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민소영-]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31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역량 자기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사례관리역량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거친 뒤, 데이컴(DACUM)방법을 활용하여 통합사례관리사의 임무, 과업,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13개 임무, 35개 과업, 63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후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서 사례관리역량 자기평가지표 57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례관리역량 자기평가지표 개발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verify a case management competence and behavioral indicators for case managers in public sector. To execute this, literature reviews pertaining to competence of case managers were examined. Then, through the use of the DACUM method, the duty, task, and competence were drawn. As a result, 13 duties, 35 tasks, and 63 types of competence were defined. An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amin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57 case management competenc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Finally,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self-assessable competence questionnaire was suggested based upon the outcom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229-254
    * DOI :
    * UCI : G704-000981.2015.17.3.007서지정보 닫기
  • 이 글의 일차적 목적은 공공과 민간의 실천 현장에서 사례관리가 전개되어 온 과정을 정리하는 데 있다. 공공의 경우, 복지체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사례관리를 중요한 실천 전략으로 확대?발전시켰다. 2005년도에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시작으로 주민생활지원기능의 강화 개편, 시군구로 위기가구 사례관리 이관, 희망복지지원단의 통합사례관리 수행, 그리고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의 변화를 거쳐 왔다. 민간 영역에서는 공공영역보다 오래 전부터 사례관리가 지역사회복지관의 재가복지사업의 일환으로 실천되어 왔다. 그러나 사례관리가 기관의 자율적 선택 사항이었기 때문에, 표준화된 매뉴얼이나 기준은 기관별로, 지역별로 다양하였다. 사례관리가 의무적 실천으로 정착된 것은 2009년도의 전국 지역사회복지관 시설 평가에 사례관리가 포함되면서 부터이다. 현재는 사례관리가 지역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중 하나로 규정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나타난 특징과 쟁점을 정리하면, 공공영역의 사례관리 수행 단위(읍?면?동-시?군?구) 변화와 사례관리 절차의 분화, 사례관리자의 공공과 민간 인력 활용 방향의 변화, 사례관리 수행의 전문성 강화 요구, 민간 영역과 공공 영역의 사례관리 중첩과 불평등한 협력 구조, 그리고 전문적 개입이 필요한 욕구에 대한 대응과 재정지원 방식의 변화 등이었다. 끝으로 사례관리를 둘러싼 쟁점들 속에서 향후 필요한 과제와 대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historical process of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In the public sector, case management has been developed as a practical strategy for improving the effective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to increase the sensory level of social welfare. The cas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has been developed with the amendment of Social Welfare Law, transfer of the primary case management role to the local government,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ystem of Hope and Welfare Support Center, the demonstration project of strengthening welfare of the regional public office. Case management in the private sector has been developed as a program for inhome care service, which is earlier than the public sector. Case management has not been established until the national facility evaluation system for the community welfare service center include case management as one of the evaluation items in 2009, since case management was not mandatory service in the community welfare service center. Recently, case management has been determined as one of three main functions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Based on thes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s were addressed: the repetitive changes in the responsibility office of case management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regional public office and division of the case management procedures, the changes in the case management labor force between civic servants and private contract workers, the request of professionality development of case managers, the overlapped role and the unequal partner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the response of the specialized care need and the change of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to facilitate the response. Finall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case management in the public and private area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213-239
    * DOI :
    * UCI : G704-000981.2015.17.1.008서지정보 닫기
  • 지금까지 우리나라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업무는 아동학대 조사에 편중되어 있었고,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업무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관련 기관에서 아동학대 사례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를 개발, 시범적으로 운영하였다.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는 학대피해아동 및 가족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재학대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의 원가정 복귀나원가정 재결합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해서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직접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내의 다양한 기관들과의 협력이 중요하다. 이연구에서는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한 아동보호전문기관 실무자 및 이들 기관과 협력활동을 했던 외부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FGI를 실시하여, 학대아동 보호 서비스 제공에 있어 기관들 간의 협력의 경험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개발로 학대아동을 위한 차별화된 전문서비스 및 개별화된 밀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였으며, 긴밀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을 통해 기관 간 협력이 강화된 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 차등적 개입 체계 미흡, 기관 간 목적 및 역할 차이로 인한 갈등, 협력에 대한 리더십 부재, 제한된 정보공유 등은 기관 간의 협력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향후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지역사회 내 관련 기관들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및 정책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o date, child protection agencies in Korea have focused on child abuse case investigation rather than providing special care for families suffering from child abuse. To resolve this matter, the demonstration project for integrated child protection specialized services was developed and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meet the multiple needs of families suffering from child abuse and to prevent re-abuse. It is important for child protection agencies to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directly, as well as to network with other community service agencie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facilitate a child’s return home or a reunion of the original family.