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이현기-]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15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서구국가들은 베이비붐세대의 대규모 은퇴에 직면하여 그들의 자원봉사참여 양상의 변화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갖고 있고, 이와 같은 상황은 우리도 마찬가지이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사회적 배경 하에서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 참여와 참여의사 실태를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추정하여 베이비붐세대의 고유한 영향요인을 식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분석을 위해서 전국규모 사회의식조사 자료에서 분석대상으로 한국 베이비붐세대 표본 6,903명을 추출하여 사용했고, 영향요인 추정을 위해서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순서형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q였다. 이결과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18.2 퍼센트, 현 노인세대는 8.9 퍼센트로 나타났고, 참여의사는 베이비붐세대 81.6 퍼센트, 노인세대는 49.6 퍼센트로 나타났다. 베이비붐세대의 높은 자원봉사 참여 및 참여의사를 설명하는 특징적 영향요인으로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사회참여, 사회적 연결망, 계층의식 변수 등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노인세대의 참여 및 참여의사의 영향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 농어업 직, 참여단체수, 유배우, 종교 등의 변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베이비붐세대와 크게 다른 것이다. 생활환경 변수는 베이비붐 세대보다 노인세대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베이비붐세대의 높은 참여는 식별된 영향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간주하나 두 세대의 영향변수의 차이는 코호트 효과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또는 현재 참여를 위하여 그들의 자원봉사 욕구를 반영하는 신축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volunteering intentions among Korean baby boomers, and estimate determinants of both volunteering and volunteer intentions. Based on the parameters, the study tries to predict volunteering participation for baby boomers in retirement years. The thesis uses cohorts perspective and integrated theory of resources as theoretical underpinnings, which explain how Korean baby boomer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and what makes them engage in volunteering. For the purpose, the study used data of The Korean Social Survey by Statistics Korea and selected 6,903 samples of the baby boomers and di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ordered-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s results, education, white collars, urban-rural exchange experiences, stratification consciousness, culture/arts/sports viewing, residenti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tress, traffic safety satisfaction, metropolitan areas, Dong area variables appeared to more important to baby boomers, comparative to current older adults. As for the volunteer intentions, education, household incomes, professional/managerial, social network size, having spouses, culture/arts/sports viewing variables came to be more influential to baby boomers, comparative to older people. The differences of determinants between two cohorts are believed to come from unequal distributions of resources across generations, which are caused by baby boomers cohort effects. The baby boomers had higher level of education, social resources, volunteer intentions. Accordingly the paper predicted that Korean baby boomers would have higher volunteering rate than current older adults in retirement years. Finally the study stressed that volunteer policy needed to transform in order to attract baby boom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227-256
    * DOI :
    * UCI : G704-001921.2013..47.005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의 목적은 노년기 자원봉사의 실태를 연간 횟수와 회당 평균시간으로 파악하고, 봉사 횟수와 시간의 영향요인을 새로운 통계기법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전국에서 층화 확률비례계통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가구의 자원봉사 참여 노인 912명이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분석방법으로 일반화선형모형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자원봉사 횟수와 시간이 각각 음이항 분포와 감마분포를 취하기 때문에 적정한 추정치를 얻기 위해서 음이항 회귀와 감마회귀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참여노인은 비참여자보다 교육, 건강, 사회적 관계망 등이 높은 특징을 보였고 평균연간 횟수는 11.83 회, 회당 평균 시간은 3.78 시간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들의 봉사 활동 영역은 환경보호, 복지시설 봉사 등 6개 분야에 걸쳐 있었으며 분야별 횟수와 회당평균시간은 편차가 큰 편이었다. 노인자원봉사 횟수와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서 인적 자원, 사회적 자원, 문화적 자원 변수들이 식별되었고, 이 변수들은 대체적으로 횟수와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가구소득은 시간과 횟수에 모두 부(-)적 효과를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노인 봉사자의 지속적 유지 방법과 관련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 하였다.

