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민소영-]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40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7-50
    * DOI :
    * UCI : G704-000143.2003.21..001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1-238
    * DOI :
    * UCI : G704-000500.2003..16.010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 노숙인 사이의 상호 의존적이고 협조적인 치료적 관계(therapeutic relationship)가 정신건강 외래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집중적 사례관리서비스를 제공한 이후 1년 동안의 정신건강 외래서비스 이용 기록을 추적하여, 사례관리서비스 기간 동안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형성되었던 치료적 관계의 유무와 강도가 서비스 종결 이후에 정신건강 외래서비스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미국에서 집중적 사례관리서비스를 바탕으로 실시한 ACCESS(Access to Community Care and Effective Services and Supports) 시범사업에 참여하였던 중증정신질환을 가진 295명의 노숙인이다. 분석자료는 프로그램 참여자들에 대한 설문조사자료와 Medicaid 수혜기록 및 정신건강 공공서비스 이용에 대한 행정자료이며, 분석은 토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클라이언트의 치료과정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던 주요 사례관리자와 관계를 형성하였던 정신장애 노숙인일수록 집중적 사례관리가 종결된 이후에 정신건강 외래서비스를 빈번하게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관리자와 치료목적과 실천과정에 대한 상호 이해 및 동의, 그리고 협조적 관계를 강하게 형성하였던 사람일수록 정신건강 외래서비스를 빈번하게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집중적 사례관리서비스를 통하여 정신장애 노숙인이 지역사회 서비스 체계로 연결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가 사례관리자와 상호 협조적 치료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정신장애 노숙인을 지역사회 내에서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례관리자에게 여러 다양한 치료적 기법 및 기술을 습득하도록 훈련?지도하는 것 외에, 중증정신장애 노숙인과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개발시킬 수 있는 실천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effect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case managers on mental health outpatients service use was examined among homeless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the first three cohorts that participated in Philadelphia Access to Community Care and Effective Services and Supports (ACCESS) program, a five-year demonstration program for the hard-to-engage population with homelessness and serious mental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extent to which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case managers and its strength during ACCESS impact the frequency of outpatient service use during one-year post-ACCESS, employing Tobit model. This study found that clients who had formed an therapeutic alliance with their case manger experienc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 use of outpatient services for one year following the termination of ACCESS. The clients who reported a stronger therapeutic alliance with case manager had significantly more use of outpatient services for one-year following the termination of ACCESS. These study findings suggested that more focus should be on developing the skills of formulating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order to connect the homeless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to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syst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4-91
    * DOI :
    * UCI : G704-000500.2005..19.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정신건강문제의 잠재성을 가진 취학아동의 양육자를 대상으로 정신사회재활서비스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Andersen & Newman 모델에 근거하여 선행요인, 촉진/저해요인, 그리고 욕구요인으로 독립변수를 구분하여 종속변수인 사회기술훈련, 행동치료, 그리고 부모교육 서비스 이용의향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초등학교 아동의 양육자 140명이며, 부산지역에서 정신건강문제의 잠재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초등학교 아동을 의뢰받아 그 양육자를 대상으로 우편 조사를 하였다. 아동의 정신건강문제 여부는 PSC(Pediatric Symptom Checklis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기술훈련과 행동치료 이용의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초생활수급권 여부, 아동의 정신건강문제여부, 그리고 양육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권자가 아닐수록, 아동의 정신건강의 문제가 있을수록, 그리고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사회기술훈련과 행동치료 이용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초생활수급권 여부와 양육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권자가 아닐수록,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부모교육 이용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문제를 가진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적합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증가시켜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의 정신건강문제를 screening 하기 위한 PSC 척도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for the utilization of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including social skill training, behavior therapy and parenting education among those who are caring for schoolchildren. A Help-seeking behavior model developed by Andersen and Newman(1973) provided an analytical framework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service utilization preferences among 140 schoolchild caregiver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found that schoolchild caregivers who are not the recipients of public assistance, have their children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nd are suffering from higher parenting stress were more likely to prefer to use social skill training and behavior therapy services. The preference for the parenting education service us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atus of public assistance and parenting stress. That is, those who are not the recipients of public assistance and are suffering from higher parenting stress were more likely to prefer to use parenting education servic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be increased. Use of PSC(Pediatric Symptom Checklist) scale should be also encouraged for screening behavior health problems of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4
    * DOI :
    * UCI : G704-000500.2005..21.002서지정보 닫기
