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임명희-]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25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 관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아상호작용의 양육관련변인을 확인하고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질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모아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이론적 문헌고찰과 함께, 모아상호작용의 관련변인의 추출과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협력접근법을 통한 미시접근법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는 첫째, 모아상호작용과 관련된 관련변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는 질적으로 어떠한가? 이었다. 첫 번째 연구문제의 결과에 의하면, 모아상호작용과 관련된 변인에는 영유아의 언어능력, 영아의 연령, 영아의 상황, 영유아의 요구나 동기, 어머니에 대한 유아의 인식, 영아의 기질, 영아의 사회적 능력, 영아의 애착, 영유아의 놀이, 영아의 순응성, 유아의 전략, 어머니의 스트레스?병력?결혼만족도, 어머니의 전략, 사회계층변인, 어머니의 민감성, 어머니의 반응, 어머니의 권력인식, 어머니의 애착, 타인양육, 타인양육유형 등이 포함되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 즉, 소규모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밝혀진 모아상호작용과 양육관련변인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아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양육관련변인에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애정적-자율적 양육태도, 합리적-애정적 양육행동, 어머니의 높은 애착정도, 접근적-적응적 자녀의 기질, 자녀의 순응성 등이 있고, 모아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양육관련변인에는 부모역할에 대한 낮은 만족도와 부모역할에 대한 갈등, 애정적-통제적 양육태도, 합리적-권위적 양육행동, 매우 높지 않은 자녀에 대한 애착정도, 중간수준의 어미니 정서표현성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 In this regards, two study issues were set up; Is there any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ot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were communicat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oddler's month ages, situation, needs and motivation of young children, recognition on the mother, toddler's temperament, social ability of toddler, toddler's attachment, play of young children, toddler compliance, interaction styles of young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teraction styles of mother, social stratification, maternal sensitivity, maternal response, maternal perceived power, maternal attachment, types of care.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related variabl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the mother-toddl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47-17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9.9.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 및 아동에게 발달에 적합한 색채교육 및 색채 환경을 마련해주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색채교육과정의 기본 틀을 제시해놓고 있으며, 발달단계별 유아와 아동의 색채표현 및 색채감각의 특징을 고려한 색채교육, 유?아동 개개의 색채심리가 반영된 색채 환경, 심리적 자유와 물리적 자유가 바탕을 이루는 개성과 자유가 존중된 색채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유?아동 색채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유?아동기 발달에 적합한 색채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동 색채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고찰, 색채교육과 관련된 현행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이해 등의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유?아동을 위한 색채교육과정의 개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색채교육과정의 개발안은 다음과 같다. 유?아동을 위한 색채교육과정의 목적은 다양한 색채 활동을 통해 유?아동의 정서발달, 인지발달, 창의성 발달을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발달시켜 조화로운 인격체로서의 인간을 기르는 데 있으며, 색채교육과정의 내용범주는 색 속성, 색 인지, 색 감성, 색 연상, 색 구성, 색 통합 등의 여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framework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lor education for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To meet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firmed by the following three issues. : (1)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lor education, (2) study of previous research on color education, (3) the study of National Curriculum related to the color education. The goal of the curriculum for color education would achieve the emotion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creativity development for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content categories of the curriculum for color education were composed of color property. color cognition, color emotion, color image, color design, and color integration. And the each of these content categories were included the content area 7-8.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403-434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3.13.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현행 초등교육의 교과영역별 교육내용을 유아교육과 연계하여 유아교과교육학의 교육내용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분석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제는 어떤 관련성이 있으며, 특히 유아교육양성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유아교육영역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초등교육과 연계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설정해야 할 유아교과교육학의 성격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교육과 연계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선정해야 할 유아교과교육학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등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유아교과영역 중 유아건강 및 신체교육은 초등의 체육교과와, 유아사회교육은 초등의 사회교과?도덕교과?실과교과와, 유아음악 및 동작교육은 초등의 음악교과?체육교과와, 유아미술교육은 초등의 미술교과와, 유아언어 및 문학교육은 초등의 국어교과와, 유아과학교육은 초등의 과학교과?