의미 짓기’, ‘빈곤과 노화로 깊어진 질병, 그리고 고독’, ‘갈등과 수용의 반복, 돌봄 받기’, ‘안분지족의 삶’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잘 다루지 않은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재가 노인들의 돌봄 수혜경험을 주제화시켜 당사자의 관점에서 돌봄 수혜경험의 복잡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을 중심으로 노인 돌봄실천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care-receiving experiences of three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living at hom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analysis within the case described meanings that research participants attached to care, life experiences, and illnesses that might have influenced care, the impact of care interactions on perceptions of life, and the meaning of care among the sick elderly receiving care. The analysis between cases derived ‘the participants' meaning-making of care throughout their lives', 'diseases deepened by poverty and aging, and loneliness', 'repetition of conflict and acceptance, receiving care', and 'a life of conten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hematizes the experience of receiving care for elderly people who use nursing care services at home, and present the complexity of car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ipients. It suggests specific directions for supporting elderly care practices centered on main implications derived from results of this stud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페이지 : 29-6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와 욕구충족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노인 472명을 대상으로 SPSS 26.0과 PROCESS Macro v4.2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건강성도 긍정노후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가족건강성이 자원봉사활동동기와 긍정노후인식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특히, 욕구충족도는 자원봉사활동동기가 가족건강성을 경유하여 긍정노후인식에 도달하는 경로를 조절하며, 욕구충족도의 수준에 따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변동이 나타났다. 욕구충족도가 높아질수록 긍정노후인식이 증가하였으나, 낮은 경우 자원봉사활동동기의 직접적인 효과가 더욱 컸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 지원체계와 욕구충족도가 노인 복지 정책 설계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며, 지역사회 기반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가족 단위의 지원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on positive aging awareness in older adults,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needs satisfaction.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472 senior volunteers and analyzed through SPSS 26.0 and PROCESS Macro v4.2 for frequencies, reliability,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y significantly improved family health, which, in turn, statistically contributed to a more positive aging awareness in older adults. Family health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positive aging awareness. Notably, needs satisfaction moderated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heightened needs satisfaction increased positive aging awareness, while those with lower needs satisfaction experienced a stronger direct effect of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on positive aging awareness. Based on these outcomes,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strong family support mechanisms and effective needs satisfaction strategies into eldercare policy frameworks, advocating for community-level counseling,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creation of family-based support system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페이지 : 5-2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이 어떻게 마약류를 사용하게 되고 중독에 이르게 되는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 7명을 사례자로 선정하고 1:1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과 Poth(2024)가 제안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사례자들은 성정체성 및 성적지향 혼란(말할 수 없는 비밀), 나와 비슷한 사람 찾기, 성적 욕구 해결을 위한 가벼운 만남, 파트너의 권유와 호기심, 긍정적 약물 경험, 낮아진 약물 재사용 장벽, 잊을 수 없는 기억, 급격히 늘어난 약물 사용량(직접구매), 개미지옥(약물 사용을 위한 성관계)이라는 단계별 중독 과정을 경험했다. 또한 연구자들은 사례자들이 마약류 중독에서 헤어 나올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이른바 ‘개미지옥’에 빠지게 만든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자들이 경험한 개미지옥은 육체적 금단과 갈망, 사회적 차별과 낙인으로 인한 스트레스, 자기 파괴적 심리, 자기혐오와 관련이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청소년 대상 성정체감 및 성적지향에 대한 교육, 마약류 인식 및 감염병 예방 교육, 마약류 중독 성소자들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낙인 해소를 위한 인식 개선 활동과 내면화된 자기 파괴 및 자기혐오 심리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를 실천 및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in elderly carers of grandchildre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questionnaire was revis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targeting 30 elderly carers of 65 years of age. Afterwards, 29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a deliberate sampling, and 28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7 questionnaires that were unsuitable for the study due to age and fixed response.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in elderly carers of grandchildre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were verified by apply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in elderly carers of grand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 control factors and external control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depression and locus of control. In addi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 subfactor of locus of control, was found to affect depression, but external locus of control did not affect depression. Finally, internal locus of control, a subfactor of locus of control,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but external locus of control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 페이지 : 89-11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조직 내 의사소통과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모형의 검증에는 Process Macro의 Model 4를 활용하였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 내 의사소통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조직 내에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교사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키고 업무수행을 향상시켜,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으로 이어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였다. 