  • 만성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 모형과 수행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민소영(경기대학교) 본 연구는 만성정신장애인에 대한 사례관리 수행이 어떠한 모형과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전국의 모델형 정신보건센터 48개소를 대상으로 면접조사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신보건센터에서 중심적으로 수행하는 사례관리 모형을 분류하였다. 사례관리 수행 구조를 클라이언트 측면, 제공자 측면, 조직적 측면, 그리고 서비스 측면으로 나누어 각 사례관리 모형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신보건센터의 사례관리는 재활중심, 강점중심, 그리고 연계 중심의 각기 다른 접근 형태를 보였다. 비록 다양한 사례관리 모형이 수행되고 있다고 응답되었지만 광범위한 공통점이 나타났다. 적은 규모의 사례관리자로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를 담당해야하며, 팀 접근보다는 개별적 접근의 형태를 보였다. 지역사회로 찾아나가는 아우리치 서비스보다는 오피스 내에서의 서비스 접촉이 보다 빈번하게 일어나며, 다양한 프로그램이 종합적으로 운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정신보건센터 상황에 적용 가능한 사례관리 모델을 모색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주제어: 사례관리, 정신장애, 정신보건센터, 사례관리모델

    A Descriptive Study on Monitoring the Implementation of Case Management for Persons with Chronical Mental Illness So-young Min This study described the critical ingredients in monitoring case management implementation for the persons with chronical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he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the 48 Model-typ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hree major case management approaches have been found among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rehabilitation-oriented, strengths-oriented, and linking-oriented approaches. Even though centers identified themselves as utilizing different approaches, there were found similarities among 48 community center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clients, staffing, organization, and services: a high client-to-staff ratio, a majority of an individual approach to clients, the small number of in vivo contacts with clients in their homes and in community settings, and the provision of comprehensive but not-to-be-reached-out services. This study discussed a case management model which can be adopted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Korea. Keywords: case management, mental health,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ase management model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15-242
    * DOI :
    * UCI : G704-000143.2006..30.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가족부양자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이 가족들의 부양부담, 대처기술,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내용은 치매노인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교육 및 심리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매, 치매노인, 부양부담에 따른 스트레스 등을 이해시키고, 대처기술을 강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족부양자는 실험집단 18명과 통제집단 21명이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비동일 통제집단 디자인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부양부담, 대처기술, 우울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족부양자 대상 집단교육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부양부담 완화와 대처기술 향상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사례관리 적용여부에 따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사례관리서비스를 적용한 집단에서는 부양부담과 대처기술이 긍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가족부양자교육에 다학제적인 전문가가 참여하여, 교육메뉴얼을 통해 세 지역에서 동일한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가족교육이 사회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집단프로그램에 사례관리서비스가 추가되면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 높여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roup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giving burden, the coping skill, and the depression among the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old people with dementia. A seven-week lo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llowing the four specific objectives suggested by the MFW program incorporating multi-disciplinary areas. The eighteen caregivers participated in the group educ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ne of them were also provided with case management. A twenty-one caregivers in the control group were not provided with any service during the study observation progra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ANCOVA analysis was employ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 values of the caregiving burden, the coping skills, and the depression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non-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education program was partially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level of the caregiving burden and the improved level of the coping skills. The participants who were provided with the group education coupled with the case management showed the most positive outcomes in the caregiving burden and the coping skill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group education program with multi-disciplinary areas be critical to the positive outcomes among the family caregivers. Also, a better outcome maintain with the group education program coupled with case manage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7-36
    * DOI : 10.21194/kjgsw..36.200706.7
    * UCI : G704-001512.2007..36.014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강점관점(strengths-perspective)을 반영하여 사례관리를 실천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훈련 프로그램은 강점관점 및 이를 기반한 사례관리모델에 대하여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접근한 기존 문헌을 고찰하고, 이것을 토대로 사례관리 실천 과정에 접목시킴으로써 개발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사례관리 훈련 프로그램을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총 6주 동안 진행시켰다. 프로그램 효과성 측정은 단일집단 전후 실험디자인을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시점과 종결되는 시점에서 참여대상자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측정하여 동일표본 평균 차이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프로그램을 통하여 강점관점의 실천 원칙에 대한 참여 대상자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준 항목은 클라이언트의 의견이 사례관리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서비스를 스스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시점에서 종결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사례관리의 목표와 서비스 계획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이 존중되어야한다는 점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engths-based case management training program applicable to the social workers.