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후의 자녀동거 기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viding Care to Grandchildren Effects on Grandparents’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Focusing on Expectations for 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사회복지연구

2014, vol.45, no.2, pp.99~122(23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143.2014.45.2.009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연구

하석철

(성균관대학교); 홍경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 돌봄의 행위와 그것이 지속되는 유형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돌봄이 지속되는 유형을 미돌봄, 일시 돌봄, 지속 돌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에 투입함으로써 그 논의의 심도를 더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가 그렇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노후에 자신의 성인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돌봄 지속 유형에 대한 결과에서도 두 시기 동안 한 번도 손자녀 돌봄을 수행하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한 시기의 일시 돌봄을 행한 조부모와 두 시기 모두 돌봄을 제공한 지속 돌봄의 조부모 모두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중 흥미로운 점은 지속 돌봄을 행한 조부모가 일시 돌봄을 수행한 조부모보다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손자녀 돌봄을 행하고 있는 조부모가 그들이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를 이후 자신의 부양을 위한 보험적 성격의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공적 영역의 역할이 미흡한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그 구성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통해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viding care to grandchildren and the continuity of care affects the grandparents'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Specifically, in this study, providing care is divided into three continuous types: did not provide care, provided care at one point in time and provided care at two points in time. This is done to investigate how the duration of providing care influences the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The results show that grandparents providing care to their grandchildren prefer to reside with their own children in the future more often than those who do not provide care to their grandchildren. Furthermore, grandparents providing care to their grandchildren during two-time points and grandparents providing care during one-time point prefer to reside with their adult children in the future more than grandparents providing care not once during two-time points. Interestingly, grandparents who provide care to grandchildren during two-time points prefer to reside with their children in the future more frequently than grandparents providing care during just one-time point. These results suggest it is likely that grandparents recognize providing care to their grandchildren as an insurance in care and support for themselves in the future. Addition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mily plays an efficient and flexible role to meet needs of family members through a reciprocal relationship in Korean society where the public sector is weak. These findings have suggested theoretical implication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