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정신장애노숙인의 재활시설 퇴소 및 재입소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exit and reentry among homeles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사회복지연구

2011, vol.42, no.1, pp.219~242(23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143.2011.42.1.015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연구

민소영

(경기대학교); 이병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보장제도 접근 상태, 임상적 요인, 지지적 요인, 그리고 프로그램 이용 경험 요인이 전문재활쉼터의 퇴소 및 퇴소유형, 그리고 재입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총 5년에 걸쳐 전문재활시설인 비전트레이닝센터를 처음 입소한 정신장애노숙인 총 203명이다. 이들의 쉼터 이용 경험에 관한 기록을 추적하여, 쉼터 퇴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퇴소유형을 긍정적 퇴소와 부정적 퇴소 유형으로 구분하여 유형별에 따른 퇴소 영향 요인을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시점까지 퇴소하지 않은 총 186명을 대상으로 재입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Cox의 비례위험모형과 경쟁위험생존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203명 중 17명이 조사 시점까지 퇴소하지 않았으며, 퇴소한 정신장애노숙인 중 긍정적 퇴소를 경험한 정신장애노숙인은 20% 미만이었다. 한편, 재입소는 총 186명 중 101명이 재입소하여 과반수이상이 전문재활쉼터를 이용한 이후 재입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소율에 대한 분석 결과, 입소 당시 주민등록상태가 말소보다는 유지되고 있는 경우, 입소기간 동안 정신병원의 입원 빈도가 많은 경우, 연계되는 가족이 있는 경우, 그리고 기초재활, 정신재활 그리고 직업재활 프로그램 참여 빈도가 높은 경우에 전문재활쉼터를 퇴소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소형태와 관련한 분석 결과, 미혼일수록 그리고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이용한 경험이 많을수록 긍정적인 퇴소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입소 당시 주민등록상태가 유지되었던 사람일수록, 정신병원 입원건수가 많을수록, 연계되는 가족이 있을수록, 기초재활 및 정신재활과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많을수록 부정적인 퇴소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재입소율에 대한 분석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쉼터 입소 기간 동안 정신병원 입원 빈도가 적을 수록, 그리고 쉼터 입소 기간 동안 정신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빈도가 많을 수록 재입소할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xit from and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among homeles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Shelter use of a total of 203 study population was monitored between 2004 and 2008.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ate of the first exit from and the first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Also, competing risk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differently associated with the type of the first exit from the rehabilitation center: a positive exit and a negative exit. This study found that homeles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the negative exit while their resident registration status not being abolished on the first 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having more frequent hospitalization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being connected to the family members, having more participations into the basic rehabilitation, mental rehabilit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Age,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nd of the participations into the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were associated with the rate of the first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