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is study examined the community collaboration experiences of both child protection agency staff and community agency staff who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child protection specialized services project. The findings showed that specialized services stressing child abuse could be provided in an individualized person-to-person way. In addition, collaboration among community agencies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child maltreatment monitoring system. However, there are obstacles that disrupt the interagency cooperation including a lack of a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ystem in terms of the level of child abuse, conflicts between service agencies due to different service aims and roles, a lack of leadership for the agencies networks, and a lack of information exchange. Policy and practice strategies are suggested based on these study res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아동복지학회
    * 페이지 : 1-3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가족부양자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이 가족들의 부양부담, 대처기술,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내용은 치매노인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교육 및 심리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매, 치매노인, 부양부담에 따른 스트레스 등을 이해시키고, 대처기술을 강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족부양자는 실험집단 18명과 통제집단 21명이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비동일 통제집단 디자인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부양부담, 대처기술, 우울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족부양자 대상 집단교육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부양부담 완화와 대처기술 향상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사례관리 적용여부에 따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사례관리서비스를 적용한 집단에서는 부양부담과 대처기술이 긍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가족부양자교육에 다학제적인 전문가가 참여하여, 교육메뉴얼을 통해 세 지역에서 동일한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가족교육이 사회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집단프로그램에 사례관리서비스가 추가되면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 높여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roup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giving burden, the coping skill, and the depression among the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old people with dementia. A seven-week lo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llowing the four specific objectives suggested by the MFW program incorporating multi-disciplinary areas. The eighteen caregivers participated in the group educ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ne of them were also provided with case management. A twenty-one caregivers in the control group were not provided with any service during the study observation progra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ANCOVA analysis was employ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 values of the caregiving burden, the coping skills, and the depression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non-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education program was partially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level of the caregiving burden and the improved level of the coping skills. The participants who were provided with the group education coupled with the case management showed the most positive outcomes in the caregiving burden and the coping skill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group education program with multi-disciplinary areas be critical to the positive outcomes among the family caregivers. Also, a better outcome maintain with the group education program coupled with case manage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7-36
    * DOI : 10.21194/kjgsw..36.200706.7
    * UCI : G704-001512.2007..36.014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지역사회 환경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 지역아동센터시설장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603명의 응답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환경 변인이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근무하는 지역사회 내에 주민 간 유대감이 높으며, 지역사회내의 무질서 수준이 낮다고 인식할수록, 업무에서의 정서적 탈진이 낮고, 일에서의 개인적인 성취감이 높을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도 우호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기존연구들에서 사회복지종사자의 소진의 영향 요인으로서 개인적ㆍ조직적 요인만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는데, 지역사회환경 변인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burnout among the social worker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manager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A total of 603 responden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communit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urnout of social workers. Respondents who perceived a higher tie between residents and the low level of the community disorder in the community in which they are working, reported a lower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at work,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at work, as well as a more favorable relationships with clie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ommunity i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burnout among social workers.