    The thesis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old-age volunteers, yearly total frequencies, and average hours spent in a volunteer activity. Also the paper tries to estimate the effects of influential factors on volunteering frequencies and average hours of 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uses, as analysis subjects, 912 older adults who is randomly sampled from Korean standard households and is more than 55 year old. The study uses Generalized Linear Model for the analysis. The frequencies and average hours of volunteering are negative binomial distributive and gamma distributive respectively so that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gamma regression model are used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yearly total frequencies were 11.83 times, and average hours per a participation was 3.78 hour. At the same time, human,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of frequency and hour for volunteering. The paper discusses that the opportunity cost of volunteer hours is very lower than wage and that age effects work to keep total volunteering hours by regulating frequencies and hours. Finally, the paper proposes several policy alternatives to increase volunteering hours among Korean older ad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17-344
    * DOI :
    * UCI : G704-001512.2013..62.015서지정보 닫기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은 참여자의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실증된 예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과 안녕감의 관계를 종단적으로연구하여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안녕감에 실제로 영향을 미쳐 증가 시키는지를 확인하고자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은 한국복지패널 3개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여기서기준년도 시점에서 중고령 노인 약 5,717명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통계분석의방법으로 일반화추정 방정식(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반복측정패널자료 분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기상관의 문제를 적절하게 제어하고 있으며, 일반선형모형의 확장으로서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은 안녕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봉사 횟수 변수의제곱 항은 안녕감과 부(-)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것은 자원봉사활동의 안녕감 증진 효과와역치효과의 존재를 함의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결과를 역할 정체성의 출현과 주관적 중요성이라는 역할 이론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결과의 일반화는 한국복지패널 연구가 우리나라 저소득층에 대한 조사연구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역할 이론의 가정을 지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 engagement and well-being of older adults. Using three-wave panel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study makes attempts to estimate the effects of volunteer participation on well-being which is measured later. Volunteering is measured through volunteer status and volunteer frequency. Well-being is measured through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a main analysis technique, the paper uses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s. Findings show that volunteering is positively related to well-being. Specifically, volunteering status is positively related to all three variables of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volunteering frequency comes to be positively related to well-being. However the strengths of relationship is weaker than those of volunteering status variable. Further, the square terms of volunteering frequency are negatively related to all well-being measures, which indicates the threshold effects of volunteering on well-being.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are related to improved well-beings. The thesis tries to interpret these results in terms of role theory perspectives. Nevertheless, the generalization of this result is very limited in that the data used in the study are mainly collected for Korean low-income household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167-188
    * DOI :
    * UCI : G704-001512.2016.71.1.011서지정보 닫기
  • 노인자원봉사활동 연구가 최근 참여자의 주체적 시각을 반영하는 질적 연구가 등장하면서 연구방법 상의 진전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주는 긍정적 기능과 혜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노인자원봉사 그 자체, 생산적 활동으로써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는 데 강조점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시간자원봉사와 참여 자원봉사를 개념적으로 구분하였으며, 시간자원봉사의 자원구조, 시간자원봉사의 강도, 자원의 사용에 있어서 연령 코호트 차이 등을 분석하고 설명하고자 했다. 본 목적을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7차년도 부가조사인 ‘노동시장과 여가’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의 총 표본은 11,646명이며, 분석목적에 따라 필요한 55세 이상 노인 2,835명과 54세 이하 8,739명을 추출하여 주당 평균시간과 연령코호트 차이를 분석하는 데 활용하였다. 사용한 통계기법은 평균값을 구하기 위해 MCA 방법을 사용하였고, 자원사용의 코호트차이를 밝히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시간자원봉사와 자원 간의 상관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자원봉사를 이용한 분석에서 나타나던 연령증가에 따른 참여율의 감소와는 달리 젊은 연령 코호트 보다 자원봉사시간이 긴 특징을 보였다. 한편 두 연령코호트를 분석한 다중회귀 분석은 중고령 코호트는 시간자원봉사 측면에서 청장년 코호트 보다 상대적으로 인적 자본 보다는 사회 및 문화 자본을 더 활용하는 형태를 보여 주었다. 