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논문통합 검색

논문 통합검색

[희망복지]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14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역량 자기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사례관리역량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거친 뒤, 데이컴(DACUM)방법을 활용하여 통합사례관리사의 임무, 과업,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13개 임무, 35개 과업, 63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후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서 사례관리역량 자기평가지표 57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례관리역량 자기평가지표 개발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verify a case management competence and behavioral indicators for case managers in public sector. To execute this, literature reviews pertaining to competence of case managers were examined. Then, through the use of the DACUM method, the duty, task, and competence were drawn. As a result, 13 duties, 35 tasks, and 63 types of competence were defined. An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amin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57 case management competenc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Finally,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self-assessable competence questionnaire was suggested based upon the outcom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229-254
    * DOI :
    * UCI : G704-000981.2015.17.3.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공공영역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사를중심으로 공공영역 슈퍼비전의 현황을 알아보고, 슈퍼비전 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전국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에서 통합사례관리를 수행하는 통합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보고 방식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메일과 우편으로 회수하여 최종적으로 총 204부를 이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주요결과로 희망복지지원단 슈퍼비전은 주로 동료슈퍼비전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대부분이 슈퍼비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반해 현재 슈퍼비전의 충분성과 만족감은 낮게 나타났다. 슈퍼바이저의 지식과 기술부족이 슈퍼비전을 받는데 장애요인이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체계적인 슈퍼바이저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 하였다.. 사례관리자 역할수행 수준은 보통정도의 업무수행 점수로 나타났으며, 응답자가 사회복지를전공한 경우,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한 경우, 또한 농어촌에 비해 대도시에 근무하는경우, 사회복지 현장 실천경력이 많을수록 사례관리자 역할을 더 잘 수행한다는 결과가나타났고, 슈퍼바이저가 기혼인 경우,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소지한 경우, 석사 이상인경우 사례관리자 역할을 더 잘 수행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교육적 슈퍼비전, 슈퍼바이저-슈퍼바이지 관계, 응답자의 최종학력, 응답자의 공공 사례관리 경력 순으로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연구결과에 따른 의의와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ervision facto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public sector case manager centered on the Heemangjiwon Team integrated case managers. For the study, on the subjects of integrated case managers in the Heemangjiwon Team in cities counties­districts, this study conducted a self report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is study finally used a total of 20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e principal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emangjiwon Team supervision was peer supervision i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case manager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when they have social welfare majors, social workers' qualifications, jobs in urban areas other than in rural areas and the social welfare field experience, and when supervisor are married, have the certificate of 1st grade social worker, have a Master's degree, they are likely to perform case manager roles the better.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case manager role performance were in the order of educational supervision, supervisor­supervisee relationship,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of the respondents and career management experience of responden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페이지 : 5-3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글의 일차적 목적은 공공과 민간의 실천 현장에서 사례관리가 전개되어 온 과정을 정리하는 데 있다. 공공의 경우, 복지체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사례관리를 중요한 실천 전략으로 확대?발전시켰다. 2005년도에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시작으로 주민생활지원기능의 강화 개편, 시군구로 위기가구 사례관리 이관, 희망복지지원단의 통합사례관리 수행, 그리고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의 변화를 거쳐 왔다. 민간 영역에서는 공공영역보다 오래 전부터 사례관리가 지역사회복지관의 재가복지사업의 일환으로 실천되어 왔다. 그러나 사례관리가 기관의 자율적 선택 사항이었기 때문에, 표준화된 매뉴얼이나 기준은 기관별로, 지역별로 다양하였다. 사례관리가 의무적 실천으로 정착된 것은 2009년도의 전국 지역사회복지관 시설 평가에 사례관리가 포함되면서 부터이다. 현재는 사례관리가 지역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중 하나로 규정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나타난 특징과 쟁점을 정리하면, 공공영역의 사례관리 수행 단위(읍?면?동-시?군?구) 변화와 사례관리 절차의 분화, 사례관리자의 공공과 민간 인력 활용 방향의 변화, 사례관리 수행의 전문성 강화 요구, 민간 영역과 공공 영역의 사례관리 중첩과 불평등한 협력 구조, 그리고 전문적 개입이 필요한 욕구에 대한 대응과 재정지원 방식의 변화 등이었다. 