또한, 잡크래프팅 역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영유아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업무를 재구성하거나 업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때,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정서적 탈진 수준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소진을 완화하기 위해 조직 내 의사소통과 잡크래프팅을 촉진하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조직 차원에서 정기적인 피드백 제공, 팀워크 강화 워크숍 운영, 자율성 증진 프로그램 도입 등의 실천 전략은 교사들의 심리적 안정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영유아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and stress-coping theory. It examine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It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evidence for developing integrated policies and interventions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aging populations. Drawing on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Older Persons in Korea, the study analyzes responses from 8,558 self-reported cases of adults aged 65 years and above, excluding those with diagnosed depression. The research design specifies multimorbidit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depressive symptom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as moderating variables.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Model 2. The findings reveal that multimorbidity significantly increases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Poor nutritional status positively correlates with depressive symptoms, while cognitive function shows a negative association. Furthermore,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joi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morbidity and depressive symptoms. Specifically, older adults with poorer nutritional status and lower cognitive function experience a more pronounced negativ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urgent need for multidimensional and integrated support strategies that simultaneously address older adults' physical, nutritional, and cognitive health to improve their mental well-being in an aging society.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5-3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public rental housing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neighbor rel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data from 999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responded to the Seoul Housing and Urban Corporation Resident Panel Survey in 2019.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PSS 25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tt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public rental housing, the lower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Furthermore,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revealed that neighbor rela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p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 recommend ways to strengthen support and interventions for neighborhood interactions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28
    * DOI : http://dx.doi.org/10.24301/MHSW.2025.6.53.2.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기술이 다양한 보건복지제도 내에서 적용 가능한지에 대해 살 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복지기술에 관한 문헌연구를 조사하고, 관련 제 도와 사업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건복지서비스의 각 개별제도에서 복 지기술의 적용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서비스 바우처에서 복지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이 있었다. 둘째, 중앙정부 돌봄에서 독거노 인 및 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서 복지기술이 적용되고 있었 다. 셋째,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복지기술이 적용된 복지용구 시범사업이 있었다. 넷째, 보건소 사업 및 건강보험 장애인 보장구에서 복지기술이 적용되고 있었다. 다섯째,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과 지자체 자체사업에서 복지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 었다. 공통적으로 복지기술은 보건복지제도에서 활용이 되거나 도입논의가 되고 있었다. 동시에 복지기술이 적용된 주요 제도에서 복지기술 관련기기의 구매비용, 유지보수비용, 업데이트 문제 등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에서 복지기술을 활용한 보건복지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welfare technology is applicable within various health and welfare systems.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on welfare technology is investigated. And, related systems and projects are theoretically explored. Based on this, it is intend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welfare technology in health and welfare syste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mart social service pilot project in which welfare technology was applied from social service vouchers. Second, welfare technology was applied to emergency safety servic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disabled,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central government. Third, there was a pilot project for welfare equipment to which welfare technology was applied i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Fourth, welfare technology was being applied to the public health center project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curity equipment for the disabled. Fifth, welfare technology was applied in various ways in the pilot project for integrated medical care support for the elderly and the local government’s own project. In common, welfare technology was being used or discussed about its introduction in the health and welfare system. At the same time, purchase costs, maintenance costs, and update problems of welfare technology-related devices were found in major systems to which welfare technology was appli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were presented so that health and welfare services using welfare technology can be stably provid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53-28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분배와 인정을 통합한 포괄적 정의론의 사회복지적 유용성이 경험적 도구 화의 한계로 관념적 수준에 머물러 있고, 지자체의 고령사회 대응이 현실 진단의 부재 위에 이루어진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첫째, 경제적 분배, 문화 적 인정, 정치적 대표로 구성된 ‘노인을 위한 포괄적 정의’의 지표를 구성하고 둘째, 17 개 광역지자체의 ‘노인에 대한 포괄적 정의’의 이념형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 다. 문헌 연구와 델파이조사를 통해 분배, 인정, 대표, 세 개 차원의 18개 지표로 구성된 ‘노인을 위한 포괄적 정의’의 지표를 최종화했다. 이를 이용한 퍼지셋 이념형 분석을 통 해 17개 광역지자체로부터 ‘노인을 위한 포괄적 정의’의 8개 이념형과 각 이념형 별 사 례를 밝혔다. 