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김미령-]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25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탈북자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탈북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도 다른 연구분야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비교적 많은 대상을 조사하여 과학적인 분석방법으로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우울성향에의 영향을 추론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164명이며 분석방법은 t 검증, 변량분석(ANOVA)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중요한 탈북자의 인구학적인 변인과 탈북 이후의 변인인 중간경유지의 체재기간, 한국에서의 거주기간, 한국에서의 정규교육 유무가 회귀분석에서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구조적 사회적 지지 중 집단참여는 탈북여성이 탈북남성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기능적 사회적 지지는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한국에서의 재교육은 우울성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직상태는 탈북자들의 적응스트레스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구조적 사회적 지지 중 교회, 사회, 탈북자단체 등의 집단에의 참여는 우울성향을 감소시키고 있고 기능적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도 우울성향을 감소시키지만 도구적 지지는 우울성향을 증가시키므로 탈북자들의 상황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이 요청된다.

    Due to the increasing concerns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earches have been increased. When it is compared with other areas, the researches about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rare.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164, which makes it possible to do statistical inferences. As statistical method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are used.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stress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are controlled. The context factors-the period of the stay in the third place, the period of residence and the existence of the education in Korea- are used as control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women is higher than that of men. Also,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functional social support by the age group. The research result indicates the education of South Korea is an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depressive symptoms. The research result also shows that the jobless is an important stressor. Among structural social support, the member of religious or social group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mong functional social support, the emotional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of adaptation, but the effect of instrumental social support is the opposite. Therefore, the adequacy of social support in a specific situation must be consider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3-217
    * DOI :
    * UCI : G704-000330.2005.57.1.006서지정보 닫기
  • IMF 경제위기 이후 노숙인 숫자가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노숙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게 되었다 쪽방거주자들은 거처할 곳은 있지만 열악한 주거환경과 지역사회의 주류가 되지 못하는 주변인으로 노숙인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모델을 분석들로 하여 쪽방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쪽방거주자들의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삶 그 자체뿐 아니라 빈곤과 직결되는 실직상태 혹은 무직상태와 만성적인 질병과 장애는 쪽방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원에 대한 극복자원으로 문제중심 극복, 정서중심 극복과 사회적 지지를 사용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구의 쪽방거주자로 샘플크기는 173명이다. 극복유형은 주성분분석을 하여 문제중심 극복과 정서중심 극복 두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문제중심 극복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정서중심 극복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울은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장은 우울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스트레스와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문제중심 극복과 인지적 사회적 지지는 우울을 유의미하게 낮추 고 있다.

    After the crisis of IMF in 1997, the number of homeless was increased. Accordingly, the concerns about the homeless was increased.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is regarded as homeless. This study is examined on the effect of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As a theoretical framework, stress process model was used. The life condition of the homeless itself is stressful. As stressors of their lives, unemployment and chronic illness/functional disability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overty were used. As coping resources,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were used to see the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who live in Seoul and Daegu and the sample size is 173. As a sampling method, availability sampling was used. For checking the factors of coping strategie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test or x2 were used for difference 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for effect tes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chronic illness. When there is chronic illness, the problem-focused coping is lower and the emotion -focused coping is higher than those of no chronic ill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lso, when there is physical illness, the depressive symptom is higher than that of no chronic ill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level of the depressive symptom is higher when one has no job compared to one having a job,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the chronic illness and having no chronic illness on depressive sympto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 are negativ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us,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 of the homeles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6-151
    * DOI :
