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양영자-]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22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노인들의 삶에 나타난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에 대한 ‘개인적인 역사경험’이 어떠한 ‘현재성’이 있는지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Sch?tze의 자료수집방법에 따라 실시한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9개를 Rosenthal의 ‘내러티브식-생애사 인터뷰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인 역사경험의 현재성은 주로 경험방식에 따른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친일경험’으로서의 일제강점기에 대한 직접적인 역사경험과 ‘국군생활’로서의 6.25전쟁에 대한 직접적인 역사경험은 ‘개별화된 현재성’이 있는 반면, ‘남편의 역사적 죽음’으로 표출된 일제강점기나 6.25전쟁에 대한 간접적인 역사경험은 ‘잠재된 현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개인적인 역사경험의 현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노인복지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purports to reconstruct how the respective historical experiences o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Korean War have influenced the lifes of the Korean elderly in later years from the biographical context. Nin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Interview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following Rosenthal's ‘analysis of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How individual historical experiences have impacted the elderly's lifes mostly indicated a difference in the way they experienced such historical events. While their pro-Japanese activities and direct, historical experien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ir direct, historical experiences as veterans of the Korean War have influenced their life as individualized, their indirect, historical experiences o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Korean War have manifested themselves as a potential life severed from the historical pas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ow the elderly's individual, historical experiences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their life, finally, some suggestions were addressed as regards welfare practices for the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55-281
    * DOI : 10.20970/kasw.2009.61.3.011
    * UCI : G704-000330.2009.61.3.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의 경험을 자기반성적으로 성찰ㆍ기록하는 것이다. 이에, 독일로 떠난 한인 간호여성의 사회운동 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경험에 기초하여 그경험을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자서전적 글쓰기 방법에 따라 기록하였다. 그결과, 질적 연구의 과정은 연구참여자가 배제된 연구계획서가 기획ㆍ작성ㆍ제출된 데이어, 연구자의 일방향적 관계 맺기를 통해 ‘문화적 불청객’으로 받아들여진 관계가 형성되었고, 이후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 쌍방향적인 관계 맺기의 노력 속에서 ‘문화적동료’ 및 ‘친구’의 관계로 발전되는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자기 자신과 타인, 사회에 대한 상호의 이해가 확장되는 공통적인 경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질적 연구의 방향 및 준거틀 탐색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study intends to reflect and describ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s on biographical research experiences on the process of social movements of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This experiences are analyzed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A research proposal is drawn up and submitted without cooper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n, due to the one-sided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established,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researcher as a ‘cultural intruder’. Later on,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is formed and they became ‘cultural colleagues’ and ‘friends’. As a result of this process, mutual understanding about the oneself, the others and society are spreaded and deepened.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exploration of directions and frames of reference for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a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페이지 : 143-171
    * DOI :
    * UCI : G704-SER000010583.2017.37..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원 입소노인들의 죽어감과 죽음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가장 가까이에서 이들을 돌보는 종사자들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3명의 종사 자들과 내러티브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들의 죽어감 및 죽음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였 고, 이 인터뷰 자료를 질적 인터뷰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이외에, 2명의 입소 노인과 실시한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자료도 보조 자료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그 결 과, 요양원 입소노인들은 죽음이 금기시·범속화·사사화된 생활을 하다가, 죽음이 임박한 것으로 예견된 상황에 이르면 “사망”할 수도 있는 “최악”의 위기에 처해진 것으로 응급 화·병리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도 의료화된 매뉴얼에 기초하여 이루어져 죽음이 연장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결국 (요양)병원으로 전원하여 죽음에 이르고 있거나 요양원에서 죽음에 이르고 있었고, 혹은 (요양)병원과 요양원을 오가다 그 어딘가 에서 죽음에 이르고 있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들의 죽어감과 죽음은 매뉴얼화된 죽어감 과 죽음으로 의미부여가 되었고, 이는 의료화된 죽어감과 죽음을 강제하는 정책적 산물 이자 이를 매뉴얼대로 이행한 실천적 산물이기도 한 것으로, 좋은 죽어감 및 죽음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요양원 입소노인의 죽어감 및 죽음과 관련한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how the dying and death of elderly residents in care homes a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workers who take care of them at the closest. Accordingly, narr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workers