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56-288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6..52.002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여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복지 증진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는 지역사회참여 행위에 지역사회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원시 여성 388명을 대상으로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인수준변수를 수집하였다. 또한 여성이 거주하는 동단위의 사회지표를 바탕으로 지역수준변수를 수집하였다. 개인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뒤, 여성의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지역 환경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저소득층 비율이 동에 거주하는 여성일수록 지역사회참여가 활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고 취업하지 않으며 공동체의식이 높은 여성일수록 지역사회참여가 활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지역사회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ributing factors of influencing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facilitates community welfare. A total of 388 women in Suwon city was interviewed and their individual-level data were collected by the door-to-door survey. Community-level data were collected by the social indicators of residential district of the study participants. Controlling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was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ommunity-level variables on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women. The study found that women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 a higher percentage of the low-class population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rganizations. In addition, women who are older, not employed and have a higher level of sense of community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rganizations. Suggestions addressed the strategies to facilitate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women.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07-235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4..43.003서지정보 닫기
  • 정신장애인은 복합적 욕구를 가진 인구 집단으로 어느 한 기관에서 모든 서비스 욕구를 대응하기는 어렵다. 수요자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조직들의 네트워크 구축이 전개되고 있다. 기관 간의 협력적 관계가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네트워킹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총 91개의 지역사회정신보건 서비스 조직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내 네트워킹(연계조직수, 연계횟수, 서비스 연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지역 환경, 조직유형, 사회복지사수와 서비스 제공 수준이 네트워킹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주었으며, 사례관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및 지역특성, 그리고 사례관리의 구체적 수행요소 등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networking has been assertively attempted in order to provide the client-oriented tailored services for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arv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etworking among ze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The study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networking was predicted by the community type(the location of the organizations), the type of the organizations, the number of social workers, and the amount of the service provisions. Implications were addre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29
    * DOI :
    * UCI : G704-000500.2010..34.013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장기적이고 복합적인 지원이 필요한 정신장애인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공식 및비공식적 지원 사이의 상호관계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공식적 및비공식적 지원의 결정 요인을 통합적으로 발굴하기 위하여 앤더슨(Andersen)과 뉴먼(Newman) 모형 그리고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적용하였다. 심각한 정신질환을 가진 경기도의 지역거주 정신장애인 총 399명에게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3단계 최소자승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공식적 지원이 증가할수록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이 증가하였다. 또한, 앤더슨과 뉴먼 모형에 근거하여 진단 질환은 공식적 지원에, 연령과 결혼상태는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서비스 만족도는 공식적 지원에, 자존감 및 낙인 지각은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substitu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upport and factors influencing behaviors seeking the external support among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SMI). Andersen and Newman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s were considered with regard to seeking the external help. 399 persons with SMI who utilized community-based servic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employing 3 Stages Least Squares analysis. Major findings showed that the increased amount of formal support enhanced the amount of informal support. Based on Andersen and Newman,formal support was predicted by diagnosis and informal support by age and marriage status.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mal support was predicted by the positive attitude to mental health services and informal support by the positive attitude to self and self-stigma. Implications were address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1
    * DOI :
    * UCI : G704-000500.2013.41.1.004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7-50
    * DOI :
    * UCI : G704-000143.2003.21..001서지정보 닫기
