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박창제-]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25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중요한 재가복지사업의 하나인 노인 주간보호서비스의 비용효과 분석을 수행한 다음,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본 조사는 유사실험설계 방식을 사용하여 치매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주부양자 집단(처치조건)과 이용하고 있지 않은 주부양자 집단(통제조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4개월 간격으로 두 번의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조사에서 처치조건에 속하는 171명의 주부양자와 통제조건에 속하는 117명의 주부양자에 대한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고, 두 번째 조사에서는 처치조건 69명, 통제조건 65명의 주부양자에 대한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주간보호 프로그램의 비용효과성을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두개의 패널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하여 처치조건의 65명과 통제조건의 61명에 대한 자료가 본 연구를 위하여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은 치매와 관련된 증상들에 대하여 효과가 있었다. 둘째, 치매노인 주간서비스가 부양자의 스트레스요인과 심리적인 안녕의 특수한 차원을 경감시키는데 비용효과적이었다. 셋째, 사회적 비용측면에서 치매노인 주간보호서비스의 이용이 가정에서 거의 전적으로 치매노인을 보호하는 것보다 비용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치매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서비스는 시설(병원이나 요양원)입소에 대한 징검다리로서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이용하는 부양자에게 실용적인 선택방안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of day care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and derive their implications using the results of analyse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compare two groups of primary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Both groups were administered interviews at two intervals: first survey(baseline), 4 month later. In the first survey, data of 171 primary caregivers in the treatment condition and data of 117 primary caregivers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collected. Four Months later, data of 69 caregivers in the treatment condition and data of 65 caregivers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collected in second survey. Sinc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st-effectiveness of day care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wo panels were created. Therefore, data for 65 primary caregivers in the treatment condition and 61 primary caregivers in the control condition were used for this study.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a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cost-effective in relieving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dementia or related disorders. Second, the day care services are cost-effective in relieving specific dimensions of caregive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from social cost perspective, to utilize the da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more cost-effective than to chose not to use them and rely on family care mostly. Fourth, the utilization of the day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be practical option as a bridge to the institutionalizing an elderly relative(e.g., the placement of hospita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17-340
    * DOI :
    * UCI : G704-001512.2005..28.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에 대한 가족의 보호형태별 비용을 추정한 다음,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지원할 정책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65세 이상 치매노인을 수발하는 부양가족을 보호형태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즉, 가정보호, 주간보호, 단기보호, 병원보호, 그룹홈으로 구분하여 비확률 표집방법을 통해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가정보호 108부, 주간보호 136부, 병원 71부, 단기보호 17부, 그룹홈 7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주부양자의 학력이 상당히 높다. 이렇게 주부양자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게 되면 부양여성들이 높은 인적자본을 요하는 전문적인 직업을 가질 가능성이 있고, 전통적인 가족지향의 가치보다는 개인적인 행복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여 치매노인에 대한 부양의 기회비용이 크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둘째, 치매노인 부양가구가 소득에 비하여 직접지불부담비중이 아주 크며 경제적 상태가 나쁠수록 그 비중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사회적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치매부양가족을 위한 직접비용에 대한 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총비용중에서 간접비용이 아주 높았다. 간접비용이 직접비용에 비하여 거의 2배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정책당국자가 지금까지 부양자의 직접비용에만 관심을 집중하여왔다는 점에서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신중한 고려의 필요성이 있다. 넷째, 치매정도별로 보면 직접비용에서는 최고도일 때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중도, 고도, 경도의 순서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sts by caregiving types of family with the demented elderly empirically, and then to explore policy measures to support families with the dependent elderly using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is research, primary caregivers that provide caregiving to demented elderly were drawn and surveyed(N=380).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339 primary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amily caregivers from various settings that give care to the demented elderly. The 108 subjects were caregivers from home care that family provide most care, the 136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day care programs for the demented elderly, the 71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hospital care, the 71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short term care, and the 7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group h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caregiver's education level is high. With more educated, these higher-educated female caregivers may have professions that requires high human capital formation and prefer personal well-being to traditional value. Therefore, the opportunity costs associated with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must be increased. Second, caregiving households with the demented elderly accounted for significantly high direct costs relative to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s with lower economic status undertake higher direct cost relative to household income. This suggests that the policy to assist direct cost of families with the demented elderly be required to improve social equality. Third, the larger component of this cost was indirect costs. In this context, indirect costs must be evaluated significant item in social considerations for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Fourth, the direct costs of famil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verity of dementia.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17
    * DOI :