to collect data related to their dying and death,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interview analysis method. In addition,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data conducted with two elderly residents were also used in the analysis as auxiliary data. As a result, the elderly residents in care homes live lives where death is tabooed, banalized, and privatized, but when death is predicted to be imminent, they are considered to be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pathologized as being in the “worst” crisis that can lead to "death". Therefore, the response to this is made to prolong death based on medicalized manuals. However, they were eventually transferred to (nursing) hospitals and were dying in there, were dying in care homes, or were travel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nursing) hospital and care homes and dying somewhere there. The dying and death of these elderly residents were given meaning as dying and death based on Manual, and this was interpreted as a political product that enforces medicalized dying and death and also a practical product of implementing it according to the manual, and as far from a good dying and death.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related to the dying and death of the elderly residents in care homes we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309-35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한인1세대 여성들의 이민생활에 나타난 가치관과 정체성의 변화과정을 초국가적 관점에서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Sch?tze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10개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는 그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분석과 Mayring의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민 초기의 가치관은 집단주의 중심적 혼성성을 보였는데, 이민생활과정에서 개인주의 중심적 혼성가치관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한편, 이민 초기의 정체성은 단일지역적 정체성을 보였는데, 이민생활과정에서 이중지역적, 이중국가적 혼성정체성으로 초지역적, 초국가적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이민생활에 나타난 가치관과 정체성의 변화과정에 주목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rough the biographical approach, the current research purports to reconstruct the Changeprocess of values and identities on the live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German females in Germany from the transnational perspective. 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chutze's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terview.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and Mayring'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indings showed that on the onset of emigration, their values centered around hybrid collectivism. Their life in the process of emigration was characteristic of a shift to hybrid individualism. Furthermore, the life at beginning of emigration was found to be characterized by a singular regional identity. The process of emigration was shown to mark the conversion into dual identity, dual regional and dual national.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emigrants' welfare were finally offered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values and identities changes in their lif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23-351
    * DOI : 10.20970/kasw.2010.62.3.013
    * UCI : G704-000330.2010.62.3.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한인 노동이주남성의 젠더 정체성을 생애사적 사례재구성 방법에 기초해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에, 해당 남성 5명의 생애사를 재구성한 결과, 이들의 생애사를 관통하는 젠더 정체성은 ‘직업생활을 중시한 개인으로서의 남성’ 정체성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은 직업사적 굴절이나 단절의 정도, 이주 이전의 직업과 결혼의 경험 여부에 따라 이주국의 복지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연속적 혹은 비연속적으로 재생산되기도 하였고, ‘생계와 가사를 분담하거나 분ㆍ전담하는 남편으로서의 남성’ 정체성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지체적 혹은 압축적으로 분화되기도 하였음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사회복지와 생애사 연구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intended to analyse gender identities of Korean 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through the biographical case reconstruction. Five cases were reconstr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 ‘work-oriented identity of man as an individual’ was formed through their biographies. And according to the terms of the interruptions and the discontinuities in their employment biographies, and in relation with their experiences of employment and marriage before migration, the ‘work-oriented identity of man as an individual’ was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reproduced in their experiences with welfare systems and social services in migration, as well as delayed or compressively differentiated in combination with a ‘livelihood and household responsibilities sharing or sharing-exclusive identity of man as a husband’ in their same experience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the theory and practice of social work were addressed, furthermore some implications for the biographical researc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79-106
    * DOI : 10.20970/kasw.2013.65.3.004
