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기혼 직장인들의 일가족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 차이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사회복지연구

2016, vol.47, no.2, pp.201~226(25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143.2016.47.2.006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연구

김소정

(광주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기혼 직장인들의 일가족갈등의 성 차이와 일가족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성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도 한국복지패널 자료 중 20~65세 기혼 임금근로자 2,841명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직장 여성은 기혼 직장 남성에 비해 일가족갈등이 유의하게 높았고 세부적으로 가정의 직장생활 방해, 직장의 가정생활 방해 모두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일가족갈등은 남성과 여성 모두의 결혼만족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성보다 여성 집단에서 결혼만족도 저하의 더 큰 설명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가족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효과를 보여 기혼 직장 여성의 경우 일가족갈등이 증가할수록 결혼만족도는 남성보다 현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기혼 직장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일가족갈등이 유의하게 높을 뿐만 아니라 결혼만족도에 대한 일가족갈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어 특히 기혼 직장 여성들의 낮은 결혼만족도의 제고를 위해 일가족갈등의 완화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especially moderating effect of gender. Data came from Korea Welfare Panel Survey 2014. The final sample size was 2,841 married employed persons in South Korea. Analysis methods we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rried employed women showed more higher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than married employed men. Second, work-family conflict affected significantly negatively marital satisfaction. But married employed women’s work-family conflict was more influential factor to explain the decrease of marital satisfaction than married employed men’s. Third, gender moderated significa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further studie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