예를 들면 세종, 전북, 전남은 분배, 인정, 대표 모두 양호한 가장 정의로운 이념형에 속한 반면, 부산, 인천, 경기는 정의의 세 차원 모두 취약한 가장 부정의한 이 념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포괄적 정의론의 사회복지적 유용성을 관념적 차원을 넘어 경험적 차원으로 확장하고, 노인에 대한 포괄적 정의의 공간에서 각 지자체의 좌표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지자체별 노인복지 정책의 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is research is grounded in two fundamental issues: first, that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rehensive Theory of Justice―integrating distribution and recognition―to the field of social welfare remains largely conceptual due to limitations in empirical operationalization; and second, that local governments’ responses to an aging society often proceed without an adequate diagnosis of present realiti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first, to construct indicators of “comprehensive justice for older adults” comprising economic distribution, cultural recognition, and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second, to analyze the ideal types of such justice across 17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surveys, the study finalized a set of indicators for comprehensive justice for older adults, consisting of 18 items across the three dimensions of distribution,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Employing a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based on these indicators, the study identified eight ideal types of comprehensive justice among the 17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and presented representative cases for each type. For example, Sejong, Jeonbuk, and Jeonnam were classified under the most just ideal type, exhibiting strong performance across all three dimensions, whereas Busan, Incheon, and Gyeonggi were identified as the most unjust, performing poorly in all dimen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s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rehensive theory of justice to the field of social welfare by moving from a conceptual to an empirical domain, and provides a spatial mapping of each local government’s position regarding comprehensive justice for older adults. Such insights enable more targeted and context-specific elderly welfare policies at the local level.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543-57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한 사회가 사회재난에 대응하고 회복하는 데 있어 재난 피해자의 관점이 반영된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재난으로 외상적 사별을 경험한 유 가족의 관점에서 재난 피해 완화와 외상 회복을 위해 필요한 사회 변화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도에 발생한 이태원 참사로 자녀를 사별한 부모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주제분석을 통해 총 3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 였다. 연구결과, 사회재난 발생 이후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제도와 절차 마련, 사회재난 피해자와 유가족의 일상 회복을 위한 심리적 지원, 사회재난에 대한 사회적 애도 증진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재난 유가족 당사자의 관점에서 사회재난 피해를 완화하고 유가족들의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변화를 이해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당 사자뿐 아니라, 심리지원 전문가, 정부 및 관련 기관, 사회구성원 모두의 협력이 필요한 변화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economic well-being of Korean elderly by adopting an extended income framework that encompasses both traditional cash income and social in-kind transfers. Utilizing data from sources such as the Cross-National Equivalent File (CNEF), the Luxembourg Income Study (LIS), national panel studies, and national accounts across 12 countries, the analysis reveals that Korean elderly rank among the lowest in extended income levels. This deficiency manifests in elevated poverty rates and pronounced income inequality within this demographic. Notably, at the market income stage, the income levels of Korean elderly are not significantly inferior to those in other countries. However, the disparity becomes markedly pronounc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transfer mechanisms, particularly those centered around public pensions. This trend underscores Korea’s persistent reliance on market forces and highlights the inadequacy of public provision, positioning it as a ‘welfare-lagging’ nation. To enhance the economic well-being and ensure a stable livelihood for the elderly, it is imperative to restructure the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This entails restoring the robustness of cash transfers, primarily through public pensions, and reinforcing the complementary functions of social in-kind transfers.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475-50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기술이 다양한 보건복지제도 내에서 적용 가능한지에 대해 살 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복지기술에 관한 문헌연구를 조사하고, 관련 제 도와 사업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건복지서비스의 각 개별제도에서 복 지기술의 적용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서비스 바우처에서 복지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이 있었다. 둘째, 중앙정부 돌봄에서 독거노 인 및 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서 복지기술이 적용되고 있었 다. 셋째,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복지기술이 적용된 복지용구 시범사업이 있었다. 넷째, 보건소 사업 및 건강보험 장애인 보장구에서 복지기술이 적용되고 있었다. 다섯째,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과 지자체 자체사업에서 복지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 었다. 공통적으로 복지기술은 보건복지제도에서 활용이 되거나 도입논의가 되고 있었다. 동시에 복지기술이 적용된 주요 제도에서 복지기술 관련기기의 구매비용, 유지보수비용, 업데이트 문제 등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에서 복지기술을 활용한 보건복지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a husband’s share of household responsibilities influences the career aspirations of married female managers, mediated by family-to-work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961 married female managers with minor children, drawn from the 2022 Korean Women Manager Panel Survey.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and the dual mediation model was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Hayes’ PROCESS Macro 4.0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show that as the husband’s share of household responsibilities increases, the wife’s career aspirations also increases. Moreover, family-to-work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ual burden experienced by married female managers by explaining the link between household labor division and career aspirations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family-to-work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at the family, corporate, and national levels to support women’s career sustainability and to reduce gender inequality in domestic labor.