    * UCI : G704-000573.2004.24.4.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에 대한 가족의 병원보호선택에 미치는 요인을 회귀모형을 구성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사 대상은 65세 이상 치매노인을 가정과 병원에서 수발하는 부양가족으로 설정하고, 비확률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조사된 설문지 중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가족보호 138부, 병원보호 90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치매노인가족에 대한 부양행동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가계생산경제모형을 바탕으로 병원보호선택 모형을 도출하였다.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부양가족들이 치매노인을 보호하는 형태에 대한 선택과 결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보호형태에 대한 결정은 피부양자의 특성, 부양가족의 소득, 부양생산기술, 가계생산기술, 부양자 선호의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논의할 수 있었다. 첫째, 치매노인은 치유의학(curative medicine) 보다는 만성적 보호(chronic care), 치료(treatment) 보다는 돌봄(caring)이 더 필요하다. 둘째, 치매노인의 배우자와 며느리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치매노인 부양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eterminants of the hospital care choice of family with the demented elderly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Among collected data for this research, data for 228 primary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amily caregivers from two settings that give care to the demented elderly. The 138 subjects were caregivers from home care that family provide most care, the 90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hospital care programs for the demented elderly. To explain family caregiving behaviors for demented elderly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family caregiver's decision-making model regarding hospital choice that was drawn by an economic model of household product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caregivers do systematically determine and choose the types of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They also show that these determinations is influenced by a set of care recipient socio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the household income of caregiving family,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care setting, the technology of household production, and the caregiver's prefere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to support families with the dependent elderly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for the demented elderlies, policy priorities should be stressed chronic care rather than curative medicine, caring rather than treatment. Second, social support for spouse and daughter-in-law of the demented elderly are required. Third, it need to support family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economical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79-102
    * DOI :
    * UCI : G704-001512.2008..41.006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부양가족이 치매노인을 부양하는데 있어서 경제적정서적 부담이 적게 드는 공적인 휴식보호 서비스체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호형태별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경제적 부담과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위한 휴식보호서비스체계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치매노인을 수발하는 주부양자들을 보호형태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총 439부가 본 연구의 분석표본으로 선정되었는데, 이들은 가족보호 138부, 주간보호 102부, 단기보호 84부, 요양원보호 25부, 병원보호 90부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보호형태별 경제적 비용 모형, 보호형태별 스트레스 모형, 결합모형을 구성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세가지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치매노인부양가족의 경제적 부담이 아주 높다. 둘째, 가족과 시설이 파트너십을 발휘할 수 있는 휴식보호서비스가 가장 효과적이다. 셋째, 신축적인 조합형 휴식보호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formal respite care service system that caregiving family have less economic and emotional burden caused by caregiving activities. For this, the economic burden and stress by caregiving types of family with the demented elderly was analysed empirically and using the results of analysis, discussion about effective respite care service model for family with the dependent elderly was provided. For this research, primary caregivers that provide caregiving to demented elderly were drawn and surveyed by caregiving types of family.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439 primary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amily caregivers from various settings that give care to the demented elderly. The 138 subjects were caregivers from family care that family provide most care, the 102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day care programs for the demented elderly, the 84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short term care, and the 25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intermediate care facility, the 90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hospital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conomic cost model, stress model, combination model by caregiving types of family with the demented elderly could be composed. The three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obtained. First, family's economic burden caused by caregiving activities is high. Second, The respite care services utilizing partnership of families and institutions are more effective. Third, it need to develop flexible respite care system of combination typ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95-326
    * DOI :
    * UCI : G704-001512.2006..32.008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67-84
    * DOI :
    * UCI : G704-000573.2002.22.3.01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공식 부양자가 제공하는 중증 장애노인에게 노인보호의 양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실증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OLS 추정을 한 결과, 부양결정에 관련된 요인들에 대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중증 장애노인에게 노인보호의 양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OLS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부양시수와 주부양자의 부양시수에 대한 회귀모형들의 결과는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였다. 피부양자의 특성 포함여부는 전체 결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총부양시수와 주부양자의 부양시수로 구분한 모형간에도 큰 차이가 없었다. 모든 회귀 모형에서 부양시간의 주요 결정인자는 부양자의 경제활동여부, 부양자가 노인을 시설에서 보호하는데 부담할 용의가 있는 금액, 일상생활동작 및 수단적 일상생활동작제한 수로 나타났다.