    * UCI : G704-000500.2008..28.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50세 이상의 중·고령자의 노후연령인지와, 노후연령인지와 역연령의 차이인 “차이연령”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 것이다. 연령차별과 성차별을 모두 겪고 있는 여성들과 남성들의 연령인지는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성별에 따라 노후연령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차이 및 영향 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 패널 3차와 3차 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50세 이상 여성 3,708명과 남성 2,490명으로 모두 6,198명이다. 노후연령인지에 미치는 영향요인들로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역연령, 교육, 결혼, 수입, 질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주관적 건강, 심리적 건강, 직업, 여가활동, 조부모 변인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차이연령” 즉 노후시기로 인지하는 연령과 자신의 역연령의 차이는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어 자신의 주관적 연령은 여성이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노후연령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교육, 수입, 주관적 건강, 직업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의 경우는 여가활동이 남성의 경우는 도구적 일상생활능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차이연령”의 경우 역연령, 교육, 수입, 주관적 건강, 직업은 남녀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결혼상태와 여가활동은 여성의 경우에만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고 있고 도구적 일상생활능력은 남성의 경우에만 유의한 영향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노년기에도 “차이연령”이 높게 나타나 노년도 중년의 연령인지를 갖고있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고 있으며 인간수명 100세 시대에 젊고 활력있는 노년기에 대한 새로운 개념정의로 중년의 개념인 “신중년” 등 새로운 개념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old age and "the difference in age"(from the perception of old age minus the actual age). Since women are affected by ageism and sexism, there may be gender difference of factors affecting perception of old age. This study used the third wave and the third additional wave of individual data set of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target population was adults who are older than 50, an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6,198(women 3,708 and men 2,490). For data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income, physical and mental health, job, leisure activities and grandparent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difference in age” is higher than that of men. Age, education, income, subjective health and job were significant factors of affecting the perception of old age. For women leisure activities and for me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significant factors respectively. Age, education, income, subjective health and job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difference in age". Only marital statu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women's "difference in age" and, for me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an important factor. For middle and older adults, their perception of old age was high, which means that they live actively and young in the centenarian era of human life. Therefore, it's time to highly consider the concept of "new middle age".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53-78
    * DOI :
    * UCI : G704-002139.2015.44..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55세에서 64세까지의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요소가 노후준비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노후준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성공적 노화모델은 Rowe와 Kahn(1997, 1998)이 사용되었다. 인구사회적인 변인과 독립변인은 3차, 노후준비는 3차 부가조사, 삶의 만족도는 4차조사를 사용한 종단적 연구로 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 대상은 2255명이며 회귀분석대상은 변인에 모두 응답한 1540명이다. 노후준비는 패널자료에는 신체, 심리?사회, 경제적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나 노인4고인 질병, 소외, 무위, 빈곤을 고려하여 요인분석 후 신체, 심리, 사회, 경제적인 노후준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직접효과를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위해서는 Baron과 Keney의 분석방법이 사용된 후 유의도 파악을 위하여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질병과 장애를 제외하고는 성공적 노화요소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신체적 기능, 교육, 사회관계는 모든 노후준비에 직접효과가 있다. 신체적 기능은 신체적 노후준비와 정서적 노후준비를 완전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교육은 신체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과 직장생활은 정서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기능은 사회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기능과 직장생활은 경제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ffect on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and the life satisfaction. It also focused on whether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th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KReIs and focused on 2255 for difference test by demographic variables, and 1540 pre-older adults for regression analysis. As a model of successful aging, Rowe and Kahn's(1997, 1998) was used. As demographic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3rd wave were used and for preparation for older life variables, the 3rd additional wave variables were used. For dependent variable, the life satisfaction of 4th wave was used. Even though there were three kinds of preparation for older life in the 3rd additional wav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ocio-emotional variables were separated as social and emotional using factor analysis. For direct effect,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For mediating effect,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except for having diseases and disabilities al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have a direc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function. Education and social relations als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The physical and emotional preparation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physical func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physic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duca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emotion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ducation, and job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soci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physical functioning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economic preparation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physical functioning and job on the life satisfac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57-288
    * DOI :