끝으로 사례관리를 둘러싼 쟁점들 속에서 향후 필요한 과제와 대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historical process of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In the public sector, case management has been developed as a practical strategy for improving the effective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to increase the sensory level of social welfare. The cas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has been developed with the amendment of Social Welfare Law, transfer of the primary case management role to the local government,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ystem of Hope and Welfare Support Center, the demonstration project of strengthening welfare of the regional public office. Case management in the private sector has been developed as a program for inhome care service, which is earlier than the public sector. Case management has not been established until the national facility evaluation system for the community welfare service center include case management as one of the evaluation items in 2009, since case management was not mandatory service in the community welfare service center. Recently, case management has been determined as one of three main functions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Based on thes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s were addressed: the repetitive changes in the responsibility office of case management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regional public office and division of the case management procedures, the changes in the case management labor force between civic servants and private contract workers, the request of professionality development of case managers, the overlapped role and the unequal partner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the response of the specialized care need and the change of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to facilitate the response. Finall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case management in the public and private area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213-239
    * DOI :
    * UCI : G704-000981.2015.17.1.008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는 최근 10여 년간 급속한 사회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사회서비스에 대한 욕구 또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사회서비스의 확대는 주요한 사회적 이슈로 급부상하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서비스 욕구의 증가와 제도적 대응의 본격화는 그만큼 사회서비스의 효과적인 전달체계 구축에 대한 관심의 증가를 불러오고 있다. 이에 2000년 이후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시군구 주민생활지원 행정 개편 등에 이어 희망복지지원단을 통해 복합적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게 지역내 자원과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통합사례관리가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한 선별적인 지역복지 행정의 한계는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 돌봄 부분을 중심으로 전달체계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주요문제를 체계적으로 검토해 보고 지역 복지전달체계의 혁신 원칙과 방향을 수립한 후 거버넌스 구조의 혁신을 통한 통합사례관리 모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지역 내 민관 복지자원들이 포괄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통합사례관리 체계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러한 접근이 어떻게 이전의 분절적 접근의 한계를 뛰어넘으면서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보장과 효과적인 질관리를 가능토록 할 수 있음을 논의하고자 한다.

    During the past ten years, needs for various social service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rapid social changes and it prompt the fast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in Korea. This triggered intensive interests in effective delivery system and, follwing the Social Welfare Office pilot programme and adminitrative reform for Residents Living Support since 2000, integrated case management has been introduced through Hope Welfare Support Unit for users who have multiple needs to be supported by links with various services and resources in community. However, community welfare administrated is usually limited in selective support based on public assis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particulary focusing on elderly social care area, after major issues of current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s systematically reviewed,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would be established and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novation of governance structure searched. In this process, the way for forming comprehensive corporative relationship among community public-private welfare resources and user-focused integrated case management would be suggested, then a number of related issue discussed including how this approach could resolve limitation of current patchy approach and assure services for users, as well as improve service quality manage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205-236
    * DOI :
    * UCI : G704-002139.2013.36..002서지정보 닫기
  • 사회복지를 둘러싼 다양한 환경변화 속에서 강조되는 내용의 하나는 분명지역의 강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기존 중앙에서 제공하던 상의하달식전달구조에서 가지고 있던 대상자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점, 그리고 지역문제 해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성 등의 문제를 통해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2년부터 ‘지역단위 통합 서비스 전달체계’라는 관점으로 희망복지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희망복지지원단을 네트워크 이론에따라 허브기관으로 인지하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허브기관으로서 희망복지지원단의 역할과 활동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허브기관의 필요성을 네트워크 이론에 따라 살펴보았으며, 이후 (3개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모형을 통해) 현재 희망복지지원단의 조직구조를 다른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의 구조와 비교하면서 분석하여 실증적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희망복지지원단은 네트워크 내에서 독점적인 위치나 역할을 가질 수 있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네트워크 형태에 비해효율성/효과성이 높지 않을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희망복지지원단이 ‘매개형 허브기관’으로 역할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희망복지지원단과 관련한 연구들이 희망복지지원단의 사업 혹은 사업을 위한 전문인력에 대한 초점으로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조직’자체에 