소득의 가설적인 역할은 2차부양자들을 포함한 모든 부양시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형 1에서만 회귀결과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결과에 따르면 임금이 높은 부양자들은 노인을 보호하는데 드는 시간의 기회비용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부양생산기술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모든 모형에서 일상생활동작제한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제한이라는 장애노인의 동작능력 제한이 클수록 부양자가 노인을 부양하는 데 드는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부양팀원수가 많을수록 보호시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부양팀원간의 과업전문화나 노인의 심한 장애로 인하여 한사람의 집중적인 보호의 필요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공식 서비스 이용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는데, 이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즉 노인의 장애정도가 심하면 집중적이고 많은 시간의 부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부양자들이 거의 전적으로 수발하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가계생산기술을 구성하는 18세 이하 자녀, 부양자 교육수준, 가계재 생산팀원수라는 요소는 부양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부양체계상 보호가 필요한 자녀나 부양자의 교육수준, 그리고 가계재를 생산하는 사람의 수는 장애노인 부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부양시수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부양자 선호의 구성요소는 부양자가 경제활동을 하는지 여부와 장애노인을 시설에 보호할 경우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활동을 하는 부양자는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양자들보다 노인을 보호하는데 드는 시간의 기회비용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지불할 용의 금액이라는 변인도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비공식 부양자가 노인을 보호하는데 드는 부양시수가 많고 부양의 강도가 높을수록 시장에서 노인 보호를 구입하는 것에 대하여 지불할 용의금액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본 연구는 비부양자와 잠재가족 부양자들에 대한 자료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된 변수에 대한 편의성(bias)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조사자가 주부양자를 1회 면접으로 주부양자의 기억에만 의존하여 기록하였고, 보호와 관련된 사항들을 주로 한 달로 한정하여 질문하였기 때문에 월별 보호의 변동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상의 한계를 개선하여 보다 정교한 분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03-220
    * DOI :
    * UCI : G704-000330.2003.54..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 준비와 그 결정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2007년 사회통계조사자료로서 이 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45세에서 59세 사이의 중 · 고령자 18,354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개념체계는 Andersen 모형에 기반했으며,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요인을 logistic 분석을 이용하여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가 전혀 안된 중 · 고령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경제적 노후준비를 하지 않은 비율은 높다. 둘째, 남성,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 현재소득인식, 주택소유, 거주지역, 전반적 생활여건은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남성, 연령, 경제활동은 사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교육수준, 현재소득인식, 전반적 생활여건향상은 사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남성,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 현재소득인식, 주택소유, 거주지역, 전반적 생활여건향상, 장래소득기대는 부수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연령은 부수적 경제적 노후준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of the middle and old-aged and their determinants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Data from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18,354 Middle and Old Citizens aged between 45 and 59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and logistic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portion of middle and old citizen with no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was high, and old-aged had lower level of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than relative less aged. Second, mal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economic activities, recognition of present income, housing ownership, residental location, and total life condition improvement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Third, while male, age, and economic activities is nega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ivate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education level, recognition of present income, and total life condition improvement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ivate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Fourth, while mal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economic activities, recognition of present income, housing ownership, residental location, and total life condition improvement, expectation of future income i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condary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 age is nega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condary economic preparations for ag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75-297
    * DOI : 10.20970/kasw.2008.60.3.012
    * UCI : G704-000330.2008.60.3.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령층의 ICT를 활용한 사회참여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고령층의 삶의 질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보문화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델개발을 위해 노인복지 및 ICT 분야 전문가 및 고령층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참여한 전문가는 정부 및 지자체 10명, 산업계 5명, 관련 기관 및 단체 14명 등 전체 35명이었다. 고령층은 전국 55세 이상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수집한 설문지 중에서 336부가 본연구의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계층적분석기법(Analytic Hierarchical Process)을 활용하였다. 조사와 분석에 따른 우선 추진서비스 모델을 근거로 설계된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고령층 디지털 콘텐츠 및 서비스를 개발한다. 이러한 영역에는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개발”, “고령층을 위한 IPTV 프로그램”이 제시되었다. 둘째, 고령층을 위한 SeniAll-life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 영역에는 “SeniAll-Portal 프로그램”, “고령층 구인/구직 DB 구축 및 서비스 프로그램”, “자원봉사 통합정보사이트 운영프로그램”, “고령층 인터넷 오픈마켓사업”, “경험지식 서비스프로그램”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고령층 정보문화센터 사업을 개발한다. 이 영역에는 “고령층 정보문화통합센터(U-경로당)프로그램”, “도시?농촌간 경로당 연계 서비스프로그램”, “실버 폴리스프로그램”, “고령층 사회?문화활동 커뮤니티지원프로그램”, “정보문화지킴이사업”, “고령친화렌탈서비스사업”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ervice models to promote older adult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utilizing ICT and suggest information culture promotion directions to improve life quality of older adults. To develop service model, 35 exper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nd ICT were drawn and surveyed. And older adults were surveyed and data for 336 older adults were for this study. It was analysed by utilizing AHP(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Models were designed as follows with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o develop digital contents and service for older adults. For exampl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for Older Adults', 'IPTV Program for Older Adults' were proposed. Second, to develop SeniAll-life service programs for older adults. For example, 'SeniAll-Portal Program', 'DB Accumulation and Aervice to Recruit Older Adults', 'Internet Open Market for Older Adults', 'Experience Knowledge Service Program' were proposed. Third, to develop information culture center programs for older adults. For example, 'Total Information Culture Center for Older Adults(eg. U-Hall for the Elderly)', 'Cooperation Program between Urban and Rural Halls for the Elderly', 'Older Adult Police Program', ‘Programs to Support Social & Culture Activities Communication', 'Information Culture Guide Program', and “Rental Service of Assistant Goods for Older Adults” were propo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79-206
