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유동철-]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24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장애운동의 역사를 시기별로 조망해 보고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기별 구분 및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는 기준으로는 운동의 가치와 목표, 조직 형태, 운동 주체, 운동 방식의 네 가지를 이용하였다.운동의 시기는 장애운동의 태동기(1988년 이전), 성숙기(1988∼1990년대 중반), 다원화기(1990년대 후반 이후)로 구분될 수 있었다. 장애운동의 성과로는 운동의 가치와 목표로 인권 및 자기결정권을 주요한 가치로 정립했다는 점, 운동의 조직형태가 장애단체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를 아우를 수 있는 연대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 운동의 주체가 중증장애인 중심으로 발전하였다는 점, 운동 방식이 매우 다양화되었다는 점을 들었다. 반면, 장애운동의 과제로는 운동의 가치를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는 점, 운동조직 간에 보다 활발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 운동주체의 대중화를 꾀해야 한다는 점, 운동방식을 사회의 총체적인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the aim of looking over the history of disability movements and revealing achievements of these movements and assignments. As the criteria of these and chronological distinction, there are four : values and aim, the form, the subject and the ways of these disability movements. The time could be divided into quickening time(before of 1988), maturing time(1988~the middle of the 1990s), diversifying period(after the 1990s). The achievements of the disability movements are the following: establishing that human rights and the right of self decision as for the values and aims of this movement, as for the form of the movement, allowing the jointing foundation which the disability organization but also citizen society can participate as for the form of the organization, putting the importance toward the person with severe disability as for the leading people of the movement, diversifying the ways of the movement, etc. On the other hand, four different facts can be addressed as for the assignments of the disability movement: making the value of the movement more clear, building up the active network among the organizations, doing popularization of the movement, seeking for the fundamental changes of the society in the way of the movement, etc.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5-32
    * DOI :
    * UCI : G704-001012.2005..21.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학생이 빈번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개인적 보호요인(자아존중감), 사회환경적 보호요인(사회적 지지), 학교적응유연성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맨휘트니 U 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교적응유연성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멘토링 프로그램이 멘티에게 학교에 대한 흥미를 고조시키고, 또래집단간의 집단응집력이나 역동성을 높게 하여 학교생활 적응을 증진시킨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경우 농정체성을 공유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 멘토와의 결연이나 청각장애학생의 농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구조화된 멘토링 프로그램이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programs for deaf students. This study also focuses on improving the adaptive abilities in school lives of deaf students under the stress circumstances for hearing impairm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0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 students with dual impairments in a special middle school. This study compared the scores of pre-post test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relation to individual protective factor(self-esteem), social-environmental factor(social support), and school resilience.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examined using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inor improvement on the scores of self-esteem but the differences of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levels of social support.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scores of school resili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above results support that the mentoring programs help deaf student increase adaptation and interest for school lives encouraging their cohesion and dynamics among peer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ome suggestions for effective intervention of mentoring programs for deaf students. First, it needs linking between deaf mentors and deaf students who might share the deaf identity.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more systematic mentoring programs considering deaf ident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113-137
    * DOI :
    * UCI : G704-SER000010336.2008..9.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구조모델(structural model)방법론의 하나인 DEMATEL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 현장에 존재하는 복잡한 문제(과제)의 전체 구조를 파악함으로, 문제발생의 메커니즘과 본질을 추적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지역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복지와 관련된 문제는 어떠한 것들이 존재하고 있는가? 둘째, 지역사회복지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어떠한 의식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계획수립, 예산배분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직공무원과 현장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시민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감시하는 시민운동가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구조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지역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로 설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이 수립된 해인 2005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의 주된 문제구조는 ‘복지예산 편성이 절차적으로 합리적이지 못함’, ‘구의 외곽지역이 빈민지역의 형태로 격리되고 있음’,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구의 장래 인구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이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지역 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의 형태로 나타났다. 