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examined on the perception of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among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Korea. The content of the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starting with the review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trengths perspective and strengths models of case management. Those findings was combin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management process. A six-week-long training program was provided to 28 participant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training program on the changed perception of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among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trength-based perspectives i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More specifically,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admit client's participation in the case management process, and to acknowledge that the clients' ability to accommodate community resources and meet their needs results in the disengagement. Also,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b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 client's self-determination in the case management objectives and plann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39-65
    * DOI :
    * UCI : G704-000981.2008.10.1.003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사회복지서비스 중복 제공이 야기되고 있는 전달체계상의 분절성의 실태와 원인을 이론적 관점에서 규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강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복지서비스 분야 중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먼저 중앙정부에서 제공하는 재가복지서비스 중 노인에게 해당될 수 있는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상적인 전달체계의 구비요건 관점에서 미비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중앙정부차원에서의 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이 지역사회의 서비스 공급의 편차에 따라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사한 프로그램이 중앙정부의 다양한 업무팀에 의해 분절적으로 수행되면서 통합성과 서비스 연속성(continuity of care)의 원칙을 저해시킬 수 있었다. 한편, 복지인프라의 구축이 미흡하게 되면, 중앙정부차원에서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서비스가 설계되어 있어도 지역단위에서의 공급 수준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앙부처의 전달체계가 갖는 서비스 통합성이나 지속성의 어려움이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제기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 체계 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효율성의 문제는 지역단위 복지서비스의 공급 역량에 따라 차별적으로 진단되어 해결책이 제시되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ddressed the stirring arguments between the inefficiency i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hrough the human services growth and the human services deficit, providing the empirical evidence. First,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examin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inefficiency i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of the service duplica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o find the inefficiency in the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f the local govern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wth of the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might bring the concerns of fragmentation and discontinuity in the central government service delivery system. Under the lack of the welfare infrastructure and of the service provision, however, the issues of the fragmentation and discontinuity were not applicable to the local government service delivery system.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inefficiency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en addres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elfare infrastructu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57-83
    * DOI :
    * UCI : G704-000981.2008.10.2.001서지정보 닫기
  • 사례관리의 수행요소가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 만족도에 의해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지역사회정신보건서비스 기관 중 사례관리를 수행하는 18개 기관과, 이 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381명의 정신장애인이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클라이언트 수준과 기관 수준의 자료를 동시에 고려하는 위계적 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ral Model)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실무자의 담당 사례량이 삶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 사례관리팀 접근은 소비자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반면, 소비자 만족도를 매개하여 삶의 질에 이르는 간접적 영향은 미미하였다. 적절한 사례량의 확보 및 사례관리자 확대, 팀접근의 유용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ase management implementation factors, cli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e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the 18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which were implementing case management, and the 381 mentally ill persons who were living in the community and were receiving services from the agencies. The path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the independent, mediator, and dependent variable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that the caseload had the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life. The case management team approach had the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satisfaction. The suggestions were made that more focus should be on the maintenance of the appropriate caseload,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case manager, and the team approac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03-127
    * DOI : 10.20970/kasw.2009.61.3.005
    * UCI : G704-000330.2009.61.3.003서지정보 닫기