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321-35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과 노인의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건강상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동으로 수행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0, PROCESS macro v4.2 프로그램 중 모델 7을 활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참여활동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친화적인 지역사회환경을 구축하면 노인들이 다양한 사회참여활동에 많이 동참하게 되면서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이 매개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건강상태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를 저집단, 중집단, 고집단으로 구분하여 평균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건강상태가 저집단이지만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이 우수할수록 사회참여활동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친화 지역사회 환경 조성이 신체적으로 취약한 노인들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들을 위한 사회참여 기회 확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의 영향력이 더 커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냄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 정교한 정책적 논의를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health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co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ve a mediating effect, and this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controlled by the health statu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change amount by dividing the health status into low group, middle group, and high group, the lower the health status, but the better the elder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the higher the increase i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is means that even if the health status is not goo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re also higher if the elder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is goo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existing research and enabled elaborate policy discussions by empirically revealing that the lower the health status,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elderly-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페이지 : 335-35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방문요양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지불의사금액(WTP)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위한 실증적 근거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강원도 동해시, 삼척시, 강릉시에서 777명을 대상으로 2024년 9월 2일부터 9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와 일대일 면접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과 토빗(Tobit) 모형을 적용하여 지불의사금액(WTP)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고, 빈도분석,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연구 결과, 방문요양서비스의 평균 지불의사금액(WTP)은 166,478원으로 추정되었으며, 학력과 재산은지불의사금액(WTP)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연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건강 상태가 좋은 집단은 높은 WTP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와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월수입이 높은 집단에서 지불의사금액(WTP)이 높았고, 서비스 미이용자는 이용자보다 더 높은 지불의사금액(WTP)를 보였다.결론적으로, 방문요양서비스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가족 돌봄 부담 경감에 중요한 경제적 가치를 지니며, 학력, 재산, 건강 상태 등이 지불의사금액(WTP)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를 반영한 정책과 맞춤형 서비스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home care services, a core componen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its policy implica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 to 30, 2024, with 777 respondents from Donghae, Samcheok, and Gangneung in Gangwon Province. A structured survey and face-to-face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and Conditional Value Measurement (CVM) and Tobit model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willingness to pay (WT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WTP for home care services was 166,478 KRW. Education level and assets had a positive impact on WTP, while age showed a negative effect. Those with better health had higher WTP, and social support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were also positively related to WTP. Higher monthly income groups exhibited higher WTP, and non-users of the service had a significantly higher WTP than current users. In conclusion, home care services hold significant economic valu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alleviating caregiving burdens. The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considering factors such as education, wealth, and health status, along with tailored service design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 of home care servi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275-29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성공적 노화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성공적 노화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도 제한 없이 2023년 7월 26일까지 기간을 설정하여 국내 학술지 중 KCI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연구물의 국문 초록 279편을 선정하였고, 데이터 전처리를 거쳐 최종 720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NetMiner 프로그램을 활용해 키워드 빈도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키워드 간 연결성을 확인하고 시각화하였다. 또한,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8개의 토픽(다차원적 접근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 중장년기의 성공적 노화, 노후 여가활동 및 노후준비를 위한 정책개발, 성공적 노화 개념의 사회적 영역,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사회적 관계 및 긍정성 향상, 노년기 교육의 욕구와 전생애 발달 관점에서 평생교육의 확장 필요성, 고령사회 여성 노인의 건강, 성공적 노화태도 형성을 위한 학습참여와 문화자본 확충)을 도출하고, 토픽네트워크 구조를 시각화하여 2개의 연결그룹을 확인하였으며 토픽의 시기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 노화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조망하고, 향후 성공적 노화 연구의 발전적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successful aging research by using topic modeling, and to seek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al research. To this end, a total of 279 academic papers for the abstracts related to successful aging which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cademic Registration (KCI), were selected by July 26, 2023 with no year restrictions. and extracted 720 keywords through data preprocessing. Based on th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to identify and visualize the connectivity between keywords. In addition, eight topics (influencing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a multidimensional approach,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phase, policy development for leisure activities and preparations for old age, social domain of successful aging concept, enhancement of social relationships and positivity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esire for