이 결과는 생애과정의 위치에 따라서 개인자원의 활용 양태가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정책적으로 노인자원봉사자의 헌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문화 및 사회자본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mean time of volunteering and find any age-cohort differences in resources use for older volunteering. Also, a concern about which resources is necessary in order to promote elderly volunteering has grown recently in social policy area. So, the paper tries to find any resource structures of volunteering. The paper uses a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7th wave, “Working Hours and Leisure” addendums. The total case is 11,646 subjects, among them 2,853 of 55 years older is used for the analysis. The MC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adopted to see age-cohort differences in resource use in which two age-cohort is divided to compare each othe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lderly cohort of 55 years older spends .601 hours per week, and younger cohort spends .256 hours per week. It means that older volunteers spent 2.3 times more than younger cohort in time use of volunteering. For the time volunteer participants only, they show 12.35 hours spent in volunteering. On the other hand,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wo age cohorts use individual resources in different way in volunteerism. This suggests age-cohorts differences in resources exist in different life stage of individuals. Finally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detai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87-411
    * DOI :
    * UCI : G704-001512.2011..54.004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노인여가활동의 연령 차이를 각 세대의 구성적 특징의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동안 노인여가활동의 연령 차이는 다양한 이론적 관심을 반영하여 자기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 대체, 생애사건 후의 적응, 시간과 자원의 가용성, 새로운 관심사의 출현에 의한 변화 등으로 설명되었지만 일관성 있는 경험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구성적 특징이 생활양식과 여가관련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노인여가활동의 세대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네 가지 여가형태와 구성변수들을 포함하고 있는 한국노동패널연구 7차 연도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분석에서 총 11,661명의 응답자가 활용되었다. 연령은 15-24세부터 85세+까지 8개 그룹으로 범주화 되었고 이원 변수 수준에서 연령그룹 별 참가율을 구한 뒤 구성변수가 통제된 후 참가율의 순위를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이원 변수 수준에서 연령 차이의 곡선선형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네 가지 여가활동 모두에서 55세 이전에 최고의 참여율을 나타낸 후 서서히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그러나 구성변수를 통제한 후 여가와 연령의 곡선 선형적 관계는 여가활동의 정점이 55세 이후로 늦추어지는 형태로 전환되었다. 이원변수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나타나는 노인들의 낮은 여가참여는 노인 세대와 젊은 세대의 구성적 특징의 차이에 의해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노인복지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age differences i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rates among the age groups and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in light of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cohorts.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age differences in leisure activity have focused on role substitutes undertaken to maintain self-identity, adaptation after life events, time and resources availability, emerging priorities in studying age differences with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pplied. However the results of analysis have not been supported empirically with consistence. Accordingly the paper tries to explain the age differences of leisure activity underlining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have effects on life style and leisure-related behaviors. This study used the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7th data. The data includes the four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nd 11,611 case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Eight age groups are created by an age variable from 15-24 through 85+. At the bivariate level, the age groups and leisure activity relationship is analyzed to get the leisure participation rates, and at the multi-variate level odds ratios are obtained after controlling for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mpare both rank orders of participation rates. As results a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he leisure activity is found showing that leisure participation rates are peaked before age of 55. After controlling for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is replaced by one showing that the participation rates are peaked after age of 55. The lower level of leisure participation for elderly which is consistently found in bivariate level analysis is believed to result from the compositional differences of generations. At the end of the paper, the study suggests the leisure education program as an elderly welfare policy alternativ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31-256
    * DOI : 10.21194/kjgsw..38.200712.231
    * UCI : G704-001512.2007..38.012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과 음주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아동학대와 방임에 대하여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는 하나의 탐색적 연구이다. 본 조사와 분석의 결과 어머니 취업은 모든 아동학대 및 방임과 관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의 형태에 따라서 차별적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즉 어머니 단독 취업은 신체적 학대와 성적 학대와 관련되어있고 맞벌이 어머니는 신체적 학대 및 방임과 관계되어 있었다. 특히 어머니만 취업하는 형태의 경우 신체적, 성적학대와의 관계의 정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 음주는 신체적 학대와 방임에만 직접관련 되어 있었지만 어머니 취업과 상호작용하고 있어서 음주효과는 취업형태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어머니 취업이 미취업모보다 학대를 더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아동학대예방에 있어서 어머니 취업 변수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암시한다. 