  • 정신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전략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지역사회통합이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인 지지적 관계, 기관환경인식, 낙인지각, 그리고 자아존중감 사이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양면성이 지역사회통합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정신보건서비스 기관을 이용하는 총 432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지지적 관계의 총효과가 가장 높았다. 자아존중감의 개념은 2가지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측면인 자존심을 통하여 가족 및 타인과의 지지적 관계가 지역사회통합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가족, 타인, 그리고 치료진과의 지지적 관계는 정신장애인의 낙인지각을 거쳐서 자아존중감의 부정적 측면인 자기비하감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One of the critical goals of the community care system is to integrate the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to the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associations among social support, the perception to the agency environment, perceived stigma, self-esteem, and community integration. A total of 432 clients who are utilizing the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 agencies were analyzed,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support have the strongest effect on community integration. Two aspects of self-esteem are revealed. Self-worth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others to community integration. Perceived stigma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rom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self-deprecation. Social work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addre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6-68
    * DOI :
    * UCI : G704-000500.2009..33.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보장제도 접근 상태, 임상적 요인, 지지적 요인, 그리고 프로그램 이용 경험 요인이 전문재활쉼터의 퇴소 및 퇴소유형, 그리고 재입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총 5년에 걸쳐 전문재활시설인 비전트레이닝센터를 처음 입소한 정신장애노숙인 총 203명이다. 이들의 쉼터 이용 경험에 관한 기록을 추적하여, 쉼터 퇴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퇴소유형을 긍정적 퇴소와 부정적 퇴소 유형으로 구분하여 유형별에 따른 퇴소 영향 요인을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시점까지 퇴소하지 않은 총 186명을 대상으로 재입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Cox의 비례위험모형과 경쟁위험생존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203명 중 17명이 조사 시점까지 퇴소하지 않았으며, 퇴소한 정신장애노숙인 중 긍정적 퇴소를 경험한 정신장애노숙인은 20% 미만이었다. 한편, 재입소는 총 186명 중 101명이 재입소하여 과반수이상이 전문재활쉼터를 이용한 이후 재입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소율에 대한 분석 결과, 입소 당시 주민등록상태가 말소보다는 유지되고 있는 경우, 입소기간 동안 정신병원의 입원 빈도가 많은 경우, 연계되는 가족이 있는 경우, 그리고 기초재활, 정신재활 그리고 직업재활 프로그램 참여 빈도가 높은 경우에 전문재활쉼터를 퇴소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소형태와 관련한 분석 결과, 미혼일수록 그리고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이용한 경험이 많을수록 긍정적인 퇴소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입소 당시 주민등록상태가 유지되었던 사람일수록, 정신병원 입원건수가 많을수록, 연계되는 가족이 있을수록, 기초재활 및 정신재활과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많을수록 부정적인 퇴소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재입소율에 대한 분석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쉼터 입소 기간 동안 정신병원 입원 빈도가 적을 수록, 그리고 쉼터 입소 기간 동안 정신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빈도가 많을 수록 재입소할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xit from and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among homeles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Shelter use of a total of 203 study population was monitored between 2004 and 2008.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ate of the first exit from and the first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Also, competing risk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differently associated with the type of the first exit from the rehabilitation center: a positive exit and a negative exit. This study found that homeless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the negative exit while their resident registration status not being abolished on the first 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 having more frequent hospitalization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being connected to the family members, having more participations into the basic rehabilitation, mental rehabilit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Age,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nd of the participations into the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s dur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stay were associated with the rate of the first reentry into the rehabilitation cent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19-242
    * DOI : 10.16999/kasws.2011.42.1.219
    * UCI : G704-000143.2011.42.1.015서지정보 닫기
  • 이 논문은 정신보건실천현장에서 사례관리를 수행할 때 기본적으로 실천이 필요한 사례관리활동목록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록 개발을 위하여 사례관리 수행 과정과 관련된 개념 및 척도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전문가들로부터 예비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평가받았으며,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총 83개의 예비문항이 확정되었다.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사례관리를 의무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에서 현재 사례관리를 행하고 있는 265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8요인의 43문항이 확정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ase management activities inventory relevant to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ttings.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s and activities for the case management process. After the content analysis from the professional scholar and the mental health-related worker, 83 items were constructed. A survey was conducted to 265 case managers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finally 8 factors and 43 items were identifi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7-153
    * DOI : 10.20970/kasw.2012.64.3.006