대한 관심으로 시도되었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향후 관련한 후속연구를 통해 더욱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oday, the emphasis of the community which stands out is the phenomenon of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This is due to the results presented various problems(The government’s service does not reflect the needs of client / Low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bout the resolution of regional problems). In terms of ‘regional integrated service delivery system’, Korea has done ‘HuiMang welfare support team’ since 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hub-agenc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HuiMang Welfare Support team'. For this, this study searched the need for Hub-agency' role. An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Local-network' models were proposed empirical data.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HuiMang Welfare Support team' has network characteristics may be better able to be confirmed through the betweeness hub-agency's role. With these findings further discussed the politic and practical implic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41-171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5..49.009서지정보 닫기
  • 사례관리는 복합적 욕구를 가진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실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사례관리는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실천되고 있다. 최근 재정립된 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중 하나가 사례관리 활동이다. 공공 영역에서도 시군구에 설치된 희망복지지원단에 통합사례관리사를 배치하여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공공과 민간 영역을 망라하여 사례관리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는 이러한 움직임은 지역사회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삶의 욕구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그러나 다양한 욕구의 부응에 필요한 포괄적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례관리 체계가 지역 내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에서 풀어야할 근본적인 과제들이 있다. 공공과 민간의 역할은 어떻게 분업되면서 통합되어야 하는가? 공공과 민간 영역 내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여러 사례관리 프로그램들의 분절과 역할중복은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지역사회에서 서비스 간 연계와 관리는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질문들을 통해서 사례관리 실천의 맥락에서 공공과 민간 관계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대안적인 역할분담 방안을 제시하였다.

    Case management has been viewed as an effective practice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having complex needs. In Korea, case management is widely used in the service delivery of public and independent sectors. Furthermore, case management has actively been adopted as public sector social work practice recently. In this situation, we are expect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eprived people in the community. But most of related studies are reporting the outcome negatively as like‘service with no solution’, ‘heavy striving but no improvement’, ‘service linkage without network system’. On these evaluations, this study raised two questions and explored the context of those evaluations. The first is “Are we misusing case management approaches?” The second is “ Are there any systematic barriers in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social services?”Through exploration on these questions, two fundamental problems were found in the policy on public side case management practice in Korea. The first i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the problem of over focusing on the aspects of clinical procedure and intervention rather than coordination. Second is the weakness in the partnership working resulting from institutional vulnerability of social service system. Because of these underlying barriers, in spite of striving efforts of case managers,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practice is limited. To cope with these problems, relevant model to public social service area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ore flexible understanding of case management practice. And cooperative system between public and independent sector should be set up.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241-266
    * DOI :
    * UCI : G704-000981.2015.17.1.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복지실현을 위한 복지전달체계 개선대책(’11.7월)‘의 일환으로 지역단위 통합적 서비스제공체계 구축을 위해 2012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한 희망복지지원단의 운영구조가 복지전달체계의 주요 원칙 즉, 통합성과 접근용이성, 적절성, 전문성에 기초해 어떠한 특성과 과제를 안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를 통해 희망복지지원단은 복지전달체계의 통합성을 전제로 한 지역단위 복지 관련 서비스의 총괄조정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지역복지 거점조직의 기반은 구축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지역단위에서 보건 및 고용과 같은 타 영역과의 업무연계방안, 읍?면?동 주민센터와의 보다 적극적인 업무분담 및 연계, 사업운영비의 확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방안 등의 과제가 향후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lfare measures to improve welfare delivery system (of July '11)" as part of the local level to build an integrated service delivery system in April 2012 which began operation in earnest Hope Welfare Support Team's operating structure the main principles of the delivery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that implies analyzed.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Hope Welfare Support Team is the integrate center of the welfare delivery system-related services, general manager of a community-based welfare. But, They are required to specialist training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assessment and challenges for the Service Management subjects unification and the organization's expansion, seeking the expansion of operating cos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37-156