    * UCI : G704-000330.2013.65.3.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 한인여성의 생애체험을 내부자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이주여성의 고유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재독 한인여성 A씨의 생애사를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A씨의 생애는 자신을 “식민화” 하는 ‘다수자’의 표준적인 기준에 균열을 일으켜 ‘탈영토화’ 하는 ‘노동자-되기’, ‘이주자-되기’, ‘여성-되기’ 등의 ‘배치체’로 구성된 ‘노동이주여성-되기’의 과정으로, 이러한 ‘노동이주여성-되기’도 끊임없이 새롭게 또 다른 ‘배치체’로 구성된 ‘소수자-되기’의 유동적인 과정이며, ‘차이의 정치’, ‘되기의 정치’ 과정이기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intends to analyse the life experiences of a Korean woman in Germany from the insider’s view. Biographical data of A are analysed using Rosenthal’s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s methode. Findings show that the life of A is in the process of ‘becoming-work migrant woman’, who jolts and ‘deterritorializes’ standard criteria of ‘majority’, which her colonize. Furthermore is analysed, that the ‘becoming-work migrant women’ as the construction of assemblage of ‘becoming-worker’, ‘becoming-migrant’, ‘becoming-woman’ is the fluid process of ‘becoming-minority’, which constructs constantly another assemblage of them, and is also the ‘politics of difference’ and the ‘politics of becom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41-168
    * DOI : 10.20970/kasw.2016.68.1.007
    * UCI : G704-000330.2016.68.1.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 한인 광산노동자의 이주경험을 생애사적 맥락에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에 3개의 생애사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인생역전에 대한 꿈’이나 ‘대안적인 경제활동에 대한 기획’ 그리고 이에 더해진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노동이주를 추동한 동기였고, 그러나 이중 특히 경제적인 동기가 강한 이주로 인해 ‘광산생활에의 전념’이나 ‘부업까지 겸하는 광산생활’ 등 이원화된 경제활동이 이주 생활과정의 주요 경험이 되었으며, 이에 대한 평가는 ‘빈곤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경제활동에 이은 주요 경험인 자녀교육은 ‘대학교육까지도 공교육 덕분에 부모의 부담 없이 가능했던 것’으로, 이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전자에 대한 평가가 출신국 동년배들이나 주변 한인들의 경제적 수준과 비교하는 관점에서 이루어졌다면, 후자에 대한 평가는 이러한 출신국 동년배들이나 주변 한인들의 자녀교육 수준과 비교하는 관점에 더해 자기비판적인 관점에서도 이루어진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사회복지학 및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intends to analyse migration experiences of Korean mine Workers in Germany from the insider’s view. Three cases were analys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Dream of life reversal’ or ‘project of alternative economical activities’, and ‘curiosities about the world’ in addition to this economical project were their main motives for work migration. Because of the strongest economical motive, ‘dedication of mining activities’or ‘mining activities with a side-job’ were their main experiences as migrants. Regarding economical experiences it was evaluated that they were far from being in poverty. Concerning education of children as a second migration experience it was reported that education, including the university study, was possible without financial burden of the parents by reason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Education of children was described as a success. The former were compared to economical standards of contemporaries in their home country or Koreans, which are located in the same surrounding. In addition to these, the latter was evaluated also by a self-crit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research,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studies and social work practice we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페이지 : 83-112
    * DOI :
    * UCI : G704-SER000010583.2014.26..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 한인 광산노동자의 생애 이야기에 기초하여 이들의내러티브 정체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재독 한인 광산노동자 3인의 생애 이야기를 로젠탈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따라 재구성한 결과, 개인과 가족, 직업, 민족 커뮤니티 관련 정체성이 독일 이주 이전과 이후, 그리고 노년기를 중심으로 복잡한 양상을 띠며 구성되고 있는데, 이중 특히‘한인단체 리더나 멤버’ 등 민족 커뮤니티 관련 정체성이 이들의 생애 이야기에서 모두 강조되고 있고, 그 외 각 생애 이야기에 따라 ‘교육가’나 ‘ 유능한 여성의 지아비’ 혹은 ‘초국적 사업가’로서의 정체성도 각각 비중있게 논의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intends to reconstruct life stories of Korean mine workers in Germany focusing on narrative identities through Rosenthal’s biographical research methode. Three life stories were reconstr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In them were individual-related, family-related, and ethnic-related identities constructed in concordance with the following three phases: before migration, after migration, and old age. Among them, an ethnic community-related identity like ‘transnational Korean community leader or member’ was emphasized. And besides, ‘transnational educator’, ‘husband of a competent woman’ and ‘businessman’ were also emphasized on a life story by life story basis. Based on the research,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81-329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5..49.01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여성의 생애사에서는 어떠한 젠더가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간호노동자로 이주한 10명의 재독한인여성들과 Schutze(1983)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자료도 그의 분석방법에 의거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는 결혼 이전까지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결혼 이후에는 직업과 가정을 양립한 경우와 가정에만 전념한 경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포착할 수 있었다. 