    * UCI : G704-000330.2012.64.3.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정신건강문제의 잠재성을 가진 취학아동의 양육자를 대상으로 정신사회재활서비스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Andersen & Newman 모델에 근거하여 선행요인, 촉진/저해요인, 그리고 욕구요인으로 독립변수를 구분하여 종속변수인 사회기술훈련, 행동치료, 그리고 부모교육 서비스 이용의향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초등학교 아동의 양육자 140명이며, 부산지역에서 정신건강문제의 잠재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초등학교 아동을 의뢰받아 그 양육자를 대상으로 우편 조사를 하였다. 아동의 정신건강문제 여부는 PSC(Pediatric Symptom Checklis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기술훈련과 행동치료 이용의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초생활수급권 여부, 아동의 정신건강문제여부, 그리고 양육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권자가 아닐수록, 아동의 정신건강의 문제가 있을수록, 그리고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사회기술훈련과 행동치료 이용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초생활수급권 여부와 양육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권자가 아닐수록,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부모교육 이용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문제를 가진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적합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증가시켜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아동의 정신건강문제를 screening 하기 위한 PSC 척도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for the utilization of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including social skill training, behavior therapy and parenting education among those who are caring for schoolchildren. A Help-seeking behavior model developed by Andersen and Newman(1973) provided an analytical framework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service utilization preferences among 140 schoolchild caregiver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found that schoolchild caregivers who are not the recipients of public assistance, have their children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nd are suffering from higher parenting stress were more likely to prefer to use social skill training and behavior therapy services. The preference for the parenting education service us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atus of public assistance and parenting stress. That is, those who are not the recipients of public assistance and are suffering from higher parenting stress were more likely to prefer to use parenting education servic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be increased. Use of PSC(Pediatric Symptom Checklist) scale should be also encouraged for screening behavior health problems of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4
    * DOI :
    * UCI : G704-000500.2005..21.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읍면동 찾아가는 복지 강화라는 정책기조 속에서 사회복지 공무원의 직무수행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심현상은 ‘찾아가서 주민을 만나는 것이 주된 일’로 분석되었으며, ‘제대로 된 전담 팀 가동’이 인과적 조건,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연계와 수평적인 협력’이 맥락적 조건으로 파악되었다. 중재적 조건은 ‘교육참여를 통한 역량개발과 유지’,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사회복지사 정체성의 확인과 수용’이었으며, 결과는 ‘기본에 충실해지는 최일선 복지현장 읍면동’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공무원의 직무수행 측면에서 보는 읍면동 찾아가는 복지 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social welfare officers at the field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Data were gathe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The central phenomenon was analyzed as 'visit and meet the residents', and the causal condition of 'proper team’ and 'horizontal cooperation' were identified a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compet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education',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confirmation and acceptance of identity of social worker ', and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Eup?Myeon?Dong as social welfare field adhere to bas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o strengthen welfare in Eup?Myeon?Dong in terms of job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offic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페이지 : 1-2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최접점에 있는 읍?면?동을 통합할 경우, 주민접근성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최근에 제안되는 전달체계 개편 모형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리시, 안산시, 파주시, 남양주시 4개 시를 중심으로 사례관리대상자와 읍면동과의 거리를 Q-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민접근성의 변화 수준을 측정하였다. 읍?면?동의 통합 모형은 소극적 모형과 적극적 모형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소극적 모형은 현 읍?면?동 4개당 1개의 거점화된 읍?면?동을 설치하는 모형이며, 적극적 모형은 현 읍?면?동 3개당 1개의 거점화된 읍?면?동을 설치하는 모형이다. 분석 결과, 소극적 모형을 실시할 경우 중소도시, 대도시, 도농복합지역 모두 물리적 거리가 최대 2배 이상 증대할 만큼 주민접근성이 악화되었다. 반면, 적극적 모형을 실시할 경우 중소도시의 경우 물리적 거리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도시나 도농복합지역은 적극적 모형을 실시하더라도 물리적 거리가 2배 가까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복지업무를 수행하는 거점화된 읍?면?동을 설계하는 전달체계의 변화를 구상할 때 도시의 특성과 규모를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edicts the geographical access to the public community service center under the asuumption of the public community service centers. Two models measuring the geographical access to the center were designed : a passive model and an active model. The passive model represents a model which produces one community service center integrating 4 centers. The active model represents a model which produces one community service center integrating 3 centers. The GIS analysis compared the direct distance from the house of case management recipients to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among the existing model, the passive model, and the active model of 4 cities, Guri, Ansan, Pajoo and Namyangjoo. This study found that the passive model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geographical access by more than two times among 4 cites from the present location of the public community service center. The active model did not show th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geographical access from the present location of the public center in the small and medium-size city. However, the large-size city and the urban-rural complex city experienced the increase of the geographical access by more than two times under the active model. The geographical access by the types of cities should be addressed when the integration of the public community service centers was plann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87-113
    * DOI :