    * DOI :
    * UCI : G704-001921.2012..42.005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재가노인 사례분석을 토대로 돌봄지원 수준을 파악하여 돌봄체계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중심으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노인돌봄지원 사례관리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인돌봄기본 및 종합서비스와 재가노인지원사업은 민간복지영역을 중심으로 지원체계가 구축되어 있고, 행정과의 연계협력을 수행하고 있으나 일정수준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다. 동주민센터와 희망복지지원단은 공공주도적 조직과의 연계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지역공동체적 접근에 따른 봉사조직 및 주민참여의 활용은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돌봄체계 강화방안을 제시하면 우선, 노인돌봄체계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해야 하며, 다음으로는 노인돌봄체계에서 민간과 공공간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끝으로 노인돌봄체계에 있어 수행기관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measures to strengthen the care system by analyzing the Elderly Case. Here are two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achieve this goal on the basis of the support level of the Elderly Case between 2013 and 2014. Elderly care services and Home support service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to built around private social welfare area and they’re performing to collaborated and relevant administrative, but had a part to be duplicated a certain level.Also, the results showed that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Heemang Welfare Support are to use passive of volunteer organizations and Citizen participation of community according to the community approach.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First, it should be expand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elderly care system. Second, it should be strengthen the cooper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in the elderly care system. Last, it should be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Agencies in the elderly care syst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13-138
    * DOI :
    * UCI : G704-001921.2016..56.003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 복지정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그에 따라 복지행정에도 지속적인 개혁과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효과성에 대한 문제제기 역시 계속되고 있다. 이에 관료제, 시장, 협영 패러다임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지방분권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계획, 주민생활지원서비스 개편,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와 노인장기요양보험, 희망복지전달체계 개편 등 그동안의 주요한 복지행정의 변화를 분석해 보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기술적 환경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존 패러다임에 대한 요구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공공 복지행정의 방향으로 전략적 협영을 제시하고자 한다.

    Social welfare in Korea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and reforms and changes in welfare administration followed. However the question regarding the effectiveness still remains. This study analyses major reforms and changes in welfare administration such as the devolution of welfare to the local government, community social welfare partnership and welfare planning, livelihood support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reform, social service electronic voucher and long-term care insurance, and Hope Welfare Delivery System reform, with bureaucracy, market, and governance paradigm framework. Then social needs and limits of the paradigms are explored based on political, social, economical, technical and policy environmental changes. In conclusion, strategic governance is discussed as a direction of welfare administration to tackle the limits of existing paradigms and response to the environmental chang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35-63
    * DOI :
    * UCI : G704-000981.2015.17.1.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 대해 두 가지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첫째는 민간사회복지전달체계가 아니라 대다수가 정부에 의해 설립, 위탁 운영되는 공적 인프라라는 점이다. 두 번째는 자발적인 민간사회복지기관이라기보다 1980년대 말 정부에 의해 제도적으로 확대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방식이라는 점이다. 지역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과 서비스 공급을 종합적으로 담당하던 사회복지관은 최근 다음의 세 가지 변화로부터 역할 정체성의 위기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첫째, <희망복지지원단> 등 사회복지 공급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직접적 역할 강화이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사회복지기관들의 증가이다. 세 번째 사회서비스 시장 형성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사회복지관의 법제적 역할과 권한, 기능적 고유성, 환경적 대응의 차원에서 분석하고 기존의 역할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에 변화가 초래되고 있음을 진단하였다. 사회복지관의 새로운 역할과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하기 선행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례관리 거점기관의 역할, 그리고 주민조직화의 중심 역할을 검토하고 동일한 조직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사회복지관에 이러한 대안이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는 점을 토론하였다. 