그리고 어머니 음주도 신체적 학대와 방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는 취업모보다 미취업모에 있어서 더 크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아동학대의 위험요인으로서 음주 효과를 고려할 때 어머니의 취업형태에 따라서 차별적 접근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아동학대와 방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취업모의 가사부담을 경감하는 가족지원서비스의 보급과 직장에서 배려하는 정책이 필요한 동시에 일반 아동 가족의 어머니 음주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아동학대 예방교육에서 음주조절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which makes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works & drinkings, and child abuse and neglects, given that mother's working and drinking gradually increase today in Korean society. With the results of an analytical analysis, the maternal working is shown to be related to the every types of child abuses and neglects, but the specific forms of working are differently related to the child maltreatments. On the other hands, the maternal drinking is directly related with physical abuses and neglects only, and is shown to interact with the forms of maternal working. These findings mean that the maternal employments increase more child maltreatments than the maternal not-workings. Also the mother's drinking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hysical abuses and neglects, and the effects are more stronger in the non-working mothers than the working mothers. Therefore, the thesis discusse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of child maltreatments including the family support services relieving working moms' house work burdens and workplace considerations, and suggests the policy alternatives such as drinking control programs for working moms in the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s for relieving the drinking effects on the child maltreatm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11-142
    * DOI :
    * UCI : G704-000964.2006..17.005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아동학대 유형별로 부모의 위험요인을 찾아내고 아동체계와 환경체계 요인들이 부모위험요인과 아동학대와의 직접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사회복지정책과 실천의 함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척도를 수정보완하고 일반 모집단 아동 약 1,780명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의미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아동학대 유형별로 위험요인들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와 부모위험요인과의 관계는 아동요인과 환경요인에 의하여 약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 셋째, 성적 학대에 있어서는 어머니의 단독취업과 방의 공유상태와 같은 상황적 맥락 변수가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적 학대에서는 아버지의 직업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일용직의 경우 관리직/공무원보다 신체적 학대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방임과 정서적 학대에 있어서는 부모의 음주, 계부모 변수가 아동요인으로서는 학업성적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동학대 예방 및 치료프로그램은 아동학대별로 차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아동학대의 치료와 예방은 부모뿐만 아니라 아동자신의 예방교육과 생활환경의 개선을 통해 가능하다. 셋째, 성적학대에 있어서는 어머니 부재 시의 아동보호의 문제가 중요하다. 이 논문은 아동학대의 유형별로 분리하여 분석하는 접근방법과 생태학적 접근을 통하여 아동학대의 부모위험요인과 다른 아동체계와의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취업과 아동학대와의 유의미한 관계를 발견한 것은 이론적으로 의미 있을 뿐만 아니라 아동복지정책과 실천에 중요한 의미를 던진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 abuse and parental risk factors and to determine the intervening effects of the child environmental factors, the children themselves and the situations of the family. The author develops the child-abuse measurement scales, analyzes 1,7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general populations, and finds several meaningful facts. First, the parental risk factors and the children ecological factors come to exis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ild-abuse patterns. Secondly,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factors to the child abuse are affected by the child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rdly, the maternal employment and room-share variables appear to be i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the child sexual abuse. Fourthly, father's occupation variables are important in predicting the physical abuse. Fifth, the parental alcohol abuse variable, step-parent variable, and academic performance as a child factor are influential in deciding the child neglect and emotional abuse. With the results, the paper derives some social welfare policy and social work practic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we need to approach differently to the child abuse preventive programs according to the child abuse forms. Secondly, the child care problems for sexual abuse appear to be important in maternal absence. Thirdly, all child protective programs have to be centered around the child-empowerment principle. This paper adopts the ecological approach and uses separate analysis of child abuse forms so that the thesis determines parental risk factors and finds the connectedness with other systems. Especially it is remembered that the maternal employment has a direct effect to child abuse and physical absence of mother worsens the child welf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77-108
    * DOI :
    * UCI : G704-001012.2005..23.002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노년기 진입이 시작됨에 따라 노인의 사회적 역할과 기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으며, 따라서 노년기의 생산적 노화활동으로써 노인자원봉사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생산적 노화활동이라는 개념을 구체화시켜 적용하고, 노인자원봉사활동과 참여자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참여자의 인적 자본 및 사회적 자본에 의하여 촉진되거나 억제되는 합리적 활동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자원봉사활동의 실천 방향을 생산적 노화와 인적 자본 개념 틀의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5세 이상 우리나라 전체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전국규모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N=6,945), 통계적 분석기법으로는 자원봉사빈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중분류분석(MCA)을 사용하였고, 노인자원봉사활동과 투입요소로써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서 로지스틱분석과 OLS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 변수는 문화적 가치 변수, 상황변수, 사회 경제적 변수 등을 통제한 가운데 자원봉사활동과 의미 있는 수준에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이 결과는 오늘날 노인자원봉사가 시민참여의 한 형태로 제도화된 가운데 개인의 동기 및 신분지위에 기초한 특성으로서 보다 일반 노인이 지닌 보편적 자본에 의하여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본 논문은 노인이 자원봉사를 통하여 전체 사회에 기여하고 동시에 그 자신도 혜택을 얻기 위해서는 지식, 기술, 경험 등과 같은 보편적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자원봉사정책이 유효함을 논의하였다.