  •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전략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지역사회통합이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인 지지적 관계, 기관환경인식, 낙인지각, 그리고 자아존중감 사이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양면성이 지역사회통합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정신보건서비스 기관을 이용하는 총 432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지지적 관계의 총효과가 가장 높았다. 자아존중감의 개념은 2가지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측면인 자존심을 통하여 가족 및 타인과의 지지적 관계가 지역사회통합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가족, 타인, 그리고 치료진과의 지지적 관계는 정신장애인의 낙인지각을 거쳐서 자아존중감의 부정적 측면인 자기비하감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One of the critical goals of the community care system is to integrate the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to the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associations among social support, the perception to the agency environment, perceived stigma, self-esteem, and community integration. A total of 432 clients who are utilizing the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were analyzed,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support have the strongest effect on community integration. Two aspects of self-esteem are revealed. Self-worth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others to community integration. Perceived stigma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rom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self-deprecation. Social work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addre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6-68
    * DOI :
    * UCI : G704-000500.2009..33.002서지정보 닫기
  • 정신장애인은 복합적 욕구를 가진 인구 집단으로 어느 한 기관에서 모든 서비스 욕구를 대응하기는 어렵다. 수요자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조직들의 네트워크 구축이 전개되고 있다. 기관 간의 협력적 관계가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네트워킹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총 91개의 지역사회정신보건 서비스 조직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내 네트워킹(연계조직수, 연계횟수, 서비스 연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지역 환경, 조직유형, 사회복지사수와 서비스 제공 수준이 네트워킹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주었으며, 사례관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및 지역특성, 그리고 사례관리의 구체적 수행요소 등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networking has been assertively attempted in order to provide the client-oriented tailored services for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arv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etworking among ze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The study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networking was predicted by the community type(the location of the organizations), the type of the organizations, the number of social workers, and the amount of the service provisions. Implications were addre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29
    * DOI :
    * UCI : G704-000500.2010..34.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보장제도 접근 상태, 임상적 요인, 지지적 요인, 그리고 프로그램 이용 경험 요인이 전문재활쉼터의 퇴소 및 퇴소유형, 그리고 재입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총 5년에 걸쳐 전문재활시설인 비전트레이닝센터를 처음 입소한 정신장애노숙인 총 203명이다. 이들의 쉼터 이용 경험에 관한 기록을 추적하여, 쉼터 퇴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퇴소유형을 긍정적 퇴소와 부정적 퇴소 유형으로 구분하여 유형별에 따른 퇴소 영향 요인을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시점까지 퇴소하지 않은 총 186명을 대상으로 재입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Cox의 비례위험모형과 경쟁위험생존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203명 중 17명이 조사 시점까지 퇴소하지 않았으며, 퇴소한 정신장애노숙인 중 긍정적 퇴소를 경험한 정신장애노숙인은 20% 미만이었다. 한편, 재입소는 총 186명 중 101명이 재입소하여 과반수이상이 전문재활쉼터를 이용한 이후 재입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소율에 대한 분석 결과, 입소 당시 주민등록상태가 말소보다는 유지되고 있는 경우, 입소기간 동안 정신병원의 입원 빈도가 많은 경우, 연계되는 가족이 있는 경우, 그리고 기초재활, 정신재활 그리고 직업재활 프로그램 참여 빈도가 높은 경우에 전문재활쉼터를 퇴소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소형태와 관련한 분석 결과, 미혼일수록 그리고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이용한 경험이 많을수록 긍정적인 퇴소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입소 당시 주민등록상태가 유지되었던 사람일수록, 정신병원 입원건수가 많을수록, 연계되는 가족이 있을수록, 기초재활 및 정신재활과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많을수록 부정적인 퇴소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재입소율에 대한 분석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쉼터 입소 기간 동안 정신병원 입원 빈도가 적을 수록, 그리고 쉼터 입소 기간 동안 정신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빈도가 많을 수록 재입소할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xit from and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among homeles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Shelter use of a total of 203 study population was monitored between 2004 and 2008.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ate of the first exit from and the first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Also, competing risk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differently associated with the type of the first exit from the rehabilitation center: a positive exit and a negative exit. This study found that homeles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the negative exit while their resident registration status not being abolished on the first 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having more frequent hospitalization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being connected to the family members, having more participations into the basic rehabilitation, mental rehabilit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Age,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nd of the participations into the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were associated with the rate of the first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19-242
    * DOI : 10.16999/kasws.2011.42.1.219