사회복지관의 역할은 지역사회 사회복지환경 안에서 구체화되어야 하는데 대다수 위탁 사회복지관은 지방자치단체와의 위탁계약 안에서 새로운 역할의 정립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지역복지계획 안에서 사회복지관의 역할은 다양한 선택지를 가지고 수행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는 이에 부응하는 재정적 책임과 공적 권한을 사회복지관에 부여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Since the late 1980s, government expanded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for delivering social welfare services to disadvantaged people in Korea. Nowadays, 20% of 442 centers are owned by non-profit foundations and other 70% of centers belongs to public sector but run by non-profit foundations. The centers began to function as comprehensive service providers in the early years but have been facing new challenges. This study accesses the role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from three dimensions; institutional, functional and socio-environmental. On the institutional dimension, increased involvement of local governments in social welfare provision is a new significant factor requiring new role of the centers. On the functional level, many other social welfare agencies have provided similar services. Even though the function of centers as service providers has been adjusted to the new environment, still the many roles of centers are overlapping with other welfare agencies. On the socio-environmental dimension, the newly introduced market system of social services further have reduced the remaining role of the centers as direct providers. The new role of centers has been proposed either as a case management agency or as a community organizer. However, this study argues the role can not be decided en bloc. Considering most centers are under contract with local governments and in different local circumstances, the role should be determined in local contexts. Local governments should decide whether centers play a role as case management agencies or as direct service providers according to local welfare plan and take corresponding financial responsibil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245-270
    * DOI : 10.15855/swp.2015.42.2.245
    * UCI : G704-001012.2015.42.2.011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드림스타트의 기능과 역할확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이의 실현가능성 논의를 위한 기초로서 드림스타트의 기본기능인 사례관리 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인력의 사례관리 역량, 가족통합 서비스 역량,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및 조정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드림스타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력의 사례관리 전문성 측면에서는 담당 공무원 등 인력의 지속성 부족, 사례관리 전문성의 부족, 과도한 사례부담 등을 지적하였으며, 가족통합서비스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을 아동의 환경으로만 이해하는 치우친 시각에서 벗어나 가족중심 사례관리를 실천해야 할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그리고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과성 증진을 위해서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희망복지지원단 혹은 읍면동 사례관리 체계와의 역할조정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discuss the current competences of case management, which is the basic and core function of Dream Start Program, as the preliminary stage for its functional and role extension. For this, I looked at the problems from three aspects, that is,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of Dream Start staffs, practical perspective for family-focused service, and service networking and coordination function, and tried to suggest some alternatives. First, to improve professional abilities of staffs, we need to devise the ways to maintain the employment and the service of the staffs in the long term, to teach and train them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o supervise, and to reduce the burdens of tasks. Also, I emphasized the necessities to change the practical perspectives about the family, to understand the family as just the environment of child but the living family with child, namely the family-integrated perspectives. Thirdly, I mentioned that case managers need to be active in the efforts for the networking and coordination of community services, especially about the role conflicts with the Hope Welfare Support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39-358
    * DOI :
    * UCI : G704-SER000009000.2016.35..012서지정보 닫기
  • 확대되고 있는 사회복지급여와 서비스가 국민의 욕구에 맞추어 적절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오랫동안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과제로 남아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번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개편이 시도되었고 그동안 지자체 현장에서도 다양한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 모형들이 시행되었다. 본 논문은 희망복지지원단의 모체라고 볼 수 있는 남양주 희망케어센터와 경기도 무한돌봄센터의 적절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각 센터의 내부종사자와 외부 협력기관의 사회복지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희망케어센터와 무한돌봄센터의 적절성을 실행구조와 성과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희망케어센터가 외부 협력기관 사회복지전문가들로부터 무한돌봄센터보다 대부분의 적절성 문항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으나 내부종사자들로부터는 자원개발, 접근성향상, 네트워킹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결과로부터 남양주 희망케어센터처럼 일반행정기관으로부터 독립된 조직에서 권역별로 접근성을 높이면서 자원개발과 서비스연계, 사회복지전문사례관리에 민관이 협력하여 집중하는 체제가 향후 공공복지전달체계 개편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Inadequate delivery of the increasing social welfare benefits and services on behalf of the people’s needs has been the unsolved problem for the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a long time. Several different pilot projects have been attempted at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and various social werlfare delivery models were newly implemente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paper tries to compare adequacy of the “Hope Care Centers” in Namyangjoo Si and the “Unlimited Care Centers” in GyeongGi Do as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s. Adequacy of these delivery systems was evaluated at the two different levels-operating structure and performance outcome- by the workers in the two centers and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othe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same local areas. The “Hope Care Centers” received better evaluation than the “Unlimited Care Centers” on the most of the questions for adequacy evaluation from the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othe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y also received better evaluation on the questions about resource development, accessibility and necessity of networking from the workers in the two centers.