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의료 접근성 연구: 과부담 의료비 지출과 미충족 의료 경험을 중심으로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Unmet Needs depending on the Types of Health Care System

사회복지정책

2012, vol.39, no.4, pp.255~279(24 pages)

UCI : http://uci.or.kr/G704-001012.2012.39.4.004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정책

김교성

(중앙대학교); 이현옥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의료 접근성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과부담 의료비 지출과 미충족 의료 경험의 현황 및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의료보장 유형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의료급여 1종 수급자와 2종 수급자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과부담 의료비 지출 가구의 비율은 역치 10%를 기준으로 할 때 각각 21.1%, 22.1%, 24.9%, 12.5%로 조사되었다. 과부담 의료비 지출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가구주의 성별과 건강상태, 노인 가구원 혹은 만성질환자 유무, 가구의 소득수준과 가구원수 등이 포함되며,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과부담 의료비 지출 가능성이 지역가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의료급여 수급자의 과부담 의료비 지출 가능성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전체 가구의 약 1.4%만이 미충족 의료 경험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 경험에는 가구주의 교육수준과 건강상태, 가구의 소득수준, 노인 가구원 및 만성질환자 유무 등이 영향을 미치며,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의료급여 1종 수급자에 비해 높은 지역가입자의 미충족 의료 경험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과 본인부담금 완화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빈곤층과 차상위계층의 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의료급여 본인부담금 수준의 조정 혹은 폐지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ale of occurrence and factors influencing the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CHE) and unmet needs based on the types of health care system, such as employee insured and self-employed insured in National Health Insurance(NHI), and Class 1 and 2 recipients in Medical Aid Program. For the empirical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using the data of 5th wave in Korea Welfare Panel(KOWEP). The occurrence of the CHE in the entire households appeared to be 21.1%, 22.1%, 24.9%, and 12.5% with the threshold at 10%, 20%, 30%, and 40%, respectively.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d the CHE wer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gender and health conditions of householder, the existence of either old aged or chronic disease patients, low-income households, and types of health care system, etc. It also showed that employee insured in NHI rated higher probability to have the CHE than those with self-employed insured or the recipients in Medical Aid Programs. Only about 1.4% of households experienced unmet health needs. The factors influencing those unmet needs were the educational level and health condition of households, the existence of either old aged or chronic disease patients, low income households, and types of health care system. It was also reveled that the probability of unmet needs for self-employed insurer was higher than that for employee insurer in NH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payment system in Medical Aid Program must be modified or eliminated in order to improve the equity of health accessibility among poor and near poor in Korea.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