    * DOI :
    * UCI : G704-001512.2009..45.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경제활동 변화에 미치는 요인들을 추정하여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장애아동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63부 중 사용 가능한 154부를 이용하여 분석을 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상으로 상당히 높았다. 둘째, 장애아동 가계의 경제적 상태가 열악한 상태에 있었다. 셋째, 장애아동 양육으로 인해 어머니의 과반수이상이 경제활동을 그만두었거나 근무시간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선호하는 경제활동형태는 시간제 근로 또는 재택 근무 형태였다. 다섯째, 장애아동의 연령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장애아동의 장애가 심할수록 어머니의 경제활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경제적 부담이 높을수록 장애아동 어머니의 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부담이 높을수록 장애아동 어머니의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changes of mother with the disabled child, and then to discuss policy implications for estimated outcomes. For this research, a set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utilize facilities for disabled children in Gyeongnam region were surveyed(N=163).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154 moth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levels of mothers with the disabled child were high. Second, the economic status of family with the disabled child is not good. Third, the half or more mothers with the disabled child did not stop economic activities or reduce allocated hours to market to give care for disabled child activities. Fourth, the types of employment mothers with the disabled child prefer were part time labor or in-home labor. Fifth, the disabled child' age wa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mployment of mother with disabled child. Sixth, the severity of child's disability wa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activity change of mother with disabled child. Seventh, the economic burden of mother with disabled child was nega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mployment of mother with disabled child. Eighth, the psychic burden of mother with disabled child was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mployment of mother with disabled chil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03-224
    * DOI :
    * UCI : G704-000964.2004..14.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장기요양보호서비스에 대하여 유형별로 비용측면에서 경제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적용 대상자로 인정받은 65세 이상 노인과 그 부양가족이었고,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서비스유형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방문요양 155부, 방문간호 67부, 요양시설 108부, 요양병원 92부 총 422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부양가계의 가계소득이 높지 않았다. 둘째,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부양가계가 노인을 위하여 직접 지불하는 금액이 여전히 높은 편이다. 셋째, 부양가계가 노인을 위하여 수발하는 데 소요되는 간접비용이 아주 높은 편이다. 특히 재가서비스인 방문요양의 경우엔 평균 756,947원, 방문간호인 경우 594,807원으로 시설서비스에 비하여 간접비용이 상대적으로 아주 더 높았다. 넷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아주 높다. 이 금액은 본 조사에서 확인한 부양가계의 평균가계소득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섯째,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부양가계가 부담하는 서비스 비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부양가계의 직접비용에서도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서비스이용비용보다는 그 차이가 작았다. 일곱째, 사회적 직접 비용은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아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덟째, 요양보호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비용금액이 아주 크고 서비스 유형별 총 사회적 비용이 전체 서비스 이용노인의 평균적인 사회적 비용에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st side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s econom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is research, primary caregivers that provide care the elderly requiring long term care services sanction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ere drawn and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422 primary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amily caregivers from various settings that give care to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giver's household income level is low. Therefore, caregiving families with the elderly are likely to have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 under coverage of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direct cost caregiving households pay for the elderly is still very high. Third, indirect cost of caregiving households accounted for the larger proportion caregiving costs. Fourth, social cost burden for caregiving the elderly is very high. This cost amount is appropriately equal to household income of caregivers surveyed in the research. Fifth, service use cost of caregiving households is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 Sixth, direct cost of caregiving household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 but is differentiated less than service use cost. Seventh, social indirect cost for caregiving the elderl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 Eighth, social cost amounts for the elderly utilizing long term care service is very high, total social cost per capita by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 tend to converge on average social cost per capita of total servi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043-1061
    * DOI :