직종별 결과를 보면 사회복지직공무원은 ‘지역 불균형 문제가 심각함’ 사회복지사는 ‘구의 장래 인구구조에 맞는 복지서비스 대응체계가 부족함’와 ‘지역내 사회적 자원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있음’으로, 시민운동가는 ‘단기간의 욕구조사로 인해 다양한 복지수요 파악의 한계가 있음’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진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및 개별 프로그램 수립의 틀(framework)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and essence of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complicated problems that exist in the social welfare field with DEMATEL method, one of structural models. This paper consists of (1) What kind of social welfare problems exist in the community that is related to welfare? (2) What kind of thoughts do people who work in social welfare field have related to these problem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ructure of thoughts among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who take charge of planning and dividing budgets for community welfare, social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personally and civic activists who criticize and keep watch on behalf of civilia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in Busan Busanjing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year of 2005 when community welfare plan was first established up to now. The major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mmunity welfare of the Pusan Jin-gu, Korea, are: 1) welfare budget allocation procedure is not logical, 2) the outskirts of the Pusan Jin-gu are isolated as poor areas, 3) geographic imbalance is severe among communities, and 4)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future population structure needs to be more developed. All of these problems are the fundamental origin to the social resource disparity within communities. The major problem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 Pusan Jin-gu, Korea were recognized by different perspective in terms of professional career such as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social workers, and civic activists. Majority of the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thought “severe geographic imbalance”; majority of the social workers believed “lack of the social welfare response system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 the future” and “disparity in social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ies”; and majority of the civic activists said “limit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social welfare needs because of short term need assessments” as main issue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t seems that this paper is able to be used as a framework to establish community welfare plans and individual programs in Busan Busanjingu.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9-223
    * DOI : 10.20970/kasw.2012.64.1.009
    * UCI : G704-000330.2012.64.1.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지역사회복지관의 관리자 및 사회복지사들의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복지재단에서 공모한 사업에 참여한 22곳의 지역사회복지관 중 6곳을 선정하여그곳에 근무하는 최고 관리자를 포함한 라인워커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 원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6)의 지속비교 분석방법을활용해 분석한 것이다. 도출된 연구결과의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한 마을만들기 사업과정의 단계는‘인식전환의 단계’, ‘상호소통의 단계’, ‘협업확대의 단계’, ‘주도성 구축의 단계’의 네 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에서 주민 중심으로 복지관의 관점을 전환하여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신뢰적 관계망의 회복을 통해 주민공동체 조직의 자생력을 구축하는 마을만들기 사업의원활한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결과는 복지적 차원에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높이는 이론적 실천적 논의에 기초자료로 제공됨에 본 연구의 의의가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eply investigate the process experience of making the localorganization with the supervisors and the social workers-in-field with theresearch question, 'how is the project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leaded by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this, 6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selectedamong 22 ones participated in the public contest of Seoul Welfare Foundation,and 15 line workers including the top supervisors working there were selected as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The interview source material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the method of consistent comparison of Strauss and Corbin(1996). According to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project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leaded bycommunity welfare centers indicated 4 phases such as 'the step of change ofrecognition', 'the step of mutual communication', 'the step of cooperationexpansion', and 'initiative construction'.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pposed political and practical tasks forpromoting that local residents voluntarily build the community and the change ofparadigm that is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local residents. Also, this studywill be relevan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offered as base line data forexten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building community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community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59-183