    Recently policy interests in elderly volunteering and productive aging have grown as Korean baby boomers begin to enter old age. The paper makes attempts to deter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volunteering and volunteer human capitals by specifying a cod apt of productive aging.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human capitals on elderly volunteering will show that elderly's human capitals may facilitate or hinder the volunteering fects of huma. Accordingly the thesis tries to examine elderly volunteering in terms of human capital framework and suggests the practi agalternatives. For the purpose, the studysinalyzed a n humaal d ha whi h is composed of 6,945 elderly persons aged 55 years older, used ms tofle clal ific human calysisraCA) to determine the avnteermmean of volunteering frequed y, and employed ms tovariate analysis techniques of OLS and Logisti regressuman c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The ress ts show that human capital variables have an effect on the elderly volunteering activity, codtrolling for social capital variables, cs tural value variables, context variables, and socio-economic variables. This ress ts suggests that volunteer policy needs to make full ued y, human capitals such as skills, knowledges, experiences, informations in order to make them contribute to society and get benefits from the volunteer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335-364
    * DOI :
    * UCI : G704-001512.2009..45.006서지정보 닫기
  •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에 대한 혜택이 알려지면서 이를 규명하고자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도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효과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여전히 인과적 관계는 불분명하다. 본 논문은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종단설계를 통하여 한국복지패널 1·2·3차 년도 자료를사용하여 노인자원봉사활동을 독립변수로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을 결과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일반화추정방정식(GEE) 분석 결과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은 인지된 신체건강과 정(+) 의 관계를 그리고 우울감과는 부(-)의 관계, 자아존중감과는 정(+)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것은 자원봉사활동이 신체건강을 향상시키고 우울감을 감소시키며,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킴을 함의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는 자원봉사활동의 정신 건강 효과에서 문턱 효과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효과에서 사회구조 변수인 연령, 성별, 배우자 유무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효과를 건강의 사회적 관계이론에 근거하여 자원봉사자 연결망의 사회통합과 사회적 지원의 구성개념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건강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과 노인의 복지증진과 사회참여 촉진을 위해 노년기 자원봉사활동을정책적으로 적극 활성화하여야 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volunteerism among older persons on the health outcomes. The paper used 3 waves(2006, 2007, 2008)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N=5,768).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analysis estimated regression model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outcomes which include volunteering status, volunteering frequencies, age, sex, and other context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volunteering increases the self-rated physical health, reduces depression, and improves the self-respects for older people and that the volunteering health effects have a threshold effect on mental healths.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not a moderating effect of age, sex, and marital status on the volunteerism health effects. The thesis interprets the volunteering health effects with construct concepts of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olunteering has health effects, and developing and promoting volunteer programs for older adults is needed for Korean socie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173-188
    * DOI :
    * UCI : G704-000573.2016.36.1.002서지정보 닫기
  •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합적 자원이론은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일상의 생활환경 및 거시적 생태환경이나 상황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노화에 따른 대처행동의 하나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환경과의 교류를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본 논문은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생태환경 변수가 자원변수들을 통제한 가운데 어떤 영향력을 갖고 있는 지 그 효과를 추정하고, 그 결과가 내포하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통계청 사회의식조사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총 응답자 37,049명 중 사회적 은퇴를 경험한것으로 추측되는 55세 이상 10,268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지스틱 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로써 종속변수인 시간 및 참여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독립변수 즉 생태환경과 자원변수는 p<.000 수준에서 유의한 독립적 효과를 나타냈고, 이 중, 5개의 독립변수 즉 교육수준, 돈 빌려줄 사람 수, 종교, 전문 관리직, 지역사회 변수는 종속변수인 시간자원봉사와 참여자원봉사에 대하여 관계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이 우리나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경험적 근거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환경변수의 효과 크기가 자본변수에 비해 작지 않음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상대적으로 동네, 지역사회, 직업 환경 등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간자원봉사와 참여 자원봉사에 대한 회귀계수 추정에서 5개 변수의 관계방향이 서로 다른 것은 두 결과변수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정에서 