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의 구성과정-재독한인여성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Process of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Based on the Biographies of the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한국사회복지학

2012, vol.64, no.2, pp.325~354(29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330.2012.64.2.008

한국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사회복지학

양영자

(경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여성의 생애사에서는 어떠한 젠더가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간호노동자로 이주한 10명의 재독한인여성들과 Schutze(1983)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도 그의 분석방법에 의거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는 결혼 이전까지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결혼 이후에는 직업과 가정을 양립한 경우와 가정에만 전념한 경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포착할 수 있었다. 즉, 이주 이전의 여학생이나 노동여성으로서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두 경우 모두 성분리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해체’했고, 이주 이후의 노동이주여성으로 전환된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성중립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행했는데’, 결혼 이후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전자의 경우에는 노동이주여성과 결혼이주여성으로서의 이중적 위치에서 성중립적 젠더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었고 또 강화시키고 있는 것과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전환된 단일한 위치에서 성분리적 젠더를 다시 재구성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를 더욱 고착화시키고 있는 차이가 있음을 추적할 수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를 이해한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ntends to analys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 Ten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s with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were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scer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The genders in their biographies were constructed similar before their marriage, but different after their marriage according to the work-family balanced type and the family centered type. Before their migration the 'process of life' as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female workers showed that both types had partially deconstructed a sex-segregated gender. The process of life as female migrant workers after their migration showed that both types had partially constructed a sex-neutral gender. The process of life after their marriage exhibited that the former strengthened and strengthens a sex-neutral gender in a double position as female migrant workers and female marriage migrants, but the latter reconstructed a sex-segregated gender again and intensifies this in a process of time.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were addressed, which emerged from the understanding on the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