    * DOI : 10.20970/kasw.2014.66.3.007
    * UCI : G704-000330.2014.66.3.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제정으로 장애인 차별이 해소될 경우에 대한 잠재적 비용과 편익을 추정함으로써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으로 인한 잠재적 편익은 장애인 추가 고용으로 인한 장애인의 소득 증대, 사업주의 고용부담금 감소, 공공부조성 급여의 감소를 중심으로 추정하였으며, 비용은 장애인을 고용함으로써 사업주가 특별히 투자해야 할 비용과 차별시정기구 운영비를 중심으로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7%의 할인율 하에서 얻게 되는 순현재가치는 12,700,301백만원으로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비용-편익비는 96.8로 역시 매우 크게 나타났다. 할인율을 변화시켜 민감도 분석을 한 결과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와 같은 추정 결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제정되어 차별이 해소될 경우 사회의 잠재적 순편익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give aids in making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by estimating the potential Cost-Benefit in case that the discrimination on the disabled is removed. The potential benefits from this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re calculated considering the income increas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additional employment for them and the decrease of employment levies and the public assistance benefits. The potential cost was made focusing on the following 2 expenses- the extra expenditures that the owners of companies had to invest from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e managing expenses for correcting discrimination organizations. As the result of this estimation, the potential net present value under the 7% discount rate is very high as 12,700,301 million won and the cost-benefit ratio is also great as 96.8. The consequence of the sensitive analysis in changing the discount rate also does not have great changes. As the result of these estimating results, it is known that when the discrimination is solved by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he pure benefit of our society will become tremendous. After all, it could be said that the need for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s emphasized and should be emphasiz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97-320
    * DOI :
    * UCI : G704-000330.2005.57.2.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인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어떤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척도 개발에 사용된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의 주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에 기초한 Aiken과 West의 조절효과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물리적(이동과 편의시설), 태도적(사회ㆍ가족태도), 사회적(서비스와 정책)환경 요인의 수준에 따라 장애인의 장애가 사회적 배제 수준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즉, 환경적 요인 수준이 높을수록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 현장 뿐만 아니라 사회ㆍ가족의 태도에 있어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 on the disability against social exclusion. For this, we used statistical method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s that according to the degrees of physical, attitudinal, social environments, disabilities have different effects on social exclusion. For improvement we suggested that the social polices and services, the attitudes of families and societie should be improved to decrease the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183-206
    * DOI :
    * UCI : G704-SER000010336.2013..22.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당사자들의 주관적 관점에서 구성해 내는 사회적 포함이란 실재의 의미와 인식 등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지체와 뇌병변, 청각장애, 시각장애인 3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접을 6회 실시하였고 동시에 7명에 대한 개별 면접을 병행하였다. 이로부터 수집된맥락적 자료를 지속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당사자들이 구성해 내는 사회적 포함에 대한 다양한 의미와 구성요소 등을 고찰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는 5개의 주제로 범주화되는데, 구체적으로 사회적 포함은 ‘동등한 권리와 물리적 접근이 확보된 삶’, ‘능동적 참여가이뤄지는 삶’, ‘관계 속에서 존재감을 인정받는 삶’, ‘장애차이에 대한 이해와 자기결정권을갖는 삶’, ‘스스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삶’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완전참여와 사회적 포함을 지향하는 장애학과 장애정책의 방향성 설정, 사회서비스 개선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함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social inclus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To achieve this goal,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people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4 people. The types of the dis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were varied including physical impairments, brain lesion, hearing or visual impairments.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he various meanings of social inclusion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s. As a result, five categories for social inclusion were identified: living ensured in both the equal right and physical access, living with posi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social existence with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living with understanded disability differences and getting a self-determination, and living with undertaking of one's own obligation and responsi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developing the theory for the disability studies, disability policies and disability services for social inclus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125-152
