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농촌노인부부의 삶에 나타난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의 재구성

Re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es' on the Lives of the elderly Couples in the Rural Area

한국사회복지학

2008, vol.60, no.1, pp.127~157(30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330.2008.60.1.008

한국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사회복지학

양영자

(경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노인부부들의 삶에 나타난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를 ‘젠더관계’에 주목하여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6쌍의 노인부부들과 개별적으로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를 하였고, 인터뷰자료는 Sch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분석방법에 Dausien의 여성주의적 생애사 분석방법을 절충ㆍ응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애사주체들’의 삶에는 ‘진행곡선’을 이루는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가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진행곡선’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원의 ‘젠더관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진행곡선’의 미시적 및 거시적 차원에서 ‘젠더관계’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들의 ‘진행곡선’에서는 개인적 및 가족적인 맥락만이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맥락도 나타난 반면, 여성노인들의 ‘진행곡선’에서는 주로 개인적 및 가족적인 맥락이 나타난 젠더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행곡선’의 미시적 차원에서 ‘젠더관계’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들은 생애단계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바깥일’을 위주로 하는 단일한 역할을 담당하며 ‘집안일’을 수행하는 데에 소극적인 반면, 여성노인들은 전 생애에 걸쳐 ‘집안일’과 ‘바깥일’의 ‘이중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담당한 젠더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doing gender'가 생애사에 나타나며, 나아가 이러한 ‘doing gender'는 생애단계와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생애사와 ‘젠더관계’에 주목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reconstruct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es’ on the lives of the elderly couples residing in the rural area in terms of ‘gender relation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s with each of the six elderly couples were condu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eclectic application of Schü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and Dausien's feministic biographical research methods.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each biography of the elderly couples represents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 that shapes ‘trajectories.’ Such ‘trajectories’ were found to characterize two dimensions of 'gender relations'. First, on the micro- and macro-levels of 'trajectories,' 'gender relations' were noticed. The 'trajectories' of the male elderly were found to be both in personal and familial contexts and in socio-structural context, while those of the female elderly were found to be mostly in personal and familial contexts. Second, on the micro-level of 'trajectories,' 'gender relations' were noticed. The male elderly were more or less different from one another, contingent on the phases of life. They turned out to take simple roles of performing 'outdoor duties' and to be passive in doing 'housework.' Contrary to the male elderly, the female counterparts proved to actively assume 'dual roles' in 'family affairs' and 'outdoor duties'. Such findings led to the observation of 'doing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the elderly and, furthermore, to capturing the fact that 'doing gende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hases of life and sex. Finally,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e were drawn from the current findings with special reference to biography and gender relation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