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포커스 집단면접 활용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against the Disabled - Focu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사회복지연구

2013, vol.44, no.2, pp.141~169(28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143.2013.44.2.008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연구

신유리

(동의대학교); 김경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장애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 현상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유형, 성별, 연령, 학력, 직업유무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31명 장애인들에 대한 포커스 집단면접 8회 차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우선 참여자들은 경제적 분배의 불평등함으로 인해 물질적 결핍, 장애차별주의 사회구조에 의해 삶의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권리박탈 경험이 발견된다. 또한 사회적 차원의 배제로 인해 사회적 활동참여에서의 배제와 관계로부터 단절과 소외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들 참여자들의 경험분석으로부터 장애인들의 생물학적 손상에 가해지는 편협하고 이중적인 문화적 규범과 가치 등 비가시적인 배제형태가 발견된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구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됨에 그 함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bstantially understand and identify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 in Korea. For this, the 8 times in focus interview implemented on 31 of the disabled with regard to disability type, gender, age, education, job etc. The results, firstly it foun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material deprivation due to inequality on economic distributions, and the multi-deprivation of social rights overall social systems and scopes resulted from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gainst the organization of society. Nextly, it represented that they got the exclusion from social participation and isolation and alienation in social relationships in the dimension of society. In that, particularly, a sort of invisible type of social exclusion such as an intolerant and double social norm and values is found, which has been impacted on their impairment or disability in the participants. This founded results contribute on applying fundamental data for political and practical implementations for social inclusion of the disabled, as well as theoretical building for conception of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