    * DOI : 10.15707/disem.2016.26.1.005
    * UCI : G704-001872.2016.26.1.007서지정보 닫기
  • 최근 사회적 포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에 대한 연구들도 적극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장애인복지 영역에서 당사자들로 하여금 시민권자로서의 권리와 자원 등에 대한 동등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존 패러다임의 재고, 새로운 관점 및 개념의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사회적 포함의 관점이나 개념적 접근은 장애인들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 제반영역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과제제안에 유용한 접근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선, 사회적 배제와 포함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부터 각 개념과 구성요소, 특성, 유용성 및 제한성 등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기초로 장애인에 대해 사회적 포함이 어떻게 개념화 되는지 고찰하고, 그리고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 포함의 개념적 접근이 갖는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the interests in social inclusion is increasing, researches on social inclusion in the welfare of the disability positively are being implemented lately. It is required to be the reconsideration on previous perspectives and suggestion of the necessity of a new concept for acquiring equal accessibility on rights and resources, etc as a citizenship. It is evaluated to be useful as the perspective or approach of social inclusion in suggestion of policies and practices tasks for enhancing quality of life of the disadvantaged including the disabled and for their participating fully in overall social scopes. Therefore, firstly on tried to make understanding in each concept, constituents, characteristic, usefulness and restriction, etc about both of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fundamentally. On discusses how to conceptualize social inclusion of the disabled, and meanings in applying the concept or approach of social inclusion to welfare of the disability through the based mentioned res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28
    * DOI : 10.20970/kasw.2013.65.3.001
    * UCI : G704-000330.2013.65.3.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당사자에 의한 집단적 사회행동 전략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임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적 배제와 차별의 개념적 관계를 고찰하였는데, 주류와 비주류집단의 관계적 속성이라는 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관계적 속성이라는 면에 천착할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배제된 비주류집단의 참여를 강조하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활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과정을 분석하였다. 법제정과정분석에는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정책형성 분석틀을 활용하였는데, 분석 결과 문제 형성, 아젠다 형성, 대안 형성, 정책 결정 등 법제정의 전 과정에서 장추련이라는 장애인 정치행동 집단이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와 청와대, 국회와 재계 전반을 주도적으로 이끌면서 장애인에 의한 장애인의 법을 제정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legislation proc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S. Korea focusing on social exclusion and participation through social action approach. I can find a thing in common in that both of disability and social exclusion are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Therefore we need to lay emphasis on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When we explore the legislation proces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we recognize that the legislation is mainly due to a great deal of effort of the disabled, especially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Solidarity of Korea. So researchers need to focus on the social action approach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social workers have to analyze the macrosystem as well as microsystem to overcome the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 Besides the course of macro practice should include the community organization skills focused on the social action approach.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17-239
    * DOI : 10.20970/kasw.2011.63.1.009
    * UCI : G704-000330.2011.63.1.01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장애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 현상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장애유형, 성별, 연령, 학력, 직업유무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31명 장애인들에 대한 포커스 집단면접 8회 차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우선 참여자들은 경제적 분배의 불평등함으로 인해 물질적 결핍, 장애차별주의 사회구조에 의해 삶의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권리박탈 경험이 발견된다. 