    * UCI : G704-001512.2013..62.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준고령자(55-64세)와 고령자(65-74) 두 집단의 은퇴 후의 은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파악 및영향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에는 2009년에 수집된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표본크기는 준고령자 396명, 고령자 912명으로 1308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준고령자와 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미치는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인 틀로 스트레스과정이론(Stress Process Theory)이 사용되었다. 은퇴만족도의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모든 대상이 은퇴경험자로 은퇴는 통제된 것이다. 은퇴만족도의 영향요인 파악을 위해 인구사회적인 변인이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으며 은퇴관련 상황변인으로은퇴유형, 은퇴이유, 은퇴장단점이 사용되었고 대처자원으로 경제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인 여가활동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은퇴관련변인 중 은퇴유형, 은퇴장점, 은퇴단점은 두 집단 모두에게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유의하게 미치고 있다. 둘째, 대처자원으로 경제적 독립과 여가만족은 두 집단 모두에게 은퇴만족도에 유의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자녀취업은 준고령자에게만 유의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은퇴이유인 건강악화와 공적연금수급 및 여가활동은 고령자에게만 유의한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은퇴만족도의영향정도를 비교한 ß를 보면 준고령자와 고령자 모두 여가만족이 은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두번째는 은퇴단점인 경제적 어려움이 은퇴만족도를 낮추었으며 다음은 경제적 측면으로 준고령자 집단에서는자녀의 취업이, 고령자 집단에서는 경제적 독립이 은퇴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다. 연구의 함의는 은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은퇴 후에도 경제적인 자립을 할 수 있는 노후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노후준비가 경제적인 것 뿐 아니라 사회적인 여가활동의 활성화로 은퇴만족도를 높이는 것 등 은퇴 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자원들이 경제적, 사회심리적인 모든 영역에서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were compared by the age groups who were older than 65(older adults: 65~74) and younger than 65(semi older adults: 55~64). Also,the degree to how the retirement satisfaction was affected was compared. This study used the third wave of Korea Panel of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396 for semi older adults and 912 for older adults (65+). For testing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Stress Process Model of Adaptation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types and causes of retirement, and pros and cons of retirement were used. Also, for adjustment variables, spouse and children's work status, semi and young older adults' economic statu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findings, for semi older group,children's employment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However, for older adults group, public pension, leisure activity and the economic hardship of retirement were main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For both groups, the satisfaction of leis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Also, the economic hardship was the second most negative factor of affecting the retirement satisfaction for both groups. The economic independence and psychosocial preparation such as involving in leisure activities helped the adjustment after retire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617-636
    * DOI :
    * UCI : G704-000573.2013.33.3.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의 범주를 60세 혹은 65세 이상으로 구분할 때 동질적이라고 보기 힘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요인들과 삶의 질의 차이 및 하위영역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각각 조사하였으며, 전후기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의 노인 310명이며 전기, 후기노인들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t-test와 χ2검증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변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기, 후기노인 모두 배우자, 건강인지, 자긍심,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하게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전기노인의 경우 역할수행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경제적 어려움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회참여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수행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사회참여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전기와 후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에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aging population as young-old and old-old women. It examines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 between young-old and old-old women. Also, it examines the effect of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in both groups and compares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both groups. The sample of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Daegu and Kyungbuk province an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310. As statistical method, t-test, χ2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are used. As demographic factors, age, marital status, income and education are controlle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marriage, perceived heal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of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both groups. However, for young-old group, the perceived economic hardship and the receipt of social welfare affect negatively and social participation affects posi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for old-old group, informative social role affects positively and social participation a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negative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7-222
    * DOI :
    * UCI : G704-000330.2006.58.2.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여성정책연구원의 제1차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사용한 연구로 30, 40, 50, 60대의 연령대 별 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 및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부부관계 외적 요소와 부부관계 요소의 둘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대상자는 30대여성 1200명, 40대 989명, 50대 368명, 60대 64명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30대 여성의 경우 다른 연령대보다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40대도 50대나 60대보다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령대 별로 남편과의 관계 및 인식은 모두 결혼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만 그 외의 영향요인은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30대의 경우 부부관계요소인 활동공유, 가사분담만족, 남편의 육아 및 가사시간 등이 모두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40대의 경우 가사부담만족과 영화관람 등의 활동공유는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본인의 직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남편의 가사분담 만족은 30대와 40대 여성들에게는 중요한 결혼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50대 여성들에게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다. 50대의 경우 시부모와의 갈등은 결혼 만족도를 낮추었으며 시댁가족과의 만남은 결혼만족도를 높였다. 50대의 경우 남편과의 관계 및 인식을 제외하고는 부부관계요소는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시부모갈등이나 시댁가족만남 등의 부부관계 외적요인들은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본 연구의 60대 이상 연구대상이 많지 않아 60대 이상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uses the first year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is study compares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by age cohort such as 30s, 40s, 50s and 60s. As two subsets of marital satisfaction, the outer factors and factors of couple relations are us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30s(1,200), 40s(989), 50s(368) and 60s(64).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30s is the highest. Also, the marital satisfaction of 40s is higher than those of 50s and 60s. The relation and recognition about a husband is a significant factor of affecting on marital satisfaction for all ages.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vary by age cohort. For 30s and 40s, the satisfaction of the division of labor is an important factor but for 50s it is not. For 50s, the conflict with the parent-in-law reduces the marital satisfaction but getting together with the in-laws increases the marital satisfac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5-62
