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사회복지근로자의 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Process Analysis of Social Service Worker's Gender on Job Satisfaction

사회복지정책

2008, vol., no.35, pp.87~110(23 pages)

UCI : http://uci.or.kr/G704-001012.2008..35.002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정책

김소정

(광주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근로자 직무만족의 성 차이가 조직의 기회구조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는 보는 구조이론의 논의를 토대로 사회복지근로자의 성이 교육수준, 경력, 직무상황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06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전국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총 6,504명의 사례이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사회복지근로자는 여성에 비해 더 나은 직무상황을 매개로 더 높은 직무만족을 보였다. 또한 남성사회복지근로자는 여성에 비해 높은 교육수준과 긴 경력을 보였으며 이는 더 나은 직무상황에 영향을 미쳐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상황을 매개하지 않을 경우 남성사회복지근로자는 여성보다 유의하게 직무만족이 더 낮았다. 또한 남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았고, 경력이 길었으며 이는 직무만족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여성사회복지근로자의 경우 남성보다 조직의 기회구조에 있어서 주변적인 상황에 처해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직무만족을 저하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게 됨을 보여준다. 그러나 직무상황을 매개하지 않을 경우 여성 근로자가 남성에 비해 높은 직무만족을 보여 이에 대한 관련변인의 탐색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cess that social service worker's gender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Data came from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Survey 2006. The final sample size was 6,504 social service workers in South Korea. And SEM in Amos 5 was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n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than women through process variables such as education, career, job condition that means extrinsic rewards. Second, without process variable such as job condition, women showed more job satisfaction than men. This results suggest that gender-free job condition is to be organized to enhance women‘s job satisfaction. But to understand fully the gender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nother variables such as intrinsic rewards are to be investigated.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