또한 사회적 차원의 배제로 인해 사회적 활동참여에서의 배제와 관계로부터 단절과 소외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들 참여자들의 경험분석으로부터 장애인들의 생물학적 손상에 가해지는 편협하고 이중적인 문화적 규범과 가치 등 비가시적인 배제형태가 발견된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구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됨에 그 함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bstantially understand and identify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 in Korea. For this, the 8 times in focus interview implemented on 31 of the disabled with regard to disability type, gender, age, education, job etc. The results, firstly it foun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material deprivation due to inequality on economic distributions, and the multi-deprivation of social rights overall social systems and scopes resulted from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gainst the organization of society. Nextly, it represented that they got the exclusion from social participation and isolation and alienation in social relationships in the dimension of society. In that, particularly, a sort of invisible type of social exclusion such as an intolerant and double social norm and values is found, which has been impacted on their impairment or disability in the participants. This founded results contribute on applying fundamental data for political and practical implementations for social inclusion of the disabled, as well as theoretical building for conception of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41-169
    * DOI : 10.16999/kasws.2013.44.2.141
    * UCI : G704-000143.2013.44.2.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20세 이전에 장애를 가진 40대 중후반과 50대, 60대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나이 들어감”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알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체·뇌병변, 시각, 청각장애를 가진 28명의 장애인과 총 6번의 초점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우선, 신체적인면에서 일차장애로 인한 이차장애의 심화와 노화에 의한 질병의 복합성을경험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적 건강관리와 의료접근에서 배제되고 있었다. 또한 손상된 몸을 돌보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부정적 태도가장애인에게 내면화되어 건강관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인면에서는 나이 들어감에 따라 예전부터 가지고 있던 장애가 아니라 나이 들어가는 심리적 현상과 투쟁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장애에 대한 의미도 변화하고 있었는데 젊은 시절 장애는 아픔이었지만 나이들어감에 따라 장애는 삶에 대한 이해를 폭넓게 해주는 것으로 의미가 변화되었다. 사회적관계의 측면에서는 축소되는 사회적 관계와 비장애인과는 사회적 거리감이깊어져 갔다. 비장애인에 비해 젊은 시절 자산을 축적할 기회도 적었고, 은퇴시기가 빠름에 따라 경제적인 부담이 상당히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참여자들은 나이 들어감에 따라 장애(disability)와 노화(aging) 의 이중적 위험요소의 영향으로 인해 다차원적인 면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장애인의 나이 들어감의 현상에서 건강과 빈곤은 같이 다루어야하는 사회정책적 문제로 이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what it is meant to be old for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having disabilities before 20 years old. 6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8 participants were conducted. 28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focus group were consisted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cerebral palsy, visual impairment or hearing impairment. As a result, in the physical aspect, even though the complexities of secondary conditions resulted from the primary disabilities and aging impacted on the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excluded in daily activities for health promotion and could not access health care systems. In addition, social oppression about the impaired body was internalized to people with disabilities so people with disabilities did not promote their health. In the psychological aspect, they struggled with age, not the disabilities. The meaning of disabilities was changed from tragedy to understanding life more broadly. And the social relationship was narrowed and the social distance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became bigger as people got older. Compared to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 lack of accumulated asset and the early retirement made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 poor. Participants are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difficulties due to the double risk associated with disability and aging. Issues of health and poverty in aging with disability must be dealt with together and some recommendations to solve the complexity of aging and disability were suggested.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00-240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6..50.004서지정보 닫기
  • 최근 장애인복지에서 장애인의 건강권보장을 위한 구체적인 실현방안을마련하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개념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그 개념을 정립하고자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불평등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비장애인과의 건강격차, 또 장애인집단 내부의 다양한 요인에 의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보건의료, 사회학, 노년학, 사회복지학 등의 타학문에서건강불평등 용어가 사용되는 범위, 구성요소, 내용 등을 고찰하였다.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개념의 명확한 속성을 파악하고자 Walker와 Avant(1995)의 개념분석 절차를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이 개념의 네 가지 속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속성은 ‘장애인의 건강에 대한 기본권리 박탈’, ‘장애인에 대한지속적인 사회적 차별의 결과’, ‘불평등한 보건의료서비스 접근 및 이용의산물’, ‘이차장애(secondary disability) 예방 및 관리지원 체계의 부재’, ‘개인적 사회적 결정요인으로 인한 집단 간이나 장애인집단 내의 건강상태의차이’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불평등이란 ‘장애인의 건강권의 박탈과 장애에 대한 지속적인 사회적 차별의 결과로 나타나는 불평등한보건의료서비스 이용과 이차장애 예방 및 관리지원 체계의 부재 등의 결과로써 발생되는 집단 간이나 장애인집단 내의 건강격차’로 개념화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건강불평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수준이지만장애인의 건강불평등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념을 정립하는 데 활용될 것이며, 나아가 이들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사회적 개입에 기초자료를 제공할것이다.