즉, 이주 이전의 여학생이나 노동여성으로서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두 경우 모두 성분리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해체’했고, 이주 이후의 노동이주여성으로 전환된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성중립적 젠더를 부분적으로 ‘행했는데’, 결혼 이후의 인생진행 과정에서는 전자의 경우에는 노동이주여성과 결혼이주여성으로서의 이중적 위치에서 성중립적 젠더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었고 또 강화시키고 있는 것과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전환된 단일한 위치에서 성분리적 젠더를 다시 재구성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를 더욱 고착화시키고 있는 차이가 있음을 추적할 수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를 이해한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ntends to analys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 Ten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s with Korean fe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were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scer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The genders in their biographies were constructed similar before their marriage, but different after their marriage according to the work-family balanced type and the family centered type. Before their migration the 'process of life' as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female workers showed that both types had partially deconstructed a sex-segregated gender. The process of life as female migrant workers after their migration showed that both types had partially constructed a sex-neutral gender. The process of life after their marriage exhibited that the former strengthened and strengthens a sex-neutral gender in a double position as female migrant workers and female marriage migrants, but the latter reconstructed a sex-segregated gender again and intensifies this in a process of time.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were addressed, which emerged from the understanding on the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migrant wom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25-354
    * DOI : 10.20970/kasw.2012.64.2.013
    * UCI : G704-000330.2012.64.2.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원 입소노인들의 삶과 죽음을 그 자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생 애사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Rosenthal의 생애사 연구 방법에 근거하여 4명 의 자녀들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5명의 입소노인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의 분석도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 방법에 따라 실시하 였다. 그 결과, 이들 노인들의 삶과 죽음은 각각 별개가 아니라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가족 내 경제적 기여도나 관계성을 중심으로 재현되고 있었는데, 남성 입 소노인의 생애사에서는 가족 내 경제적 기여도에 대한 경험이, 그리고 여성 입소노인의 생애사에서는 가족 내 관계성에 대한 경험이 보다 우세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남성 입소노인들의 삶과 죽음은 ‘가장은커녕 죄인이 되어 살다가 맞닥뜨린 의혹을 남긴 죽음’이나 ‘“구두쇠” 가장으로 살다가 의료소비자가 되어 맞닥뜨린 죽음’으로, 그리고 여 성노인들의 삶과 죽음은 ‘가족 돌봄에 헌신한 삶을 살다가 중증치매환자가 되어 다다른 죽음’이나 ‘자기안위를 추구하며 장수를 누리다 다다른 죽음’, 혹은 ‘탈구된 여성 삶을 살다가 반쪽짜리나마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며 다다른 죽음’으로 재현되고 있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 결과가 (고인이 된) 요양원 입소노인 및 그 자녀와 관련한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life and death of the elderly in care homes in the biographical context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their children. Rosenthal’s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ir four children and data on the lives and deaths of five elderly in care homes was collected. This data was also analy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analysis metho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ir lives and deaths were not separate but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y were represented focusing on their economic contributions or relationships in the family. In the life history of the male elderly, the experience of the economic contributions in the family and in the life history of the female elderly, the experience of the relationships in the family was more dominant. The lives and deaths of the elderly men were characterized as ‘a death left behind suspicions after a life as a sinner’ or ‘a death encountered as a medical consumer after a life as a “miser”’, and the lives and deaths of the elderly women were ‘a death as a patient with severe dementia after a life devoted to family care’, ‘a death after a comfortable and long life’, or ‘a half self-determined death after a dislocated life as a woman’. Accordingl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e elderly in care homes (who died) and their children we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21-16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 교육을 위해 이농한 후기 여성노인들이 노년기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그러한 노년은 이전의 생애과정과는 어떠한 맥락 속에서 형성되어 왔는지 생애사주체인 그들의 시각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7명의 여성노인과 Schü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를 하여 자료를 수집했고 그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분석방법과 Lamnek의 질적 인터뷰 분석방법을 응용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애사주체들의 “생애사적 진행과정 구조”는 ‘타율적인 삶으로부터 자율적인 삶으로의 발달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세대간 및 세대내 교환관계 방식에 따라 첫째, 세대간 불균등한 교환관계에 의한 결혼 이전의 타율적인 삶, 둘째, 세대간 및 세대내 불균등한 교환관계에 의한 타율적인 시집생활, 셋째, 이농을 통한 세대간 상호호혜적인 교환관계로의 변화에 의한 자율적인 노년으로의 전환, 넷째, 세대간 상호호혜적인 교환관계에 의한 자율적인 노년 등 4단계로 표출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의의는 노년기 이전의 타율적인 삶이 자율적인 노년으로 발달해가는 과정을 해당 노인들의 관점에서 생애사적 연구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자율적인 노년의 형성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추론해냈다는 점에 있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respective