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2005-2010년 건강불평등의 변화와 영향요인

The Changes i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from 2005 to 2010

사회보장연구

2012, vol.28, no.3, pp.121~151(30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662.2012.28.3.008

한국사회보장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보장연구

김진구

(협성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EQ-5D를 이용하여 2005-2010년 기간 동안의 소득계층에 따른 건강불평등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변화의 원인에 접근하기 위하여 EQ-5D를 구성하는 하위차원과 EQ-5D 영향요인에 따라 집중지수 변화량을 분해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건강집중지수는 2005년 .0209를 기록하였고 2007년 .0264를 기록하여 정점을 찍은 후 이후 계속 하락하여 2010년에 .0199를 기록하였다. 둘째, 2005-2010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건강집중지수 .0010의 개선이 있었다. EQ-5D 하위차원에 따라 집중지수를 분해한 결과 이러한 개선에는 불안/우울의 기여도 하락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동기간 동안 신체적 건강인 운동능력은 건강불평등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인구노령화에 따른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영향요인에 따라 건강집중지수를 분해한 결과 우리나라 건강불평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연령이었다. 특히 2005-2010년 기간 동안 70대의 기여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구노령화에 따른 고령노인의 증가가 건강불평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고령노인들의 건강증진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섯째, 2005-2010년 기간 동안 건강집중지수 하락에 가장 크게 기여한 요인은 소득관련 요인들과 직업이었다. 즉 2005-2010년 기간 동안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불평등은 어느 정도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도농 간 격차는 건강불평등을 악화시켰다. 도농 간 건강격차가 건강집중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 소득, 교육 등에 비하면 매우 작지만 2005-2010년 기간 기여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from 2005 to 2010 applied to EQ-5D. The health concentration index was used as the main measurement tool, and ir was decomposed by two ways. It was decomposed into six different dimensions of EQ-5D as well as into their cau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health CJ was .0209 in 2005 and reached its peak(.0264) in 2007. But it has been gradually declined after then and indicated .0199 in 2010. Second, the change of CI from 2005 to 2010 was -.0010, and anxiety /depression was most contributing to it among the sub-dimensions of EQ-5D. But mobility made the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increase in the same period. Fourth, the CI decomposition into its causes indicated that age was the most contributing factor to the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But the change of CI from 2005 to 2010 was most affected by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income, occupation etc. But the contribution of socioeconomic factors to CI has been gradually declined. Finally, the health gaps between the people in the urban area and rural one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increase of health inequality in 201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regional differences in the health-related policy making proces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