    * DOI : 10.16975/kjfsw.2009..26.002
    * UCI : G704-000964.2009..26.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중고령자와 고령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악 및 성별에 따른 비교를 통하여 다양한삶의 질 구성 요소 및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 차이점을 분석하여 성공적 노후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자료(2009년)를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은 남성고령자, 여성고령자, 남성중고령자, 여성중고령자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용된 샘플의 크기는 6849명이다.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를 위하여는 카이자승검증과 ANOVA가 사용되었고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네 집단 중 여성고령자는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삶의질 등이 가장 열악하게 나타난 반면 남성중고령자는 삶의 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및 결과에 의한제언은 첫째, 기대수명의 증가와 성별에 따른 평균수명의 차이로 고령화사회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노인의 삶의 질이 가장 열악하므로 여러 방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노후대책은 네 집단 모두 상당히 열악하여 머지않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우리나라의 노후대책의 심각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셋째, 여가활동만족은 모든 집단의 삶의 질에 가장 높은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중고령자의 은퇴시작과 고령자의 은퇴 후 늘어난 여유시간의 활용을 통한 만족감 증진이 필요하다. 넷째, 직장유무와 노후준비유무에 따라 삶의 질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은 남성고령자 집단이 유일하며 기대수명의 증가와 예전의 노년기보다 비교적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고 있는 현대의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by age and gender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ging. The third wave of Korean Panel of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as us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6,849and it consisted of four groups: middle aged men and women and older men and women.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ANOVAs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If the different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sher LSDs were used for post-hoc tests.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check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older women were the worst group in regards to the quality of life such a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best group for quality of life were middle aged me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since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women were among the worst of the four groups, the life style of older women should improve due to women's longer life expectancy than men. Secondly, the preparation for older life was very poor for all groups, which is an issue. Thirdly, since the satisfaction of leis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our group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be satisfied with their surplus times. Finally, job and preparation were important factors for older men. Older men who are still healthy can expect to live longer than previous older adult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mployment among older adults, it is an issue. Therefore, creating jobs for older adult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45-161
    * DOI :
    * UCI : G704-000573.2012.32.1.01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을 사용하여 질병과 장애의 예방, 신체·인지기능, 사회활동참여 등의 성공적 노화요소가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경북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310명이다. 노인의 연령은 60세 이상을 초기노인, 70세 이상을 중기노인, 80세 이상을 후기노인으로 하여 연령군에 따른 성공적 노화요소의 차이를 조사하기위해 ANOVA 검증을 하였고 배우자유무 및 가족과의 동거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요소의 차이를 보기위해 t-검증과 카이자승검증을 사용하였다. 성공적 노화요소의 삶의 만족도에의 영향력을 검증하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령, 배우자유무, 가족과의 동거여부가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령군에 따라 인지건강, 신체활동수준, 교육수준 및 사회적 소외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배우자유무 및 가족과의 동거여부에 따라 신체·인지기능과 교육, 사회적 소외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성공적 노화의 세 구성요소인 장애 및 질병, 신체·인지기능, 적극적 사회활동참여는 삶의 만족도 변량을 약 40%정도 설명하고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지건강, 교육, 직업활동, 종교활동 등이며 사회적 소외는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를 높였고 가족과의 동거여부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uses Rowe and Kahn's successful aging model which consists of avoiding disease and disability, high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and engagement with life. It examines how these thre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is older women who are older than 60 and reside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310. To examine the age group(60+: young old, 70+: middle old, 80+: old old) differences, ANOVA are used. To check the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and residental status, t-test and χ2 are used. To test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used. When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ging, marital status and residential status are controlled.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ived health, IADL, ADL, education and social isolation by age groups. Also,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hysical and cognitive activities such as IADL, ADL, education and social isolation by marital status. Furthermore,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ADL, education and social isolation by residential status. The factors which consist of successful aging explain about 40% of variance of the life satisfaction. The perceived health, education, job and religious activity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and the social isolation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negatively. There are statistically different effect of the residential status on the life satisfac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33-48