    * UCI : G704-000143.2011.42.1.015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영유아빈곤가정을 대상으로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적용한 실천 경험을 분석하였다. 사례관리 실천 과정에서 경험하였던 도전과 극복, 그리고 성과에 대하여 사례관리자의 관점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경험되었는지를 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자료수집방법은 영유아빈곤가정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프로젝트의 사례관리자 총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강점원칙을 견지하면서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차원에서 사례관리자의 인식과 실천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클라이언트의 변화능력과 강점을 인식하고, 클라이언트가 변화의 주체자임을 이해하며, 클라이언트와 우호적인 신뢰관계를 쌓아나갔다. 지역사회에서는 자원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자원 발굴 및 지역기관과의 연계에 대한 적극적 노력이 일어났다. 인식과 실천의 변화를 토대로 클라이언트에게서는 건강한 주양육자로서의 성장, 지역자원의 획득 능력 향상, 이웃과 지역에 대한 공동체 의식 향상이라는 성과를 볼 수 있었다. 지역사회차원에서는 지역기관 사이의 협력 강화와 지역자원의 공유 확대, 지역 내 사례관리 역량 강화, 영유아영역에 대한 지역의 관심 증대 등의 성과가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강점관점 사례관리가 실천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ase manager's experiences in terms of how they were challenged by the difficulties of the case management process, overcame them, and obtained the positive outcomes.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employ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10 case manag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case manag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trength among clients and communities. Case managers commented that they tried to actualized the principles of Strength Case Management, thereby facing the changes and growths among clients and communitie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effective settlement of Strength Case Manage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75-304
    * DOI : 10.16999/kasws.2012.43.1.275
    * UCI : G704-000143.2012.43.1.014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현장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 실천을 분석하여, 적정 사례량을 추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민간 및 공공영역의 총 10명의 사례관리자가 약 2달에 걸쳐 작성한 일일활동기록지와 사례관리자의 정보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스프레드쉬트 방법(spreadsheet method)을 활용하여 적정 사례량이 추정되었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 1인당 한 달 동안 담당 가능한 사례량은 약 20가구에서 25가구로 도출되었다. 사례관리자의 업무 중 사례관리가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70% 수준이었으며, 사례관리 과정 중 평가, 종결, 사후관리 과정이 다른 과정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ppropriate caseloads of case management for the poor family. This study developed the daily activity time log and followed the daily case management activities for 2 months. A survey was also used to gather the socio-demographics of case managers. The appropriate caseloads were calculated employing the spreadsheet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he appropriate caseload size was from 20 to 25cases per month per a case manager, depending on the percentage of daily working hours for case management. The relatively less-frequent activities were the evaluation, discharge, and follow-up processes.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83-109
    * DOI :
    * UCI : G704-000981.2012.14.2.003서지정보 닫기
  • 이 논문은 정신보건실천현장에서 사례관리를 수행할 때 기본적으로 실천이 필요한 사례관리활동목록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록 개발을 위하여 사례관리 수행 과정과 관련된 개념 및 척도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전문가들로부터 예비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평가받았으며,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총 83개의 예비문항이 확정되었다.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사례관리를 의무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에서 현재 사례관리를 행하고 있는 265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8요인의 43문항이 확정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ase management activities inventory relevant to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ttings.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s and activities for the case management process. After the content analysis from the professional scholar and the mental health-related worker, 83 items were constructed. A survey was conducted to 265 case managers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finally 8 factors and 43 items were identifi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7-153
    * DOI : 10.20970/kasw.2012.64.3.006
    * UCI : G704-000330.2012.64.3.008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장기적이고 복합적인 지원이 필요한 정신장애인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공식 및비공식적 지원 사이의 상호관계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공식적 및비공식적 지원의 결정 요인을 통합적으로 발굴하기 위하여 앤더슨(Andersen)과 뉴먼(Newman) 모형 그리고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적용하였다. 심각한 정신질환을 가진 경기도의 지역거주 정신장애인 총 399명에게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3단계 최소자승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공식적 지원이 증가할수록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이 증가하였다. 또한, 앤더슨과 뉴먼 모형에 근거하여 진단 질환은 공식적 지원에, 연령과 결혼상태는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서비스 만족도는 공식적 지원에, 자존감 및 낙인 지각은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substitu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upport and factors influencing behaviors seeking the external support among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SMI). Andersen and Newman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s were considered with regard to seeking the external help. 399 persons with SMI who utilized community-based servic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employing 3 Stages Least Squares analysis. Major findings showed that the increased amount of formal support enhanced the amount of informal support. Based on Andersen and Newman,formal support was predicted by diagnosis and informal support by age and marriage status.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mal support was predicted by the positive attitude to mental health services and informal support by the positive attitude to self and self-stigma. Implications were address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1
    * DOI :
