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손자녀 교육을 위해 이농한 후기 여성노인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A Biographical Study on the Lives of the Urban Female Elderly Moved from Rural Areas in Their Later Years for Their randchildren's Nurture

한국노년학

2007, vol.27, no.1, pp.235~254(19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573.2007.27.1.005

한국노년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노년학

양영자

(경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 교육을 위해 이농한 후기 여성노인들이 노년기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그러한 노년은 이전의 생애과정과는 어떠한 맥락 속에서 형성되어 왔는지 생애사주체인 그들의 시각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7명의 여성노인과 Schü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를 하여 자료를 수집했고 그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분석방법과 Lamnek의 질적 인터뷰 분석방법을 응용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애사주체들의 “생애사적 진행과정 구조”는 ‘타율적인 삶으로부터 자율적인 삶으로의 발달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세대간 및 세대내 교환관계 방식에 따라 첫째, 세대간 불균등한 교환관계에 의한 결혼 이전의 타율적인 삶, 둘째, 세대간 및 세대내 불균등한 교환관계에 의한 타율적인 시집생활, 셋째, 이농을 통한 세대간 상호호혜적인 교환관계로의 변화에 의한 자율적인 노년으로의 전환, 넷째, 세대간 상호호혜적인 교환관계에 의한 자율적인 노년 등 4단계로 표출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의의는 노년기 이전의 타율적인 삶이 자율적인 노년으로 발달해가는 과정을 해당 노인들의 관점에서 생애사적 연구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자율적인 노년의 형성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추론해냈다는 점에 있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respective biographies of the female elderly in their later years who had moved to urban areas from rural districts with a view to nurturing grandchildre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taking into account how they have attached meanings to their old age and how such a period has been shaped in relation to their earlier years. Data were collected from 7 female elderly, using Schü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Schü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and Lamnek's qualitative interview methods. The present research found that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 turned out to be a developmental process from heteronomous life to autonomous life. In terms of inter- and intra-generational exchange modes, more specifically, it exhibited the following 4 stages: 1) heteronomous life due to an exchange mode of intergenerational inequality prior to marriage; 2) heteronomous married life due to an exchange mode of inter- and intra-generational inequality; 3) a shift to autonomous life due to an exchange mode of intergenerational reciprocity based on moving to urban areas from rural areas; and 4) autonomous old age due to an exchange mode of intergenerational reciprocity. Particularly, this research proved significant in that it drew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haping of autonomous old age by investigating how heteronomous lives in advance of old age were progressing toward autonomous ones in later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concerned.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