biographies of the female elderly in their later years who had moved to urban areas from rural districts with a view to nurturing grandchildre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taking into account how they have attached meanings to their old age and how such a period has been shaped in relation to their earlier years. Data were collected from 7 female elderly, using Schü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Schü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and Lamnek's qualitative interview methods. The present research found that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 turned out to be a developmental process from heteronomous life to autonomous life. In terms of inter- and intra-generational exchange modes, more specifically, it exhibited the following 4 stages: 1) heteronomous life due to an exchange mode of intergenerational inequality prior to marriage; 2) heteronomous married life due to an exchange mode of inter- and intra-generational inequality; 3) a shift to autonomous life due to an exchange mode of intergenerational reciprocity based on moving to urban areas from rural areas; and 4) autonomous old age due to an exchange mode of intergenerational reciprocity. Particularly, this research proved significant in that it drew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haping of autonomous old age by investigating how heteronomous lives in advance of old age were progressing toward autonomous ones in later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concern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235-254
    * DOI :
    * UCI : G704-000573.2007.27.1.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 사례를 개별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생애사주체개개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에, 그 사례로서 2명의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의거해 개별적으로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한 생애사를 관통하는 생애사적 관점 및 조절메커니즘은 ‘행복한 생활을 하는 삶’으로 서로 일치가 되었고, 이에 따라 해당 생애사주체는 일관성 있는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다른 한생애사를 관통하는 생애사적 관점은 ‘존경받는 생활을 하는 삶’인데 비해,조절메커니즘은 ‘문명한 생활을 하는 삶’으로 서로 불일치가 되었고, 이에따라 해당 생애사주체는 갈등적인 생활을 하였는데, 이러한 갈등적인 생활속에서도 ‘제 3의 길’로서의 생애사적 관점을 새롭게 구성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개별적인 생애사 사례 재구성에 의거해 생애사주체개개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개별적인 생애사가 구체적인 일반성을 확보한 유형화된 사례로서도 기능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으며,나아가 이러한 개별적인 생애사 사례재구성이 사회복지실천에 함의하는 점도 제언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ntends to reconstruct biographical ca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scertained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2 biographical cases of marriage migrant women, which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a biographical perspective as a conscious action orientation in a biography, ‘a life of happiness', which wa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mechanism as an unconscious action orient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gent in this case could live consistent according to the biographical perspective. Whereas the biographical perspective in the other biography, ‘a life worthy of respect',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control mechanism, ‘a civilized lif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gent in the other case was in trouble with life, that was in accordance neither with the biographical perspective nor with the control mechanism, and during the process, a new biographical perspective as ‘a third way' has been constructed. Based on these biographical case reconstruction, the possibility of a single case as a typical case with a concrete generality had been discussed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theories and practices were addre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03-248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2..37.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를 위해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에 해당 생애사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따라 재구성한 결과, 이야기된 생애사는‘독자로서의 의무가 이끄는 삶으로 엮여 들어가“독자 행세”를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삶’이라는 생애사적 관점에 따라 구성되고 있는 반면, 체험된 생애사는 ‘자기주도적인 삶의 의지’를 관철시키는 삶을 살아온 것으로 구성되는 차이가 있음을 조절메커니즘에 의거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양 생애사 간 차이는 생애사적 자기평가와 생애사적 실재성 간에 괴리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해,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가 노인복지실천과 노인복지학 분야 생애사연구 방법에 함의하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biography of a male elderly for the biographical research, based on the narrativ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ascer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 a life as told is constructed in a biographical perspective of life from the only son, who is oppressed by the duties for his role. On the contrary, a life as experienced is constructed with life from a self-determined point of view.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life as told and life as experienced stand for discrepancies between the biographical self-evaluation and the biographical reality. Some implications from this reconstructing biography, based on the narrativity, were addressed as regards welfare practice for the elderly and biographical research in the welfare for the elderl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75-302