    * UCI : G704-001921.2015..53.005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돌봄 사각지대에 방치된 은둔형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를 확대시켜 고립감을 해소하고 독거노인 지지체계 및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경험을 탐색하였다.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사업인 ?별들에게 물어봐?에 참여한 발굴단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직화’, ‘네트워크 경험’,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 경험’, ‘서비스 제공경험’이라는 4가지의 대분류 주제로 분류될 수 있다. ‘조직화’은 다시 하위의 소주제에서 ‘발굴단원 구성의 시행착오’과 ‘초기의 높은 중도탈락율’, ‘발굴단의 역량부족’으로 나누어질 수 있었다. ‘네트워크 경험’은 하위에 ‘네트워크에 대한 불명확한 역할’ ‘진정한 네트워크가 이루어지지 않음’, ‘유사사업기관과의 갈등’라는 3가지 소주제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경험은 ‘다양한 발굴경로’, ‘서비스 거부에 대한 상처와 인권존중 관점 사이의 혼란‘, 지속적인 관심’으로 분류되었다. 서비스 제공경험은 ‘긍정적 변화를 보이는 노인’, ‘발굴단의 역랑강화 및 소진’, ‘서비스 제공의 한계’, ‘사업단절에 대한 염려스러움’으로 나누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은둔형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돌봄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개입 방향과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ing experiences of a demonstration project of finding the socially withdrawn elderly person who are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which amis to build the community-based care systems of extending the social relationships, reducing the feeling of isolation and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and safety net of the elderly pers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ocial workers and volunteers of finding the elderly persons, and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 project "asking to stars". The study found four main themes of 'organizing', 'networking', 'finding the socially withdrawn elderly person who are living alone', 'providing services'. The organizing was divided into the sub-themes of 'trial and error of forming the finding volunteers', 'the high quitting rate of volunteers in the early stage', 'the lack of capability of the finding volunteers'. The networking was divided into the sub-themes of 'the ambiguous role of service organizations networked', 'not-building the true network', 'the conflict among the similar organizations'. The theme of finding the socially withdrawn elderly person who are living alone was divided into 'the various ways of finding the elderly persons', 'volunteer's hurt from the elderly persons because of their rejection of services and confusion between human rights views', 'the continuous attention'. The theme of providing services was divided into 'the elderly persons who showed the positive changes', 'capability-building and burn-out of volunteers', 'the limitation of service provision', 'the worry of the demonstration termination'.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ntervention strategies of finding the socially withdrawn elderly person who are living alone in order to build the community-based care syst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1-16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현장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 실천을 분석하여, 적정 사례량을 추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민간 및 공공영역의 총 10명의 사례관리자가 약 2달에 걸쳐 작성한 일일활동기록지와 사례관리자의 정보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스프레드쉬트 방법(spreadsheet method)을 활용하여 적정 사례량이 추정되었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 1인당 한 달 동안 담당 가능한 사례량은 약 20가구에서 25가구로 도출되었다. 사례관리자의 업무 중 사례관리가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70% 수준이었으며, 사례관리 과정 중 평가, 종결, 사후관리 과정이 다른 과정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ppropriate caseloads of case management for the poor family. This study developed the daily activity time log and followed the daily case management activities for 2 months. A survey was also used to gather the socio-demographics of case managers. The appropriate caseloads were calculated employing the spreadsheet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he appropriate caseload size was from 20 to 25cases per month per a case manager, depending on the percentage of daily working hours for case management. The relatively less-frequent activities were the evaluation, discharge, and follow-up processes.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83-109
    * DOI :
    * UCI : G704-000981.2012.14.2.003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은유되는 인류사적 전환의 의미를 사회복지실천의 내부로 초대해 성찰하고 사회복지실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을 구심으로 하는 근미래 사회의 변화상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전략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4인의 사회복지 연구자가 7회에 거쳐 토론한 내용을 분석하는 공동자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미래의 특징은 초연결성, 새로운 공동체의 출현과 확대, 다원화와 개인화, 삶의 질에 대한 새로운 기준의 등장 등으로 집약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사람과 사물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노동에서 해방된 인간은 다양한 공동체를 추구하는 동시에 원자화된 개인 또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범주와 규범의 해체로 다원화와 개인화가 확대되고, 탈물질주의의 동향으로 생태주의적 세계관 등 새로운 삶의 질서가 부상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한편 현재의 사회복지실천은 거시적 맥락으로부터 분리, 기술 중심 전문가주의로의 편향, 통합성을 상실한 개인 중심 실천 등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의 사회적 변화에 조응적인 사회복지실천을 구현하기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인 사람과 사회에 푯대를 둔 실천 지식, 기술, 가치의 재배열, 둘째, 공유경제 등 개인 삶의 경계를 공동체로 확대한 확장적 실천, 셋째, 사회복지 전문직의 고유성 탐색을 통한 매력의 회복을 풀어야 할 과제로 제안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ocial transition, which is often metaphorized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work practice and to explore measures to improve social work practice in such transition. Four social welfare researchers held seven discussions to predict the social changes in the near future center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ind the corresponding development strategies in social work practice; collective autobiography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iscussion. The analysis ascertained hyper connectivity, the advent and