education in old age and need to expand lifelong education from a whole-life development perspective, health of older women in an aging society, engage in learning and build cultural capital for successful aging attitudes) were derived using topic modeling. and visualized the topic network structure to identify 2 connectivity groups, and the change of topics over time was analyzed. through this, we reviewed the overall trend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ging researc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217-24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노년기에는 건강 문제와 사별, 사회적 고립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는 우울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 노화태도와 신체활동은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지적·행동적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뿐만 아니라, 신체활동 유형의 이질성으로 인해 우울과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 총 410명을 대상으로 노화태도, 신체활동, 성별이 우울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고, 신체활동의 하위유형(예, 여가, 가사, 직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평균 월 소득과 주관적 건강 상태를 통제한 후에도, 부정적인 노화태도는 우울을 가장 잘 설명했고, 노화태도와 신체활동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했다. 그러나 노화태도와 신체활동, 성별의 삼원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신체활동의 하위유형에 따른 결과는 모두 유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긍정적인 노화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노화태도와 신체활동은 서로 우울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정 영역의 신체활동 수준을 높이는 것보다 다양한 유형의 신체활동을 전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우울 예방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As well as social isolation, frequent health issues and loss of loved ones contribute greatly to the vulnerability of elderly individuals to depression. Aging attitudes and physical activity are recognized as key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However, the accurat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is difficult to ascertain due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the heterogeneity of physical activity typ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aging attitudes, physical activity, and gender on depression in a sample of 410 elderly individuals. It also examined the impact of different subtypes of physical activity(e.g., leisure, household, occupation) on depress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average monthly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negative aging attitudes were the strongest predictor of depression. Whil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ing attitudes and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involving aging attitudes, physical activity, and gender wa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he results concerning different subtypes of physical activity were largely consist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intaining positive aging attitudes is crucial for prevent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Both aging attitudes and physical activity may serve as protective factors against depression. Enhancing overall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cross various domains rather than focusing on increasing activity levels in specific areas c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depress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93-21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 정착 주기 장기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결혼이주 여성노인의 노화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한국에 거주한 지 20년이 넘은 결혼이주여성 중 55세이상의 여성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 내 분석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은‘불행한 과거를 보상해 줄 노년, 안개 속 희망 품기’,‘진짜 가족이 있는 모국에서의 노후를 기대하며 기다리기’,‘감사로 채운 과거와 현재에서 설레이는 미래 기다리기’,‘내 힘으로 성실하게 나의 진짜 삶 준비하기’로 나타났다. 각 사례를 통합하여 분석한 사례 간 분석에서는‘소망과 달랐던 결혼생활’,‘나의 무기, 나의 일’,‘나의 뿌리는 자녀들, 자녀들의 뿌리는 한국’,‘망설이며, 만족하며, 준비하는 나의 노년’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결혼이주 여성노인의 노화과정에서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ging experience of elderly marriage migrant women, which is increasing as the settlement cycle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four women aged 55 or olde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who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20 yea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case showe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old age to compensate for the unfortunate past', 'waiting and hoping for old age in my home country with real families', 'waiting for a future excited by the past and present filled with gratitude','preparing for my real life faithfully with my own power'. In the analysis between cases analyzed by integrating each case, it was found that 'a marriag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desire', 'my weapon, my work', 'my children, my children's roots are Korea', 'my old age that is hesitating, satisfied, and prepared'. Based on thi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aging process of elderly married migrant wom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페이지 : 1-3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감정노동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감정노동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들 변수 간 관계에서 소진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북 지역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를 407명을 표집해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 자료를 수집한 후,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 등을 통해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양보호사의 연령, 근무 경력, 결혼 상태, 가구 월 소득을 통제했을 때, 감정노동은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감정노동과 행복감 간 영향 관계에서 소진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졌고, 매개효과의 성격은 부분매개효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해 논의를 수행한 뒤 다음의 3가지 시사점을 도출해 제시했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 감정노동, 소진, 행복감에 관한 더욱 다양한 연구 모형을 상정하거나 다른 감정노동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등의 연구 확장이 필요하다. 