    * DOI :
    * UCI : G704-000573.2008.28.1.009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90-111
    * DOI :
    * UCI : G704-000500.2005..21.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의 어려움으로 대표되는 사중고(四重苦: 빈곤, 질병, 고독, 무위)가 여성노인들의 스트레스인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및 대처자원이 매개효과가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304명이다. 연구방법은 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원, 대처자원, 스트레스인지의 차이를 보기위해 ANOVA와 t-test를 사용하였고 ANOVA의 경우 집단 간 차이가 있을 경우 Fisher LSD를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하였다. 스트레스원의 스트레스인지에의 영향 및 대처자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매개효과분석은 Baron과 Kenney(1986)의 3단계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령에 따라 고독감과 역할없음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교육수준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 고독감과 역할없음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과 고독감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배우자유무에 따라서 경제적 어려움, 고독감과 역할없음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적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인지는 연령에 따라 스트레스인지의 차이가 없음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통제변인 중 수발은 유일하게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사중고는 스트레스인지에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 정도는 고독감, 만성질환, 경제적 어려움, 역할없음의 순서였다. 대처자원 중 인지적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원의 스트레스인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four hardships of older women affect their perceived str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ping resources. The older women's perception of stressors may depend on the demographic and coping variables.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is women who are older than 60 and reside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304. To examine hardships and coping differences by demographic variables, ANOVA and t-test are used. When using ANOVA, if F test is significant, Fisher LSD is used. To test the effects of stressor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are used. For testing mediating effect, Baron and Kenny's(1986) three steps multiple regressions are used. Research results show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four hardships by age, education and income status.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spouse or no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economic strain, loneliness and rolelessness. Als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by demographic variables. All four hardships of older women affect the perceived stress. The degree of affectedness on the perceived stress are isolation, chronic disease, economic stress and rolelessness in order.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perceived stres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03-330
    * DOI :
    * UCI : G704-001512.2009..43.006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북한이탈 남성과 여성들이 인지한 적응의 어려움과 극복자원을 비교하였으며, 인지한 적응의 어려움이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152명으로 남녀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사용하였고, 적응의 어려움과 극복자원이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자본주의체계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큰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고, 구직의 어려움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큰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후검증으로 열 개의 적응의 어려움 중 남녀의 순위가 같은 경제적 어려움, 경쟁사회, 문화의 차이와 뿌리의 상실에 대한 극복자원의 우울성향에 대한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때 나이 및 한국에서의 재교육과 한국에서의 체재기간이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남녀 모두 문화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이 우울성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북한이탈 남녀 모두 친척, 친구, 이웃의 숫자는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남성의 경우 가족이나 친한 친구의 정서적 지지는 우울성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북한이탈 여성의 경우 상관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는 우울성향에 정적 영향을, 도구적 지지는 우울성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특정한 사회적 지지자원에 따른 사회적 지지기능의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ived adjustment stress and coping resources and their effect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pecifically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152, which makes it possible to do statistical inferences. As statistical methods,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are used. Age, the existence of the education and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are controlled. This study shows that the difficulty of the capitalist system of the women is higher than that of men.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y of searching job of the men is higher than that of women. As a post hoc analysis, the effect of the same rank perceived adjustment stress between men and women, such as economic difficulties, competitive society,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loss of the root on the depressive symptoms are analyzed and compared. This study indicates the cultural difference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on the depressive symptoms for both men and women. The research result also shows that the self-esteem is an important coping resource for both men and women. Among social support, the emotional social support of the family and friends are important factors reducing the depressive symptoms for men. For 재men the instrumental social support from the authorities is important factor of reducing the depressive symptoms. Thu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effect of the specific types of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s differ by the specific sources of social support for both men and wom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95-124
    * DOI :