    * UCI : G704-000573.2009.29.3.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가장 핵심적인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인 방문요양서비스와 요양시설보호서비스에 대하여 비용?효과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의 분석 표본은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 38부,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이용자 37부가 최종 선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보호욕구가 강하여 요양등급이 높은 노인을 부양하는 부양자에게는 재가 서비스인 방문요양보다 시설보호인 노인요양시설이 스트레스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다. 둘째, 스트레스 요인간 비용효과가 다르다. 1차적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역할구속의 단위당 개선비용이 가장 낮았고 친교 상실이 단위당 개선비용이 가장 높았다. 2차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는 근로갈등이 단위당 개선비용이 가장 낮았고 가족갈등이 단위당 개선비용이 가장 높았다. 셋째, 성과지표 전체에서 우울이 가장 비용?효과적이다.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요양등급이 높은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가족은 노인요양시설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에 비하여 가족, 공적, 그리고 사회적 측면 모두에서 비용은 더 많이 발생시키겠지만 주부양자의 스트레스 요인들과 부정적 정신건강을 개선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of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r elderly vs in-home care service represented long term care services in Korea, and derive their implications using the results of analyses. For this research, primary caregivers that utilize in-home care service or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sanctioned as the elderly requiring institution care (care rank 1th or 2th)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ere drawn and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38 primary caregivers utilizing in-home care service and 37 primary caregivers utilizing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primar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high dependence,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r elderly is more effective than in-home care service. Second, cost-effectiveness is different among stressors of primary caregiver. For costs spent to improve by 1 unit, there are role captivity the highest, next loss of intimate exchange, and role overload the lowest among primary stressors., and there were family conflict the highest, the next loss of self, and work conflict the lowest among secondary stressors. Taken together, it cost higher from the family perspective, public perspective, and social perspective but is effective to improve stressors and negative mental health or psychology wellbeing that primary caregiver with the elderly sanctioned as the elderly requiring institution care (care rank 1th or 2th)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utilizes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rather than in-home care servi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45-172
    * DOI :
    * UCI : G704-001512.2010..50.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인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 유형별 부양가족의 부양스트레스 경로를 분석하여 그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적용 대상자로 인정받은 65세 이상 노인과 그 부양가족이었고, 비확률표집을 통하여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방문요양서비스와 노인 요양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방문요양 151부, 노인요양시설 107부 총 258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설이용 노인은 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여성비율과 고연령, 사별의 비율이 높고, 자녀수는 많았다. 둘째, 시설이용 노인은 평균적으로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에 비하여 ADL제한이 심하고 주요 질병으로 치매나 중풍의 비율이 높고 요양등급의 수준이 높았지만 그 반대인 경우도 있었다. 셋째,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는 시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에 비하여 여성, 고연령, 저학력의 비율이 높았고, 관계는 배우자와 며느리의 비율이 높았으며 건강상태가 나쁘고 소득이 낮은 편이었다. 넷째,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부양자의 스트레스 경로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장기요양서비스 유형별로 1차 스트레스 요인이 2차 스트레스요인에 미치는 경로방향이 다르고, 2차 스트레스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도 다르다. 특히 방문요양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보여주지만 노인요양시설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다섯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인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들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즉, 방문요양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모두가 직접 영향을 미친 반면, 노인요양시설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중 근로갈등과 가족갈등이라는 두 개의 요인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자아상실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이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경로를 반영하여 다르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family caregivers' stress pathways by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of analysis. For this research,primary caregivers that provide care the elderly requiring long term care services sanction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ere drawn and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258 primary caregivers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average, the elders that utilize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were higher proportion of women, older, higher rate of bereavement,more children than the elders that utilize in-home care service, but some cases were vice-versa. Second, the elders that utilize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more ADL dependency, higher proportion of severe dementia or severe stroke, higher care rank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an the elders that utilize in-home care service on average. Third, primary caregivers with elders that utilize in-home care service were higher proportion of women, older, lower education level, higher rate of spouse and daughter-in-law in relationship with care recipient, less health, lower income than primary caregivers with elders that utilize care service in institutions. Fourth, subjective indicators representing caregivers' reactions to caregiving for the elderly significantly impact on caregivers' stress(ie, depression), and pathway of caregivers' stress are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s. Fifth, stressors that have direct impacts on depression as caregiving family are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s. Therefore, policies or programs to reduce negative mental health or stress of caregivig families should be designed differently by reflecting pathway of various stressors and stress by use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831-848
    * DOI :
    * UCI : G704-000573.2011.31.3.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은퇴시기가 고령자의 주관적 신체적, 정서적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 함의를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의 출처는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이며, 이 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56-70세의 남성은퇴자 246명, 여성은퇴자 464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이론체계는 은퇴시기와 주관적건강의 함수관계를 설명하는 Calvo et al.(2013)의 이론에 기반을 두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은 남성의 주관적 정서건강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남성의 신체적 건강과 여성의 주관적 신체건강과 정서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남성의 경우 은퇴시기의 주요인인 은퇴연령이 주관적 신체건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은퇴연령제곱은 주관적 신체건강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여성은 두 요인 다 그렇지 않았다. 셋째, 남여 모두 은퇴시기 요인이 정서 건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남성 고령자의 주관적 신체건강에 대한 연구결과는 적정한 때에 은퇴하는 것이 건강성과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문화?