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develop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hich is independent from the public administration office, is more accessible to people by setting up the frontline offices at the more local levels than county level, and provides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between the public and non public workers for case management, resource development and service linkag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09-134
    * DOI :
    * UCI : G704-000662.2013.29.4.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2010년 시군구 서비스연계팀에서 실시해 오던 위기가구 통합사례관리사업이 확대된 형태로 복지전달체계 개선대책(‘11.7월)의 주요 추진과제인 희망복지지원단의 통합사례관리사업을 주도적으로 담당하는 사례관리자의 역할수행 및 업무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 이와 관련한 정책적 과제를 모색해 보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분석결과, 희망복지지원단 사례관리자는 상담자, 조정자, 정보제공자로서의 역할에 비교적 많은 비중을 두고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의 업무적극성에 직무 및 조직환경이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희망복지지원단 사례관리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모색과 함께 향후 민-관 사례관리의 연계 및 역할분담 등의 논의를 구체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과정에서 의미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measures to improve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the main propulsion of challenge(March 11) that supports the role of the case manager of the hope welfare support team, and work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ggressiveness, the policy challenges related to his viewing of the seek. As result, The Hope Welfare Support Team's care manager is counselors, Coordinator, information on the role of the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providers to conduct business, and their business duties and organization on the environment aggressiveness exerts a pro-found impact. These results support the policy challenges for the enablement of the care manager in Hope Welfare Support Team and that cooperation and role-sharing and discussion of the private-public care management network system. It will be able to expect the development of the Hope Welfare Support Team that is based on this proces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1-201
    * DOI :
    * UCI : G704-001921.2013.0.44.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사례관리 부처, 기관 간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조정으로 대상자 욕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례관리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사례관리서비스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 집단의 특성과 집단별 사례관리 업무를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 보건소, 자활지원센터 등에서 시행하는 사례관리 현황을 파악하였다.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사례관리 직무의 대상자들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자활급여자, 의료급여자, 재가복지대상, 기관서비스 수혜자 등이다.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의 사례관리는 관리와 통제를 모두 포함하는 사회적 급여의 형태로서 대상자들은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의 속성이 있다. 또한, 사례관리 직무는 지침과 규정에 의한 행정행위로서 공행정 및 위임과 관련된 위탁기관의 활동에 까지 책무성이 강화되고 있으나 대상자의 자격, 주거, 계약의 변동에 부응하는 서비스의 유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참여정부의 주민생활지원서비스 혁신 이후 최근 희망복지전달체계의 민생안정 구도로 이행하면서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역점을 두는 사례관리의 방식과 절차 등을 고찰하고 총체적인 관리체계 구축의 기조가 되는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지역복지서비스 방안을 제시한다. 이는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사례관리의 성격규명과 자치단체 단위 관리업무의 총괄로 궁극적으로 사례관리서비스의 분절, 불연속성을 극복하는 통합성, 포괄성이 강조된 전문화된 지역복지서비스로의 발전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oposed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plans to actively cope with the desire of the persons concerned by the service coordination through the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of case management within the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This study presented the regional welfare service plans through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to establish a general management system after considering the duties, objects and procedures of the case management salary which is emerging in the public social welfare transfer system from the recent public welfare stabilization measures to the hopeful welfare since reform of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ment and the summarization of management business by a local autonomous body unit within the public social welfare transfer system have a meaning in developing into the professionalized regional welfare service in which the integrity and comprehensiveness ultimately overcoming the fragmentation and discontinuity of the case management service is stre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49-67
    * DOI :
    * UCI : G704-001921.2009..30.003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