서로 다른 과정이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며, 노인자원봉사자의 모집과 유지전략에서 다른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에서 자원봉사 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persons and decid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thesis conceptually points out that the integrated theory of resources too much emphasizes the important roles of huma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but overlooks the influences of ecological environments in explaining volunteering among the older persons. And the thesis tries to apply the general ecological theory of aging to explaining volunteering of older people together with resource frameworks, and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log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volunteerism for senior citizens. Using a micro data of 2009 National Social Survey by Statistics Korea, the paper screens out 10,268 subjects who are believed to socially retire and be above 55 years older. The multiple OLS regression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s are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logical environments and resources on volunteering.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riables are related to volunteering at the level of p<.000. This means that environmental variables have independent effects on the volunteerism, controlling for resource variables. This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ories have empirical evidences in explaining volunteerism in Korea. Also, at the end of paper,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studies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77-800
    * DOI :
    * UCI : G704-000573.2012.32.3.004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많은 노인 자원봉사활동 관련 연구가 사회자본을 다른 자본 변수와 경쟁관계에 있는 하나의 변수로만 취급하는 경향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하고, 사회자 본은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독립적 효과뿐만 아니라 인적 자본의 효과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규모의 통계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노인자원봉사 및 사회적 자본의 평균수준과 모집단의 통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자본을 구성하는 공식적 상호작용, 비공식 상호작용, 네트워크 유무 변수는 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통합의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사회자본 변수인 결혼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인적자본변수인 임금소득과 사회자본 변수인 비공식 상호작용의 상호작용 항은 정적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결과는 사회자본 변수가 독립적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인적 자본 변수를 중재하여 차별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사회자본이 공식적 상호작용, 즉 사회단체와 같은 자발적 결사체의 맥락에서 노인자원봉사를 촉진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social capitals and find their roles and functions in voluntarism of older persons. This paper criticizes that the previous studies treated simply social capitals as a control or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model estimation. However, the paper makes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s roles in assuring potential older volunteers. For the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national sample of older person and applied logistic regress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techniques in order to assess the mean level of social capitals and the population statistic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capital variables, formal interaction, informal interaction and social networks are in positive and independent relationships with volunteering but social integr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an interaction term of wage income and informal interaction variables is shown to be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social capital variables not only have net effects but also mediate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variables on volunteer participation. At the end of the paper, the paper discusses that formal interactions in the level of voluntary organiz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인복지학회
    * 페이지 : 263-290
    * DOI :
    * UCI : G704-001512.2010..50.010서지정보 닫기
  • 노년기의 여가활동은 생활만족과 건강을 유지케 해주는 귀중한 복지자원이다. 그러나 개인의 복지자원으로써 여가활동은 초 고령층으로 갈수록 성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남녀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경험될 개연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인 여가활동 참여율의 성별 차이와 관련요인의 남녀차이를 밝히는 동시에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 표본 조사를 통해서 구해진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 2,103명을 대상으로 여가 참여율을 구하고, 노인전체 표본과 남녀 개별 표본으로 분리하여 관련 요인의 성별 차이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된 전체 여가활동 참여율은 여자 노인이 약 23%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별 여가활동에서 관련 요인의 성별차이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자노인에게는 여행ㆍ관광ㆍ나들이에서 미성년 자녀의 유무 변인이, 남자노인에게는 사교 및 모임활동에서 결혼지위 요인만이 배타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통적으로 관련된 요인으로는 교육, 건강, 취업, 종교 등의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분석에서 부모동거여부와 집의 소유여부 등은 여가활동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여가 참여율과 관련 요인의 성별 차이는 여가태도 변화와 성역할 차이의 관점에서 해석되었고, 본 논문의 마지막에서 복지적 실천 방법을 제안하였다.