    As the interests in guaranteeing health rights and supporting it’s solutions of the disabled are increasing, recently, researchers on conceptualization of health inequality of the disabled in the welfare of the disability positively are being implemented. This research is to be reestablishing concept of their health inequality how to applying it through literature reviews. Firstly, on examines the aspect of health differences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difference within the same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ies. Nextly, on considerate applied contents, elements, scope of health inequality terms in other learning such as Health Medical, Sociology, Gerontology, Social welfare. Besides, fore of a generic character of health inequality were deduced through the method of Walker and Avant theoretical procedure. Generic characters of this concept drew from this research is that there are ‘deprivation of the health righ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consistent social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the disability’, ‘products of inequality approach and using in heath service’, ‘nothing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econdary disability’, ‘health disparity with both of non-disabled and the disables or in a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y contributed to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From this generic characters, The concept of health inequality of people with the disability can be confirmed that it’s health disparity with both of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or in a group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occurred from products of inequality approach and using in heath service and nothing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econdary disability showed as results of which are deprivation of the health righ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result of social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the disability. Even though this results are exploring level for conceptualizing health inequality, provider basic knowledges in conceptualizing it and fundamental resources in social intervention for assuring health rights.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05-23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지방이양 실태를 살펴보고 지방이양이 가져올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전망한 후 이에 따른 장애인단체의 역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올해부터 67개의 보건복지부 업무가 지방으로 이양되었다. 이 중 장애인복지서비스는 총24개로서 수치상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지방이양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가 동시에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긍정적 효과로는 지방정부의 자율성 확장, 예산의 효율성 증대, 지역밀착형 복지의 실현, 사회복지 예산 증가의 가능성 등이 지적되었고, 부정적 효과로는 사회복지재정의 축소 가능성, 지방정부간 불평등 확대, 복지부문간 불평등 확대 등을 지적했다. 그리고 이에 대해 장애인단체에서는 지역협치의 구축, 시민사회단체와의 연대, 지방 예산과정에의 적극적 참여, 장애인단체의 역할 분담 재정립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This study is to look over the trends of the transfer of the welfare services to the local authorit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anticipate the effects of transfer, and to suggest the roles of the organizatio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year 67 services among 138 service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transferred to the local authority. Among the 67 services, 24 services are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remain services would be transformed into block grants Theses trends of the transfer would have negative and affirmative effects simultaneously. The affirmative ones would be like as followings: increase of the autonomy of the local authority, increase of the efficiency of total budget, expansion of the welfare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citizens of the local area, and possibility of expansion of the budget for welfare services. At the same time negative effects are anticipated like possibility of deduction of the budget for welfare services, expansion of the gap between local authorities and welfare service categories besides. To keep away from the negative ones, and to promote the affirmative ones, organizatio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try to construct local governance through local committee of the welfar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ocal welfare council,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between general nongovernment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the budget making, and to reconstruct the role between the organization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페이지 : 63-95
    * DOI :
    * UCI : G704-SER000010336.2005..2.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공공서비스 중 취업알선서비스가 장애인의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는 2005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조사한‘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원자료를 이용하였다.분석 결과 취업알선 서비스를 받은 장애인의 경우 스스로 알아서 취업한 장애인에 비해 30인 이상 사업체에 취업할 확률은 높아지나 임시·일용직에 취업할 확률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은오히려 취업알선 서비스를 받지 않은 장애인근로자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고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 원-스탑 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 사례관리팀의 구성, 직업재활실시기관의 기능별 재분류를 통한 고용 기능의 강화 등의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job placement services on quality of work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pursue such goal this study used ‘the disabled workers survey data’conducted by KEPAD(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in 2005. The data were analysed by logi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1) The disabled who were helped by job placement service center had higher probability in employment at large enterprises than not helped. (2) Job placement services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irregular employment. (3) Job placement services decreased the wage per hour.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I recommended to introduce One-Stop Career Service Delivery System based on Employment Support Center, and case management system, to encrease co-work of KEPAD and Employment Support Center, and to re-classify the work rehabilitation center by transitional employment leve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페이지 : 5-26