제도적 함수관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은퇴시기와 남성의 주관적 정서건강, 여성의 주관적 신체건강?정서건강은 은퇴시기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가정하는 생물?심리학적 함수관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s the effects of retirement timing on subjectiv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and then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Data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in 2009 we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246 retired male elders and 464 retired female elders aged between 56 and 70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based on Calvo's 4 hypotheses approach explain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timing and subjective health.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g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negatively with only subjective emotional health of retired male elders but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of retired male elders,subjectiv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retired female elders. Second, for only male elder,retirement age as retirement timing factor is significantly associated positively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and retirement age squared is significantly associated negatively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but for female elder, these factors are not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subjective physical health. Third, retirement age and retirement age squared are not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subjective emotional health in both male elder and female elder. Therefore, findings on subjective physical health of male elder support to cultural-institutional functional relationship suggesting that "on time" retirements produce the best outcomes. But findings on subjective emotional health of male elder, and subjectiv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female elder support to bio-psychological functional relationship suggesting that retirement timing do not have an effect on healt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681-698
    * DOI :
    * UCI : G704-000573.2013.33.3.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에서 56-70세 사이 고령자 1,31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자발성은 경제적 측면의 생활만족도에는 정적 영향을 주지만 건강 생활만족도나 전반적 생활만족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준비는 경제적 측면의 생활만족도와 전반적 생활 측면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큰 영향을 주지만 건강측면의 생활만족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발적인 은퇴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유형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령자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은퇴준비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고령자의 생활만족도 유형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n the retired elder's life satisfaction of the decision type for retirement and the preparedness for aging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Data from 3 wave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in 2009 we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available data for 1,313 elders aged between 56 and 70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oluntary retirement of the retired elde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economic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but no effect on retired elders' life satisfaction for health or total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preparedness for aging of the retired elde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economic life satisfaction and total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but no effect on retired elders' life satisfaction for health.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decision type for retirement and the preparedness for aging affect differently by life satisfaction type of the retired elder. In the context,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makers have to reflect the life satisfaction type of the elders when they design retirement prepar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type of the retired eld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15-138
    * DOI :
    * UCI : G704-001512.2013..59.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의 정도와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통계청에서 2007년 6월 17일에서 6월 26일 기간 중에 조사를 수행한 사회통계자료 중에서 20세 미만을 제외한 20세 이상 61,327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Ando와 Modigliani의 경제적 생활주기모형을 개념적 체계로 하여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유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재무적 노후준비 비율은 30대에서 50대 이르는 중년기가 가장 높고 중년기 이전 시기인 20대나 60대 이상의 고령기에는 낮았다. 둘째, 남성의 재무적 노후준비비율이 여성의 재무적 노후준비비율보다 훨씬 높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그 차이가 커진다. 셋째, 공적연금이 재무적 주요 노후준비유형으로 선택된 비율이 44.2%로 우리나라의 공적 노후 소득보장수준이 선진국에 비하여 너무 낮다. 넷째, 예금, 적금, 저축성 보험 등 금융저축은 주요한 재무적 노후준비유형에서 두 번째로 선택되었고, 부수적 재무적 노후준비 유형에서는 첫 번째로 선택되었다. 다섯째, 연령에 따라 재무적 노후준비유형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공적 연금과 사적 연금, 그리고 주식 채권 등의 투자는 젊은 층에서 금융저축, 부동산 운용은 고령층에서 선호하는 재무적 노후준비유형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별에 따라서 재무적 노후준비유형이 상당히 달랐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degree and types of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by age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Data from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61,327 subjects aged 20 and over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lbert Ando and Franco Modigliani's economic life cycl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and old aged citizens between 30 and 59 were high but young citizens aged 29 under and old citizens aged 60 over were low relatively for proportion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Second, the average financial preparation level for aging of men is higher than that of women significantly and financial preparation level for aging of women decline relatively by aging. Third, because the percent of population chose public pension as primary financial preparation type for aging is 44.2%, the level of korean public income security for aging is lower than that of developed countries substantially. Fourth, financial savings including deposit, installment saving, insurance for saving among various types of financial preparation is chosen second for primary financial preparation, and further is chosen first for second financial preparation. Fifth, types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is differentiated by age significantly. Sixth, types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is differentiated by sex significant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39-166