    * DOI : 10.16999/kasws.2011.42.2.275
    * UCI : G704-000143.2011.42.2.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노인구조변화(Strukturwandel des Alters)를 분석하고 나아가 노인구조변화에 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텝스의 노인구조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1970년대 이후, 특히 그의 연구가 발표된 1993년도 이후부터 2005년도까지의 주요 노년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노인구조변화에 대한 분석은 텝스의 분석방법을 응용하여 첫째, 삶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개인적이고 집합적인 노인구조변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하였고, 둘째, 현재 처해있는 노인생활실태의 형성원인을 사회구조적 차원에서 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하였다. 전자의 방법에 의한 분석결과 젊어짐, 여성화, 독거화, 초고령화의 현상이 노인구조변화로서 밝혀졌다. 그리고 후자의 방법에 의한 분석결과 수준변화, 사회적 불평등, 지역성, 탈직업화 및 조기퇴직화, 긍정적인 노년과 부정적인 노년의 현상이 노인구조변화로서 밝혀졌다. 이러한 노인구조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독일의 노인구조가 한편으로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양극화 및 다원화되어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2005년도까지의 노년에 대한 주요 연구문헌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노인구조변화를 총망라하는 분석을 했고, 나아가 사회발전의 결과물로서의 노년뿐만 아니라 사회적 변화를 주도하는 결정요인으로서의 노년도 연구해야 함을 제시하여 노인구조변화에 대한 분석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nges of aging in Germany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toward which further research may be conducted regarding the structur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article primarily reviewed literature on aging from 1993 to 2005 on the basis of Tews' analyses of the structural changes of aging in the 1970s. Using Tew's analysis, the current study was concerned with: 1)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changes of aging that are deemed to be individual versus collective in the process of one's life on a diachronic level; 2)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life circumstances of the elderly have been formed on a synchronic level, from a sociostructural perspective. As the structural changes of aging, the former helped to identify rejuvenation, feminization, solitude in life, and a highly dense population of the elderly as significant emerging issues, while the latter dealt with changes in living standards, social inequality, locality, professional displacement, and early retirement, as well as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aging. This analysis of the structural changes of aging enabled the researcher to characterize the aging structure in Germany not only in terms of overall positive changes made on the one hand, but also as a complex of polarization and pluralization on the other.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aging, especially on the structural changes of aging, up to the year 2005, the current study implied that aging as a product of social development and a determinant on social changes deserves researchers' attention in the future. More significantly, this paper also offered implications pertinent to research directions in which professionals' efforts can be invested in pursuit of the structural changes of ag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05-132
    * DOI :
    * UCI : G704-001512.2006..34.007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로 떠난 한인 간호여성의 사회운동 과정을 생애사적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해당 여성 5인의 내러티브 ? 생애사 인터뷰를 Rosenthal의 생애사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생애사에 나타난 사회운동 과정은 자신들을 노동이주여성이라는 삼중의 배제된 몫 없는 자로서 인식한 이주생활 속에서, 이러한 몫으로 나누는 기존의 사회질서 체계 및 그 논리에 ‘함께 또 따로 있음’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고, 자신들이 주체가 된 고유한 정체성들을 끊임없이 새롭게 구성하는 탈정체화의 정치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탈정체화의 정치는 독일의 치안에 문제를 제기하는 내부지향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한국의 치안에문제를 제기하는 본국지향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전환ㆍ집중되었으며, 점차 다시 내부지향적 성격도 띠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회운동에 참여하게 된 데에는, 몫 없는 여성으로 인식된 자기와 불화한 한국에서의 생활과정 속에서 자기 몫을 어느 정도 확장하는 것을 의도한 독일이주를 결정하기까지의 경험도 생애사적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분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intends to analyse the social movements process of Korean nursing women who emigrated to Germany in biographical context. 5 biographical data are collected and analysed using Rosenthal’s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s methode. Findings show that their social movements process is characterized by politics of de-identification, in which they arise issues with respect to the established social systems and their dividing logics together and separately, which give them in the migration a share as triple-excluded female migrant workers, and in which they construct their new identities constantly. Furthermore, it is discussed that the politics of de-identification began with arising issues with respect to German public order, then to Korean public order and then again also to German public order. Additionally, it is pointed out that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movements in Germany was driven by their experiences of self-disharmony as women without share in process of life in Korea, which made them determined to emigrate to German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48-95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6..53.