    * UCI : G704-000500.2005..20.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1963년에서 1955년 사이에 태어났으며 아날로그시대와 디지털시대의 “낀세대”라고 할 수 있는 베이비붐세대의 정보화활용 정도를 파악하고 정보화의 활용정도가 정보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더불어 정보화 활용정도는 베이비붐세대의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하여서도 정보화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모두 400명으로 제주를 제외한 전국을 연령, 성별, 지역별로 인구비례에 의한 할당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넷을 사용할 줄 아는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구사회적인 특성 중 연령, 성별, 직장유무, 교육수준, 월소득에 따라 정보화활용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보화활용정도를 보면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정보화 생활만족도를 낮추었으며 접근이 용이하고 활용능력이 높고 의존능력이 높을수록 정보화 생활만족도는 높았다. 정보화활용 변인 중 접근용이성은 자기통제력을 높였으며 의존능력이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은 낮아졌다. 정보화의 접근 용이성은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정보화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is baby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63 and 1955. Babyboomers are like sandwich generation between the analog and digital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gital use ability on the effect of the digital life satisfaction was examin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400 and it was selected by the ratio of region, age, gender based on the population census of the country(except Jeju island) who can use interne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igital use ability by age, gender, job status, education and income. If they used the internet more, it reduced the effect of digital life satisfaction. If they accessed the information technology easily and had higher use ability and relied upon digital equipment, it affected digital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The acces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easily affected the mastery and the reliance of digital equipment affected the self-mastery negatively. And the self-mastery mediated between the easy acces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effect of digital life satisfac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13-137
    * DOI :
    * UCI : G704-001512.2012..57.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아날로그세대이지만 디지털시대의 경계에 살고 있는 인구 712만의 거대 집단인 베이비붐세대들의 적응역량이 디지털기기를 활용하는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론적인 틀로는 Rawton(1982)의 환경적응역량모델(Competence-Environmental Press Model of Adaptation)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별과 직업유무에 따라 적응역량인 자기효능감, 정보화에 대한 자신감, 정보화의 효과에 대한 인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적응역량인 자기효능감, 정보화에 대한 자신감, 정보화의 효과에 대한 인지에 따른 디지털기기 접근,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의사소통, 디지털기기 활용능력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적응역량이 디지털기기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자기효능감, 정보화에 대한 자신감, 정보화의 효과에 대한 인지는 디지털기기 접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과 정보화에 대한 자신감은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의사소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디지털기기 활용능력에는 자기효능감 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환경적응역량으로는 자기효능감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7,120 thousand babyboomers' adaptation abilities o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who live in the borderline of the digital and analog period. As a theoretical framework, Rawton's(1991) Competence-Environmental Press Model of Adaptation was used.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gender and job differences of self-efficacy, confidence i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digital life.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pproach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ability of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by self-efficacy, confidence of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digital life.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indicated that self-efficacy, confidence of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digital life affected on the approach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lso, self-efficacy and confidence i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ffected on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inally, only self-efficacy affected on the Ability of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03-324
    * DOI :
    * UCI : G704-001512.2012..58.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여성정책연구원의 제1차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각 세대의 표본크기는 베이비붐세대 2108명, X세대 3921명, 준고령세대 2301명이다. 삶의 질 구성요소로는 건강, 학력, 학습 및 자기계발활동 등의 교육, 직장 유무와 일 만족도 등의 경제적 측면, 여가활동, 친교활동, 자원봉사/ 사회참여활동의 사회활동, 가사분담실태, 가사분담 만족도, 부부관계 만족도 등의 가정생활, 노후걱정 및 노후준비 등 미래 삶의 질로 구성하였다. 세대 간 분석을 위해서는 ANOVA(변량분석)와 ANCOVA(공변량분석)를 사용하였다. 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건강은 세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나이가 많은 세대일수록 건강에 관심이 많다. 세대 간 사회활동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베이비붐세대는 자원봉사/ 사회참여가 가장 많고 X세대는 취미생활이 가장 활발하고 자원봉사/ 사회참여는 가장 저조하였다. 가사일 부담과 가사일 시간은 X세대가 다른 세대보다 가장 많았다. 베이비붐세대가 X세대보다 직장이 있는 비율은 높았지만 임금근로자 비율은 낮았다. 미래노후에 대한 염려는 세대를 불문하고 건강과 경제력이 가장 높았으며 X세대의 경제 염려가 가장 높았다. 나이를 공변량으로 하여 세대 차이에서 나이 차이를 배제한 결과에 의하면 학습 및 자기계발에 세대차이가 있었고 베이비붐세대는 준고령세대 보다 본인 가사일 정도는 많고, 부부(성)관계 만족도는 높았으며 본인 가사일 시간은 적었다. 또한 베이비붐세대보다 준고령세대가 자신의 일이 교육수준이나 능력수준보다 높았다.

    This study uses the first year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 Department Institut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factors of women’s quality of life by generation-babyboom, X and pre-older adults. The sample size of babyboomer is 2108, X generation is 3921 and pre-older generation is 2301. As factors of the quality of women’s life, health, education, job, the satisfaction of job, social activities such as leisure, fellowship and volunteering were used. Also, the family life such as the division of labor, the satisfaction of division of labor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included. The quality of life of future such as worries about one’s old age and the preparation of one’s old age were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generation difference, ANOVA and ANCOVA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health differs by generation. Also, the social activities differ by generation. For babyboomers, volunteering was the highest and for X generations, activities for hobby were the highest, and the volunteering was the lowest. The burden and time of house chores were the highest for X generation. For babyboomers, the job ratio is higher than that of X generation but the ratio of laborer is higher than for that of X generation. For the worries of one’s old age, economic status and health were the highest. For X generation, the worries of economic status was the highest. The age was used as covariate to control the age effect. When using ANCOVA, there were generation differences of learning and individual development. For babyboomers, the burden of house chores,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pre-old generation but the time of house chores was lower than that of pre-old generation. For pre-old generation, their job abilities were higher than their degree of education and the job activit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7-34