    * UCI : G704-000500.2013.41.1.004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문화예술을 활용하여 10년 이상 꾸준히 진행되고있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대표적 사례를 추출하여 그 경험을 분석하였다. 단일사례연구방법에 기반하여 광주시의 시화문화마을 사례를 분석하였다. 현장 조사, 실무 인력들과의 개별 인터뷰나 초점집단 인터뷰, 각종 행정 및 시청각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주체적 측면에서는 지역내부의 전문가 발굴과 활용, 주민참가형 참여 형태의 전개, 공공의 적극적 의지, 주민조직의 역할이 주요 특징으로 발견되었다. 제도적 지원 환경은 행정, 재정,법률적 영역에서 발견되었다. 사업 내용에서는 미시적 생활세계와 결합, 심미성과 거주적합성의 결합, 지역의 역사적 자산 활용, 사업의 생산과 소비 주체의 통합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성과는 사적 공간에 대한 공적 의식의 성장, 지역사회 의식 향상, 이웃 간 관계 개선, 지역 규범의 성장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and outcomes in the urban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A single-case study design analyzed the Sihwa-Moonhwa-Maul project collecting data from a variety of sources:field visits, individual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project staff, administrative documentations, and audio-visual materials. Main results show that first, the aspects of participatory actors were characterized with discovering and utilizing a professional insider of the community, the indirect-leading participation of community residents,the active will of the public, the active role of the community resident organization for increasing the partnership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ond, the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was established in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legal areas. Third, the programs stressed linking with the micro world of living, linking esthetics to livability, using community historical assets, and developing the integrity of producers and consumers of the community projects. Finally, outcomes of the Sihwa-Moonhwa-Maul project were the increase of the public sense to the private place, the improvement of sense of community, the recovery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32-73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3..40.002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기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킹이 지역 거주 정신장애인의 서비스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총 22개의 지역기반 정신보건서비스 기관들로부터 정신보건영역과 비정신보건영역에 있는 타 기관들과의 네트워킹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 기관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기관별로 약 10-30명씩 추출하여 총 399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위계적 선형 모형의 분석 결과, 정신보건영역보다는 비정신보건영역에 있는 기관들과 네트워킹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보건영역보다는 비정신보건영역 내에 있는 기관들과 네트워킹하는 조직 수나 연계횟수, 연계하는 서비스의 다양성이 정신장애인의 서비스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organizational networking to service satisfaction among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Two levels of data were collected. The organizational-level data from 22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included networking with mental health and non-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in community. The consumer-level data from 399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included client satisfaction with services. The result from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showed that networking with non-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were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link, total link and service link.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89-111
    * DOI :
    * UCI : G704-000981.2014.16.1.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정신보건실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87개소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근무하는 305명의 사례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례관리자 요인, 조직의 지원환경 요인, 지역의 자원환경 요인, 클라이언트 요인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사례관리자 요인 중 사례관리자 자기효능감, 그리고 조직의 지원환경 요인 중 내부교육 횟수, 기관의 지지부족이 사례관리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정신보건실천현장에서 사례관리자의 업무자율성 보장, 개별 정신보건센터에서 진행되는 내부 교육의 질적 제고, 이를 위한 기관의 행정적 지원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case management performance. The factors include case managers factors, organizational support environment, community resources environment, and client factors. A total of 305 case managers were surveyed from 87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Korea. The results of Ordinary Least Squares analysis showed that case manager’s self-efficacy, the number of internal education, supervision, organization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se management performance. Suggestions were made in the greater autonomy and discretion among mental health case managers, the quality management of internal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 support for case management performan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23-247
    * DOI :
    * UCI : G704-001921.2014..48.008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여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복지 증진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는 지역사회참여 행위에 지역사회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원시 여성 388명을 대상으로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인수준변수를 수집하였다. 또한 여성이 거주하는 동단위의 사회지표를 바탕으로 지역수준변수를 수집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뒤, 여성의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지역 환경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저소득층 비율이 동에 거주하는 여성일수록 지역사회참여가 활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고 취업하지 않으며 공동체의식이 높은 여성일수록 지역사회참여가 활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지역사회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ributing factors of influencing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facilitates community welfare. A total of 388 women in Suwon city was interviewed and their individual-level data were collected by the door-to-door survey. Community-level data were collected by the social indicators of residential district of the study participants. Controlling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ommunity-level variables on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women. The study found that women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 a higher percentage of the low-class population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rganizations. In addition, women who are older, not employed and have a higher level of sense of community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rganizations. Suggestions addressed the strategies to facilitate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women.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07-235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4..43.003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