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 대학의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에, 독일의 사회복지교육 역사상 최초로 개발·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학 교육 프레임’ 및 ‘사회관리학·사회경제학 교육 프로필’을 분석한 결과, 학습결과 중심의 아웃풋 논리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 이론과 실제가 통합된 간학제적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학교와 현장을 연결하는 교량역할을 지향하고 있는데, 정형화된 지침이 아닌 ‘참조틀’로서만 기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한국 대학의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guidelines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curricula in German universities. Qualifications framework for social welfare and qualifications profiles for social management/social economy as first guidelines for social welfare curricula in Germany are analysed: They are developed in output logic in respect of learning outcomes, and support the role of bridge between universities and fields with the goal of cultivating interdisciplinary professionals who integrate theory and practice. They perform merely a function as ‘orientational assistances’ in developing guidelines.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guidelines for the social welfare curricula in Korean universities are addre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페이지 : 41-62
    * DOI :
    * UCI : G704-SER000010583.2015.29..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독일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복지교육의 동향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에 독일 대학 사회복지교육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볼로냐과정’을 거치면서 사회사업과 사회교육으로 이원화된 전통이 통합되는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 위주의 교육에 집중하는 전문단과대학을 중심으로 한 1단계의 석사 과정과 이론 위주의 교육에 집중하는 University의 2단계 석사와 박사 과정으로 이루어졌던 교육과정이 Hochschule(구 전문단과대학)의 2단계 Bachelor와 Master 과정 및 University의 3단계 Bachelor, Master, 박사 과정으로 재편되는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개혁과정을 통해 Hochschule와 University에서의 사회복지교육이 실제와 이론이 통합된 방향으로 평준화되고 있고, 아울러 ‘재학생들이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라는 Input 논리가 ‘졸업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Output 논리로 전환되는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 독일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이 한국 대학의 사회복지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자율성, 간학제성, 실제성, 국제성, 주체성, 학습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intention of this analysis is to ascertain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t German universities. In view of the research, which was arranged to study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t German universities, a dual education system, social work and social pedagogy, converted into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social welfare, through the Bologna Process. It is to assert that the certification of the Fachhochschule was a Diplom, which was focused on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The university had two certifications: Magister and Doctor, which were focused on the theory-oriented education. These graduations changed into a Bachelor and Master system at the Hochschule and Bachelor, Master and Doctor system at the university. Furthermore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t Hochschulen and the theory-oriented education at Universities are standardized through the reform process. In addition, it is noticeable that the input logic “what are students supposed to learn?”turned into the output logic “what can graduates do?” Based on the results, those concluded implications indicate for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t Korean universities focusing on autonomy, multidisciplinarity, practice-orientation, globalization and learning outcom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페이지 : 25-52
    * DOI :
    * UCI : G704-SER000010583.2013.24..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노인부부들의 삶에 나타난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를 ‘젠더관계’에 주목하여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6쌍의 노인부부들과 개별적으로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를 하였고, 인터뷰자료는 Sch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분석방법에 Dausien의 여성주의적 생애사 분석방법을 절충ㆍ응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애사주체들’의 삶에는 ‘진행곡선’을 이루는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가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진행곡선’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원의 ‘젠더관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진행곡선’의 미시적 및 거시적 차원에서 ‘젠더관계’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들의 ‘진행곡선’에서는 개인적 및 가족적인 맥락만이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맥락도 나타난 반면, 여성노인들의 ‘진행곡선’에서는 주로 개인적 및 가족적인 맥락이 나타난 젠더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행곡선’의 미시적 차원에서 ‘젠더관계’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들은 생애단계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바깥일’을 위주로 하는 단일한 역할을 담당하며 ‘집안일’을 수행하는 데에 소극적인 반면, 여성노인들은 전 생애에 걸쳐 ‘집안일’과 ‘바깥일’의 ‘이중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담당한 젠더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doing gender'가 생애사에 나타나며, 나아가 이러한 ‘doing gender'는 생애단계와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생애사와 ‘젠더관계’에 주목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reconstruct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es’ on the lives of the elderly couples residing in the rural area in terms of ‘gender relation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s with each of the six elderly couples were condu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eclectic application of Schü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and Dausien's feministic biographical research methods.