expansion of new communities,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criteria for the assessment of one’s quality of life as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the near future. It was analyzed that humans and organic materials will be interconnected through spatial and temporal transcendence and that humans liberated from labor will seek for diverse communities while the number of atomized individual will increase simultaneously. Furthermore, the rise of new order of life accompanied by both the expansion of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and the ecological worldview brought forth by post materialistic trend was predicted. Meanwhile, the disengagement from macroscopic context, a biased inclination towards technique orientated professionalism, and individualistic social work practices without integrity were identified a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ocial work practice. This study presented three goal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help it overcome its current shortcomings and correspond to the social changes: first, the rearrangement of practice knowledge, technique, and value so that it is based on humans and society, which are the essence of social practice work; second, the practice, such as sharing economy, that expands the individuals’ boundaries of life to the community; three, the restoration of the desirability of professional social works by examining its special natu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41-6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사회복지서비스 중복 제공이 야기되고 있는 전달체계상의 분절성의 실태와 원인을 이론적 관점에서 규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강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복지서비스 분야 중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먼저 중앙정부에서 제공하는 재가복지서비스 중 노인에게 해당될 수 있는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상적인 전달체계의 구비요건 관점에서 미비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중앙정부차원에서의 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이 지역사회의 서비스 공급의 편차에 따라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사한 프로그램이 중앙정부의 다양한 업무팀에 의해 분절적으로 수행되면서 통합성과 서비스 연속성(continuity of care)의 원칙을 저해시킬 수 있었다. 한편, 복지인프라의 구축이 미흡하게 되면, 중앙정부차원에서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서비스가 설계되어 있어도 지역단위에서의 공급 수준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앙부처의 전달체계가 갖는 서비스 통합성이나 지속성의 어려움이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제기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 체계 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효율성의 문제는 지역단위 복지서비스의 공급 역량에 따라 차별적으로 진단되어 해결책이 제시되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ddressed the stirring arguments between the inefficiency i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hrough the human services growth and the human services deficit, providing the empirical evidence. First,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examin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inefficiency i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of the service duplica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o find the inefficiency in the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f the local govern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wth of the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might bring the concerns of fragmentation and discontinuity in the central government service delivery system. Under the lack of the welfare infrastructure and of the service provision, however, the issues of the fragmentation and discontinuity were not applicable to the local government service delivery system.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inefficiency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en addres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elfare infrastructu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57-83
    * DOI :
    * UCI : G704-000981.2008.10.2.001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영유아빈곤가정을 대상으로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적용한 실천 경험을 분석하였다. 사례관리 실천 과정에서 경험하였던 도전과 극복, 그리고 성과에 대하여 사례관리자의 관점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경험되었는지를 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자료수집방법은 영유아빈곤가정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프로젝트의 사례관리자 총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강점원칙을 견지하면서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차원에서 사례관리자의 인식과 실천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클라이언트의 변화능력과 강점을 인식하고, 클라이언트가 변화의 주체자임을 이해하며, 클라이언트와 우호적인 신뢰관계를 쌓아나갔다. 지역사회에서는 자원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자원 발굴 및 지역기관과의 연계에 대한 적극적 노력이 일어났다. 인식과 실천의 변화를 토대로 클라이언트에게서는 건강한 주양육자로서의 성장, 지역자원의 획득 능력 향상, 이웃과 지역에 대한 공동체 의식 향상이라는 성과를 볼 수 있었다. 지역사회차원에서는 지역기관 사이의 협력 강화와 지역자원의 공유 확대, 지역 내 사례관리 역량 강화, 영유아영역에 대한 지역의 관심 증대 등의 성과가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강점관점 사례관리가 실천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ase manager's experiences in terms of how they were challenged by the difficulties of the case management process, overcame them, and obtained the positive outcomes.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employ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10 case manag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case manag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trength among clients and communities. Case managers commented that they tried to actualized the principles of Strength Case Management, thereby facing the changes and growths among clients and communitie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effective settlement of Strength Case Managemen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75-304
    * DOI : 10.16999/kasws.2012.43.1.275
    * UCI : G704-000143.2012.43.1.014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