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우리나라 근로빈곤가구 특성의 변화에 대한 실증 연구:<도시가계조사>를 중심으로(1982-2004)

An Empirical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Micro Traits of Poor Salary and Wage Earners' Households: Focus on (1982-2004)

사회보장연구

2006, vol.22, no.4, pp.163~189(26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662.2006.22.4.005

한국사회보장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보장연구

심상용

(상지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포드주의 성장기와 포드주의 이후 시기의 근로빈곤가구의 미시적 특성을 비교하고 사회구조적 환경 변화에 따른 근로빈곤의 발생구조를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것이 목적이다. 1982년부터 2004년까지의 통계청 <도시가계조사> 원자료를 활용해 전 기간에 대한 기술통계량분석추세분석을 실시했고, 1993년과 2004년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포드주의 성장기에는 경제성장의 낙리효과(trickle down effect)에 의해 빈곤율이 감소해 왔다. 이는 남성 가구주 가구, 상용직 취업 가구주 가구, 취업자가 다수인 가구의 탈빈곤에 의한 것이었고, 가구주 학력과 연령, 가구의 취약계층 부양, 공적 사적 이전소득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경제성장의 선순환이 단절된 포드주의 이후 시기에는 빈곤율이 증가해 왔다. 이는 여성 가구주 가구, 임시일용직 취업 가구주 가구, 저학력 가구주 가구의 빈곤 진입이 확대된 데에 따른 것이다. 그렇지만, 가구 내 취업자수와 취약계층 부양, 공적 사적 이전소득에 따른 빈곤 확률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볼 때, 근로빈곤가구의 취약한 자원을 보충할 수 있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공적 복지제도를 시급히 확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icro traits of poor salary and wage earners' households and infers logically the originating structure of working poor in Fordism growth period and post-Fordism period. This study used raw data of the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1982 to 2004, execu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rend analysis with total perio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1993, 2004. In the Fordism growth period, working poor's poverty has been alleviated indebted to trickle down effect of economic growth. It has been followed growing the households out of poverty that had male head, regular employee head, a number of employed persons. But there has not originated difference poverty probability according to household head's academic background and age, household's support the disadvantaged or not, public transfer income, private transfer income. On the other side, in the post-Fordism period, the size of working poor enlarged because of cutting of economic growth's circular relation. On this account, the salary age earner's households that have precarious household's trait like female, older-age, temporally or daily employed, have been exposed to poverty. But there has not originated difference poverty probability according to household head's academic background and age, household's support the disadvantaged or not, public transfer income, private transfer income. From this, we must hurry up positive labor market policy and public welfare institutions to supplement precarious traits of working poor household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