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each biography of the elderly couples represents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 that shapes ‘trajectories.’ Such ‘trajectories’ were found to characterize two dimensions of 'gender relations'. First, on the micro- and macro-levels of 'trajectories,' 'gender relations' were noticed. The 'trajectories' of the male elderly were found to be both in personal and familial contexts and in socio-structural context, while those of the female elderly were found to be mostly in personal and familial contexts. Second, on the micro-level of 'trajectories,' 'gender relations' were noticed. The male elderly were more or less different from one another, contingent on the phases of life. They turned out to take simple roles of performing 'outdoor duties' and to be passive in doing 'housework.' Contrary to the male elderly, the female counterparts proved to actively assume 'dual roles' in 'family affairs' and 'outdoor duties'. Such findings led to the observation of 'doing gender' in the biographies of the elderly and, furthermore, to capturing the fact that 'doing gende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hases of life and sex. Finally,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e were drawn from the current findings with special reference to biography and gender rel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27-157
    * DOI : 10.20970/kasw.2008.60.1.006
    * UCI : G704-000330.2008.60.1.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노인부양의 변화과정을 농촌노인의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6쌍의 노인부부와 3차례에 걸쳐 Schu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17개를 하였고, 분석도 그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분석’ 방법에 따라 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애사주체들’이 경험한 노인부양은 ‘가족부양’이 주를 이루는데, 현대화과정을 거치면서 ‘이중적으로 구조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편으로는 ‘세대 간 상호부양 차원의 가족부양’이 ‘세대 내 자기부양 차원의 가족부양’으로 변환되는 ‘내적 구조전환’이, 다른 한편으로는 ‘가족부양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외적 구조전환’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중적 구조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부양규범과 부양행위는 ‘괴리’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적 구조전환’에 대한 인식은 ‘양가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현대화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하였고, 노인부양을 위한 실천적 함의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reconstruct the process in which changes in elderly support take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Six elderly couples were interviewed three times with the use of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The entire interviews consisted of 17 sessions. Interviewed data was analyzed, following the method of Schutze's ‘autobiographical-narrative interview analysis’.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Elderly support as experienced by the current elderly couples is mainly ‘family support’, which turned out to be ‘dual structural shif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at is, there has been an ‘internal structural shift’ from ‘family support on intergenerational, mutual support dimension’ to ‘family support on intragenerational self-support dimension’ on the one hand. An ‘external structural shift’ has been noticed that realizes the ‘socialization of family support’ on the other hand. Additionally, a ‘discrepancy’ was captured between support norm and support behavior as occurred in the process of ‘dual structural shift’. Perception on the ‘dual structural shift’ has proven ‘ambival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critical discussion of modernization theory ensued, along with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20
    * DOI :
    * UCI : G704-000573.2009.29.1.02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를 보여주는 데에 있다. 이에, 한 재독한인노동이주자의 인터뷰를 사례로 하여 생애사적 데이터의 연속적 분석, 텍스트분석과 주제적 영역분석, 체험된 생애사의 재구성과 연속적 세밀분석, 이야기된 생애사와 체험된 생애사의 비교 분석의 절차에 따라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를 보여주었다. 이어, 이러한 연구가 사회복지학 분야 생애사 연구와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ntends to show the practice of the narrative- biographical interviews analysis developed by Rosenthal. As an example of this, the research analysed an interview with a Korean migrant worker in Germany in 4 stages as follows: 1. analysis of biographical data, 2. text and thematic field analysis, 3. reconstruction of life as lived and sequential fine analysis, 4. contrasting the life-story as narrated with life as lived. Based on the research, some implications for the biographical research in the social welfare and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were addre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71-298
    * DOI : 10.20970/kasw.2013.65.1.012
    * UCI : G704-000330.2013.65.1.008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