    For the elderly, leisure activities are welfare resources that help to maintain health and engagement with life. The paper investigates gender differences in rates and correlates of elderly leisure activities. The data are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of the population aged 60 or more years.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i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The level of overall leisure participation for females is about 23 percent higher than that of males. Gender differences in the correlates of leisure activity are found in the sample: Specifically for the females, having children variable is exclus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a leisure dependent variable, travel/going out, and for males marital status variable is exclus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a variable, socializing/get together. On the other end, the common factors of leisure activities appear to be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employment status, religion variables. However, two variables, living together with parents and possessing my house appear not to be related to the leisure activity variables. In this paper, the findings, gender differences are discussed in terms of leisure attitude changes and gender role theory, and the leisure practices of welfare is suggested at the end of thesi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165-188
    * DOI :
    * UCI : G704-002139.2008.18..001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3-62
    * DOI :
    * UCI : G704-000330.2003.52..010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노년기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자원봉사 참여에 대한 환경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10년 동안 노인자원봉사 참여에 대한 연구가 북미를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노인의 장소애착과 통제에서 보이는 환경의 영향에 대한 관심은 아직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봉사에 대한 환경 효과를 규명하고 환경 노년학 이론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가장 최근의 2011년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65세 이상 노인 6,633명을 대상으로 봉사 참여에 환경이 어떤 효과가 있는 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행하여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5개 환경 군의 변수들이 봉사 참여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주거 환경 변수 중 다세대 주택의 효과가 가장 컸고, 가구환경 가운데는 1세대 가구가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환경(예, 수도권, 강원 충청, 영호남 등)은 영남권의 참여 효과가 가장 컸다. 직업 환경 가운데는 사무직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오랜 거주 경험으로 생성되는 환경 귀속감과 환경 통제 행위 주체성 발현의 결과로서 설명하였다. 동시에 이 결과는 한 장소에서의 노화, 환경 노년학, 사회복지학 이론에 경험적 지지를 함축하며, 자원봉사 실천에는 거주지 단위에 서부터 지역 단위에 거시적 정책의 가능성과 복지정책의 확대, 노인 친화적 도시개발 등의 정책이 자원봉사 참여를 증가시킴을 시사한다.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 on volunteer participa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In last decad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which investigate volunteer participation of older persons. However,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effects on volunteering. For the purpose, the thesis uses the data of national social survey by Statistics Korea, executed in 2011. As samples, 6,633 older people above 65 year age is finally analyzed. This paper uses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volunteering. The results show that five groups of environmental variables appeared to be related to volunteer participation. Specifically, among residential environmental variables, a multi-household house was strongest in influence to the dependent variable. Among household environmental variables, one generation household was biggest. Among region variables, south-east region(Young-nam) of Korea came to be the most influential to elderly volunteer particip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fe environments surrounding older people in local community influence them to participate volunteerism. The paper proposes as a conclusion that elderly-friendly environments such as easy-access housing, barrier-free urban design, utility facilities for older people solidify belonging and agency, and in turn, they boost identity and autonomy so that older adults take participation into volunteerism. Also, the paper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to promote volunteering among senior citizen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연구소
    * 페이지 : 99-123
    * DOI :
    * UCI : G704-002139.2013.38..005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빈도는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서 생활환경의 영향력에 민감하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노년기 생활환경과 현금기부 자원봉사활동과의 관계성을 밝히고, 이 관계를 개인-환경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출현하는 거주지 소속감(belonging)과 행위주체성(agency)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9년 통계청 사회의식조사 자료에서 중 고령자 표본 10,268 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항 로짓 모형과 토빗(Tobit)모형의 분석 결과는 종속변수인 현금기부 자원봉사 참여는 모든 생활환경 변수와 정의 상관을, 그리고 또 다른 종속변수, 연간 기부 횟수는 사회적 환경과 정의 상관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결과들은 현금기부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개인-환경 상호작용 과정에서 오랜 거주지 경험으로 출현하는 소속감과, 행위주체성이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정체성과 자율성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 자원봉사참여가 촉진 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분석결과는 정책영역에서 장기적으로 중 고령자의 생활환경 개선이 노인의 사회참여 촉진에 기여한다는 것을 함의하며, 이론적으로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연구에서 환경변수의 중요성을 함축한다.

    The paper intend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s or context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and explain the why under assumptions of environmental theory on aging. This paper makes attempts to apply concepts, Belonging and Agency to person-environments(p-e) interac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uses 2009 Statistics Korea data of Korean Social Survey and selects a sample of 10,268 people who are more than 55 years old. The Binary Logit model and Tobit model results show that a dependent variable, money volunteering particip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all environmental variables i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p<.000). Also, another dependent variable, yearly frequency of money volunteering i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s i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but the study fail to fin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the latter dependent variable and residence environment variables. Under the thesis of environmental theory on aging the results are interpreted as follows. Money volunteering among the older people is promoted by identity and autonomy which become formed by Belonging and Agency which are emergent in the process of p-e interaction and as result of long aging in place. This suggests that civic engagement among senior citizens can be improved by bette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plac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future volunteering studi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305-329
    * DOI : 10.15855/swp.2012.39.4.305
    * UCI : G704-001012.2012.39.4.002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