    * DOI :
    * UCI : G704-001512.2011..51.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자원봉사의 기능주의 접근으로 자원봉사 동기기능 및 자원봉사 기능유익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인천을 비롯한 경기도의 수도권 베이비부머 자원봉사자 280명이다. 자원봉사 동기기능은 여섯 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되어있어 동기가 평균보다 높고 낮음에 따라 두집단 간 여섯 가지의 자원봉사 기능유익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자원봉사특성 및 자원봉사 동기기능과 자원봉사 기능유익의 사회통합감에의 영향 파악을 위하여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원봉사 동기기능의 하위영역 중 경력동기기능, 이해동기기능은 사회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원봉사 기능유익 중에서는 사회기능유익과 가치기능유익이 사회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원봉사의 기능주의 접근이 설명하는 것처럼 자원봉사 동기기능과 자원봉사 기능유익에 따라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결과는 기능주의 접근의 자원봉사모델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하여 자원봉사자의 충원에 기능주의 접근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babyboomers' volunteering motivational function and functional benefit on social integration using functional approach.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280 babyboomers who volunteer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Depending on the high and low mean of functional motivation, each functional motivation group was divided by two. Six functional benefits were then compared by both high and low motivation group. For testing the effect of volunteering on social integr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or sub-functional motivation, social and understanding motiva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and for sub-functional benefit, social and value functional benefit were significant factors. The results indicate that depending on the motivational function and functional benefit, the effect of volunteering on social integration is different as functional approach of volunteering explains. Thus, the research results support functional approach of volunteering. Therefore for vitalizing babyboomers' volunteering, using functional approach for recruiting volunteers is desirabl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65-783
    * DOI :
    * UCI : G704-000573.2015.35.3.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특성 및 자원봉사 참여동기를 분석하여 이들의 자원봉사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인천의 수도권 베이비부머 자원봉사자 280명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원봉사 기간은 여성이 남성보다 길었으며 직장이 없는 경우 자원봉사 참여동기 중 사회성동기, 가치동기, 보호성동기, 이해동기가 직장이 있는 경우보다 높았다. 자원봉사특성의 자원봉사 역할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은 수입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높았다. 자원봉사동기의 종류에 따라 역할정체성 및 자원봉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참여동기 중 경력동기는 자원봉사 역할정체성을 낮추었으며 강화동기, 보호성동기, 이해동기는 자원봉사 역할정체성을 높였다. 종교가 있을 경우 자원봉사만족도가 높았으며 경력동기와 사회성동기는 자원봉사만족도를 높였다. 생산적이고 활동적인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동기의 자원봉사 역할정체성 및 자원봉사만족도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노인자원봉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구분되는 내용으로 베이비부머들의 노년기까지의 지속적인 자원봉사를 통한 역할정립을 위해 다양한 영역의 자원봉사동기 참여동기의 중요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by boomers' volunteering and whether variables are affecting volunteer role identity and volunteer satisfaction.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280 baby boomers who were volunteering. For collecting data, interview methods were used. The target population was selected using ratio sampling of gender based on population census.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to compare two groups depending on gender and job, t-tests were used. For testing the effect of volunteering on volunteer role identity and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s their income was increasing their volunteer satisfaction was increasing.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income and religion affected volunteer role identity. The motives of volunteers such as value, protection and understanding affected volunteer role identity positively and experience affected volunteer role identity negativel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volunteer motives such as experience and social affected volunteer satisfaction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ince the motives of baby boomers' volunteering affected the role identity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volunteering can be an important factor of baby boomers' preparation in the social aspect for older age who are easily isola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79-103
    * DOI :
    * UCI : G704-001512.2014..64.010서지정보 닫기
  • 노인들의 스트레스나 사회적지지, 우울증 등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많지만 이러한 여러 가지 특성들을 배우자의 유무에 따라 비교한 연구는 저조한 편이다. 본 연구는 노년기에 배우자를 상실한 여성노인과 배우자가 있는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원, 자긍심, 사회적지지, 우울증의 차이 및, 각 집단의 스트레스의 원인, 자긍심, 사회적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사회적지지인 사회참여와 기능적 사회적지지인 정서적지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효과를 분석, 비교하였다. 연구자료는 비례표집법에 의한 미국의 전국적 자료인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이며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제1시기(1987-1988)에 배우자가 있다가 제2시기(1992-1994)에 연구과정 중 자연스럽게 배우자를 상실한 60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시기 모두 배우자가 있는 여성노인을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샘플크기는 배우자를 상실한 노인 97명과 배우자가 있는 노인 375명이다. 분석방법은 두집단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분석으로 t 검증과 카이자승 검증을 사용하였고 각 변인들의 우울증에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배우자를 상실한 노인의 경우 경제적인 어려움과 거주지이전이 우울증을 증가시켰고 자긍심은 우울증을 낮추는데 영향을 주었다. 사회참여는 우울증을 낮추었으며 정서적지지는 경제적 어려움과 거주지이전이 있을 경우 모두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완충효과를 나타내고있다. 