    * DOI : 10.15707/disem.2008.18.1.001
    * UCI : G704-001872.2008.18.1.003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33-358
    * DOI :
    * UCI : G704-000330.2002.48..011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21
    * DOI :
    * UCI : G704-000143.2002.19..00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을 주거공간으로 개념 규정하고 생활시설 내에서의 주거권 확보를 위한 과제를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도출하고 있다. 장애인 생활시설은 그동안 주거공간이라기보다 재활공간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주거권에 입각한 연구는 전무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생활시설이 주거공간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주거권의 기본원칙을 정리하고, 장애인차별금지법상의 정당한 편의의 개념을 도입하여 장애인의 주거권 확보를 위해서는 장애인의 특수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생활시설에서 장애인의 주거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안전성, 접근성, 쾌적성, 다양성, 사생활 보호성, 통합성이라는 측면에서 몇 가지 과제를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tries to redefin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s residential facilities not as care facilities in which dwellers spend almost 24 hours throughout the year, to suggest some tasks to secure residential rights of the disabled based on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of Korea. I explore the concept of reasonable accommodation to secure residential rights of the disabled 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rom the point of reasonable accommodation I suggest some tasks based on the principle of security, accessibility, pleasantness, diversity, privacy, integr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47-84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1..31.005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39-160
    * DOI :
    * UCI : G704-000143.2003.22..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용 영역에서 발생하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어느 정도의 사회적 비용을 야기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계량화한 연구이다. 사회적 비용은 장애인이 차별로 인해 고용되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비용과 고용된 장애인이 임금차별로 인해 임금이 낮아지는 비용의 합으로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평균 임금상승률에 가까운 7%의 할인율 하에서는 장애인이 평균 30년 재직한다면 약 86조원이 넘는 사회적 비용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고, 6%의 할인율 하에서는 약 90조원이 넘었으며, 8%의 할인율 하에서는 약 80조원이 넘는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매우 큰 사회적 비용을 낳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입법 논의 중인 장애인차별금지법이 하루 빨리 제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estimates to what extent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causes the social cost in the field of employment. Social cost was calculated by the addition of these two expenses - the cost from the unemployment by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person and the cost from dropping wages by the wage discrimination against the employed disabled person. As the result of estimating, we could find this. Under the 7% of the discount rate, close to the average wage increase rate, if the disabled work for 30 years on the average, the social cost occurs approximately over 86 trillion won. Under the 6% of the discount rate, it was estimated that the social cost will be over 90trillion won. Under the 8% of the discount rate, over 80 trillion won. It could be assumed that extremely big social cost was being created. To lessen this huge social cost, currently argued 'Discrimination Disability Act' for legisl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13-132
    * DOI :
    * UCI : G704-000143.2005..27.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영국의 직접지불제도의 정책적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정책적 효과성 분석 기준으로는 자기결정권의향상, 정책의 확산 정도, 비용 절감 효과와 부수적 효과를 선정하였으며, 부수적 효과는 다시 서비스의 시장화 효과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변화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직접지불제도는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었지만, 정책적 확산의 정도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확산이 어려운 이유는 재정적 장벽, 사회적 장벽, 실행상의 장벽, 전문적 저항 등이지적되었다. 한편, 정책의 부수적 효과로서 서비스의 시장화 효과는 명확히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사회복지사의 역할에는 일정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전에 비해 장애인에 대한 지지자와 서비스조정자의 역할이 더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직접지불제도가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향상시키고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것을 감안하여 우리나라도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강화하기 위해 직접지불제도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더불어 직접지불제도가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영국의 경험을 고려하여 일선 사회복지사들의 인식 변화, 적절한 예산의 확보, 장애인 스스로의 직접 고용을 지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회적 지원 시스템의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policy effects of direct payments in UK, on the viewpoint of social exclusion. Analysis basises are the improvement of self determination, policy diffusion, impacts on the costs, service marketization, the change of social worker’s role. Findings revealed that direct payments increased self determination of the disabled, reduced policy costs, and had impacts on the role of social workers; in contrast direct payments didn’t diffuse well around the UK due to financial barriers(the concern to contain costs), social barriers(problems relating to the employment rights of care-givers), implement barriers(difficulty of matching direct payments to assessments), and professional opposition(from formal service providers). To make a soft landing we have to prepare effective support scheme, traing and support for front-line staff, national legislation and sufficient budget.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129-162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2..34.007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