둘째, 실무적 측면에서 요양보호사의 행복감 제고를 위해 감정노동과 소진을 동시 조절하는 교육 전략의 적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측면에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인적 자원 관리를 위한 예산상 지원이 지속해서 확충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emotional labor of long-term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ho are relatively exposed to emotional labor, affects their happiness and whether burnout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07 long-term care work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Daegu and Gyeongbuk were sampl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n,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As a result, when the long-term care workers’ age, work experience,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monthly income were controlled, emotional labor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In addition, burnou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and the natur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o b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fter conducting a discuss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erived and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First,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by assuming more diverse research models on emotional labor, burnout, and happiness, or targeting other groups of emotional laborers. Secon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apply educational strategies that simultaneously control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o improve the happiness of long-term care workers. Lastly, from a policy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xpand budgetary support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long-term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페이지 : 213-24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최근 시설에서 발생하는 노인학대가 증가하면서, 현장에서 돌봄을 제공하는 종사자들에 의한 인권침해 행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인의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신체억제대가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면서, 신체억제와 신체적 학대 사이의 모호한 경계가 노인의 인권을 침해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시설 종사자들의 신체억제 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신체억제를 지양할 수 있는 현장 프로토콜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7년 전국 2,484개소의 재가장기요양기관 및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7,042명의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체억제 수행경험에 대한 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요양보호사는 신체억제를 인권침해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으나, 수행 및 목격경험도 가장 많았다. 특히 간호조무사는 신체억제 수행 가능성이 가장 높았으며 타 종사자의 신체억제 행위를 목격할수록 수행 가능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노인의 의존도가 높거나 정부지원이 미비하다고 인식할수록 신체억제 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종사자의 인권침해 인식수준은 수행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신체억제 최소화를 위한 교육과 정책이 직종별 특성에 맞게 세분화 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As elder abuse in care facilities has recently increased,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potential human rights violations by caregivers.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to ensure the safety of older residents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this practice excessively infringes on their physical freedom. Given the blurry line between physical restraint and abuse, which could violate the rights of older ad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to help develop protocols that minimize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caregivers' experiences with these practices. We used the secondary data from 2,484 day care centers in 2017, leading to the final analysis of 7,042 care workers, including licensed caregivers, social workers, nurses, and nurse aides.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of variance, and logistic regression,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orkers in how they perceive, witness, and apply physical restraints. Licensed caregivers exhibited the greatest concern regarding human rights violations associated with physical restraints, yet they also reported the highest rates of performing or witnessing such practices. Notably, nurse aides were the most likely to use physical restraints, and the likelihood of performing restraints increased when they observed other workers engaging in such actions. Additionally, the care workers who perceived older residents as highly dependent or believed that government support was insufficient were more likely to use physical restraints. However, recognizing physical restraints as a human rights viol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whether care workers engaged in that practice.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 and polic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er to minimize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341-36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과 노인의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건강상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동으로 수행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0, PROCESS macro v4.2 프로그램 중 모델 7을 활용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사회참여활동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친화적인 지역사회환경을 구축하면 노인들이 다양한 사회참여활동에 많이 동참하게 되면서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이 매개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건강상태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를 저집단, 중집단, 고집단으로 구분하여 평균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건강상태가 저집단이지만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이 우수할수록 사회참여활동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친화 지역사회 환경 조성이 신체적으로 취약한 노인들에게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들을 위한 사회참여 기회 확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고령친화 지역사회환경의 영향력이 더 커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냄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고 정교한 정책적 논의를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immigrant women on life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in the process. This study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2021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data to identify the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of the study verified that subjective health is a fac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immigrant women on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esent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i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페이지 : 201-22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