배우자가 있는 노인의 경우 경제적인 어려움은 우울증을 증가시켰지만 거주지이전은 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자긍심은 노인의 우울증을 낮추는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사회참여는 우울증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정서적지지는 배우자가 있는 노인의 경우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거주지이전시 완충효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배우자의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원, 사회적지지의 우울증에 대한 영향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the stressors,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older adult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comparison between married and widow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effects of the stressor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s by marital statu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 which were collected both Time 1(1987-1988) and Time 2(1992-1994). The sample was consisted of 375 married women and 97 widowed women who lost their spouses as the on going process of the data collection. As data analysis methods, t-test and chi-square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check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ressive symptoms. For the widowed women, economic strain and residential relocation were stressors which increased the depressive symptoms. The self-esteem negatively affected on the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participation also affected negatively on the depressive symptoms. There were moderating effects between economic strain, residential relocation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respectively. For the married women, the economic strains affected on the depressive symptoms but the residential relocation did not work as a stressor. The self-esteem affected on the depressive symptoms negatively as it affected the widowed women, but there was no social participation effect on the depressive symptoms. Also,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between economic strain, residential relocation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respectively. Thus, there were different effects of the stressors and social supports on depressive symptoms by the marital statu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47-164
    * DOI :
    * UCI : G704-000573.2004.24.4.005서지정보 닫기
  • 현대사회는 과학, 의학의 발달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있다. 그러나 가족제도의 변화로 청소년들이 노인을 접할 기회는 별로 없으며 청소년이 노인에 대해 배울 기회는 간접적으로 교육 등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과 대구, 경북지역의 대학생들의 노인연령인지와 노화인지에 관한 연구로 조부모의 동거여부, 노인관련과목 수강여부가 노인에 대한 인지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노인관련수업 수강여부는 노인연령인지 및 노화인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이나 현재 동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않다. 또한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이나 노인관련과목 수강은 노화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ging is proceeded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modern technology and the increase of life expectancy. However, the change of family system takes out the opportunity for younger generations to get together with older generations such as grandparents. The only way for younger generations to learn about older adults is through school education. This research tries to find whether the experience of coresidence of grandparents in the past, present and taking courses of older adults affect the perception of old age and aging.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aking courses about older adults affect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old age and aging.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ence of coresidence of grandparent on the perception of old age and aging. Also, the experience of coresidence of grandparents and taking courses of older adults affect the perception of aging positive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71-396
    * DOI :
    * UCI : G704-001512.2008..39.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의 3차와 3차 부가조사를 사용한 연구로 여성과 남성의 노후연령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비교하고 영향요소들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연령인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을 사용하여 신체적인 노후시기, 사회?제도적인 노후시기로 은퇴와 연금을 수령하는 시기, 가족생애주기인 자녀를 모두 출가 시키거나 첫 손주를 봐 조부모가 되는 시기, 전통?문화적으로 회갑이 되는 시기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은 노후보장패널의 3차 시기인 2009년에 만 60세 이상이다.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여성 2,792명, 남성 1,952명으로 모두 4,744명이다. 연구방법으로 노후연령인지에 미치는 영향파악을 위하여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신체적 노후시작과 사회?제도적 노후시작을 노후연령시작 시기로 보는 것은 남성이 높았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가족생애주기 노후시작과 전통?문화적 노후시작을 노후연령시작 시기로 보는 것이 높았다. 노후연령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연령, 교육, 가계총수입, 직업 및 신체적 노후, 사회제도적 노후, 가족생애주기 노후시작은 남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심리적 건강은 여성의 노후연령인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도구적 일상생활능력과 주관적 신체건강은 남성의 노후연령인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노후연령인지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은 남녀 모두 신체적 노후시작 시기였으며 그 다음이 역연령으로 노년기의 신체적인 노후가 역연령보다 노후연령을 인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으며 생태체계이론은 노년기의 노후연령인지의 영향요소 파악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역연령 뿐 아니라 노후연령인지의 노년기의 삶의 질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used the 3rd and 3rd additional wave?? of panel data of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old age. As an analytic framework, Bronfenbrenner's eco-system theory was used. As categories of ecosystem, the period of grand parenthood as a family life cycle, retirement or pension receiving time as socio-institutional period and 60th birthday as cultural-traditional period were used.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60+ in the 3rd wave collecting in 2009 and the sample size ?wa?s 4,744(women=2,792, men=1,952). As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for both gender, age, education, gross family income, job and beginning variables of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However, psychological heal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nly women, and IADL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nly men. When comparing βs of in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physical health variable is the most effective on the perceived old age and? chronological age is the second most? effective?. The result indicated that eco-system theory can be appli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old age. For future study, both chronological age and perceived old ag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375-394
    * DOI :
    * UCI : G704-000573.2015.35.2.007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