    * DOI :
    * UCI : G704-000662.2008.24.4.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여가활동프로그램으로서의 미술치료가 농촌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북 A시에 소재한 B마을에서 실시된 여가활동으로서의 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 중 55세 이상 여성 노인 8명(실험집단)과 유사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55세 이상 여성 노인 8명(통제집단)이다. 본 프로그램의 실시기간은 2006년 8월 11일부터 2006년 12월 1일까지 매주 1회씩 저녁 8시 30분부터 10시까지 1시간 30분 동안 총 14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는 농촌노인의 KHTP 발달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둘째, 사전사후검사결과 미술치료는 농촌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 셋째, 질적 내용분석결과 미술치료가 농촌노인들의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여가활동프로그램으로서의 미술치료가 농촌노인의 노년기 자아통합감 증진에 효과가 있고, 농촌노인이 긍정적인 자아상과 정서적 안녕을 달성하여 성공적인 고령화를 이루는데 공헌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therapy as leisure activity program on the self-Integration of the rural elderly, and discuss their implications using the results of analyse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o groups, which are 8 subjects of and 8 subjects of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 the rural elderly of B-named village in Gyeongbuk province that participated in art therapy as leisure activit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include the rural elderly of the same village that did not participate in art therapy as leisure activity program. This program was performed 1 times per week, totally 14 session from August 11 2006 to December 1 2006.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significantly influences KHTP developmental stage of the rural elderly. Second, based the result of pre-post test for self-integration, the art therapy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self-integration of the rural elderly. Third, based the result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art therapy significantly influences emotion, recognition, and social region of the rural elderly. Based the results of the study mention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the art therapy as leisure activity program contribute the self-integration promotion, the positive self-image formation, and emotional wellbeing , and then successful aging of the rural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1
    * DOI : 10.21194/kjgsw..36.200706.1
    * UCI : G704-001512.2007..36.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로 65세 이상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문화관광교육원이 2016년도에 조사한 ?2016년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에서 65세 이상 남성 노인 891명, 여성 노인 970명, 총 1,861명을 추출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방식은 순서형 로짓모형을 사용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4가지로 분류된 여가활동 유형 선택에서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이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통제변수 중 가계소득, 거주 지역, 동호회 참여는 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로 달랐고, 자원봉사활동은 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여가활동 유형은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가비용이 남성 노인의 행복감에 아주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의성이 높지는 않았지만, 여성 노인의 행복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일보다는 여가에 집중하는 경우가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행복감 모두에 아주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여가생활만족도는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행복감 모두에 아주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isure factors affect happiness of the elderly by sex in Korea and then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Data of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conducted by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in 2016 were used for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891 male elderly and 970 female elderly aged above 65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by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oice proportions of leisure activities classified by four type are different by sex of the elderly. Second, among control variables,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joining a club have different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elderly by sex but volunteering have same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the elderly by sex. Third, any type of leisure activity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of both the male elderly and the female elderly. Fourth, cost of leisur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both the male elderly and the female elderly but has different significance by sex. Fifth, focus on leisure rather than work has ver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both the male elderly and the female elderly. Sixth, leisure life satisfaction has ver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of both the male elderly and the female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63-17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에 대한 가족의 보호 형태와 비용에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사 대상은 65세 이상 치매노인을 수발하는 부양가족으로 설정하고, 비확률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조사된 설문지 중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보호형태별 재가노인 108부, 주간보호 136부, 병원 71부, 단기보호 17부, 그룹홈 7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치매노인가족에 대한 부양행동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가계생산경제모형을 바탕으로 가족의 비공식 보호모형, 가족의 보호비용 모형, 공식 보호서비스 모형을 도출하였다.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부양가족들이 치매노인을 보호하는 형태와 비용에 대한 선택과 결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보호형태와 비용에 대한 결정은 피부양자의 특성, 부양가족의 소득, 부양생산기술, 가계생산기술, 부양자 선호의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정책은 이러한 영향요인을 적절히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eterminants of the caregiving types and costs of family with the demented elderly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Among collected data for this research, data for 339 primary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amily caregivers from various settings that give care to the demented elderly. The 108 subjects were caregivers from home care that family provide most care, the 136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day care programs for the demented elderly, the 71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hospital care, the 71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short term care, and the 7 subjects were caregivers utilizing group home. To explain family caregiving behaviors for demented elderly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family caregiver's decision-making models regarding informal care, caregiving cost, formal-care service choice was drawn by an economic model of household product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caregivers do systematically determine and choose the types and costs of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They also show that these determinations is influenced by a set of care recipient socio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the household income of caregiving family,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care setting, the technology of household production, and the caregiver's preferences. The policy measures to support families with the dependent elderly need to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se research res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05-143
    * DOI :
    * UCI : G704-000662.2004.20.3.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년기에 진입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와 노년기에 진입한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저축성보험으로 대표되는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 정도와 그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한다. 연구대상자는 고령화패널의 1차년도(2006년) 베이비붐 직전세대 2,004명과 5차년도(2014 년) 베이비붐 세대 1,698명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낮았지만 베이비붐 직전세대보다는 약간 높았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나 베이비붐 직전세대 모두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떨어졌다. 셋째, 소득이낮을수록 베이비붐 세대나 베이비붐 직전세대 모두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율이 낮았다. 넷째, 연령은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와 베이비붐 세대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교육수준은 베이비붐 직전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가계소득수준이 베이비붐 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주택보유는 베이비붐 직전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유산은 베이비붐 세대에만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홉째, 자녀수, 건강불만족, 장수가능성, 지역으로 구성된 필요요인들은 어느 요인도 베이비붐 직전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공히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영향을주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agnitude and determinants of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babyboomers and those of the pre-babyboomers in Korea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policy implications.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2,004 pre-baby boomers in first wave(2006) and 1,698 baby boomers in fifth wave(2014)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are.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babyboomers is low but is higher than that of prebabyboomers. Second, the percent of babyboomers having private pensions is higher than the percent of pre-babyboomers having private pensions. Second,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in the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decrease with aging. Third, the lower income is the lower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in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Fourth, ag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together. Fifth, educa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pre- baby boomers only. Sixth, household incom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abyboomers only. Seventh, ownership of housing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prebabyboomers only. Eighth, heritag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abyboomers only. Ninth, any factor among need factors(number of children, health dissatisfaction, longevity possibility, region) has no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s for aging of both babyboomers and pre-babyboomers togeth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05-333
    * DOI :
    * UCI : G704-001512.2016.71.3.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사적인 재무적 노후준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 자료 중에서 1961년생에서 1955년생에 이르는 2,432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개념체계는 Andersen 건강모형을 토대로 하였고 logistic 분석을 이용하여 영향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금성 보험가입여부로 측정한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 둘째, 소인적 특성요인 중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쳤지만, 성별과 결혼 상태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가능자원요인 중에서 자녀수와 경제만족도를 제외한 경제활동, 가계소득, 주택보유, 고이자저축, 주식 및 투자신탁보유, 유산상속, 부채 등 많은 요인들이 사적 재무적 준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필요요인 중에서는 장애가 있음은 베이비부머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장수가능성은 베이비부머의 사적 재무적 노후준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factors affecting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Baby Boomers in Korea empirically, and then to discus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Data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are used in this study. From this dataset, 2,432 baby boomers born between 1961 and 1955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ndersen's health behavioral model. The resul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by boomers'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proportion for aging measured by purchase of private pension insurances was low. Second, among predisposing characteristics, age and edu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but gender and married statu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Here is, age had negative effect, but posi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Third, among enabling resources, economic activities, household income, home ownership, high interest savings, having stocks and investment trusts, heritage gift possibility, having deb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baby boomers. Here is, only having debts had negative effect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Fourth, among needs, having disabilit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but subjective expectation of potential longev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rivate financial preparation for aging of baby boom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327-351
    * DOI :
    * UCI : G704-000662.2011.27.4.005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