실과교과와, 유아수학교육은 초등의 수학교과와 연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교육과 연계한 유아교과교육학의 교육내용은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교육내용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교육체제에서도 근본적인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동일선상에서 동등하게 선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on what the pedagogical content need to cover,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rtions of standard childcare and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on the pedagogical content was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health & physical activity educ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were well connected to the physical exercise course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soci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well connected to the ethics and social studies, and a practical course contents,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music &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well connected to the mu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xercise course contents,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visual a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well connected to the arts education course contents,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language arts &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well connected to the Korean language course contents,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well connected to the science and a practical course contents, and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well connected to the mathematics course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43-166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0.10.2.007서지정보 닫기
  •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초기적응 연구가 다양화되면서 초기적응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데, 신체적인 부적응 행동이나 분리불안과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인 부적응 행동들이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부정적 적응반응을 일으킨다. 이에 우리는 어린이집 초기적응을 위한 가정과 어린이집의 적극적인 배려가 필요하며 초기적응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사례별 이해가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 나타나는 특징을 밝혀 영아 개인 중심의 적응프로그램의 개발을 강조하는데 있다. 초기적응과정에 대한 본 사례 연구에 의하면 7가지의 적응과정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가족과 떨어져 홀로 있어야 할 낯선 어린이집 환경에 대한 이해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둘째, 엄마와 함께 있는 어린이집 생활이 긍정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셋째, 엄마가 없는 힘든 어린이집 생활이 시작되었고 거부하고 싶은 스트레스의 시간이었다. 넷째, 서서히 엄마가 없는 어린이집 생활을 받아들이게 되고, 선생님을 심리적 안전지대로 여기고 매달리는 강한 애착행동이 나타났다. 다섯째, 선생님께 여전히 강한 애착을 가지면서 친구들과도 어울리지 시작하였고 주변 환경에 대한 탐색활동도 활발해졌다. 여섯째, 잦은 감기와 배탈로 신체적인 부적응 행동이 나타났지만 어린이집 생활에 대해 기분 좋고 즐거움 곳임을 확실히 인식하게 되었다. 일곱째, 식욕이 왕성해지고 건강을 회복한 컨디션 좋은 어린이집 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understand how infants adapt in child care center in the course of transition to child care center from home. Also it explores how many types of adaptation process appear in the course of transition to child care center from home. This paper used a case study to discover meanings in the lived experience of infants while adaptation in a child care center. For doing this case study, I was guided by literature review and observation notes. Essential characters of infant's early adaptation process emerged; (1) Understanding of separation from the parents and living in a new environment, (2) participating and doing plays with patents in a new environment, (3) rejecting to enter the class and refusing everything in a strange space without parents, (4) recognizing a strange space without parents and finding security in their own relation with teacher instead of parents, (5) Making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 and participating and doing plays, (6) watching the teacher's face carefully and waiting for the teacher's care, (7) Overcoming the separation anxiety and have their sense of being in the new environment. At any rate, the early adaptation process of infants to child care shows the personal characteristic in which the infants has their own ways and characters of early adaptation process in the course of adapt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73-103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8.8.2.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일반 유치원에 다니는 일반 유아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하여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장애 이해 프로그램은 만 5세 일반 유치원의 하루일과 내에서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요소가 통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장애인식에 대한 교육목표가 활동내용과 교사의 상호작용 방식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평가결과 교육집단 일반 유아가 비교집단 일반 유아보다 장애 유아에 대한 장애인식 태도와 장애 수용 태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 행동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일반 유아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하여 유아교육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통합 실시한다면 일반 유아의 장애인식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ffect of a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to improve the disability awareness of young children. The program is developed for five-year-olds in kindergarten. The components of a program to improve the disability awareness are intergrated into the daily activiti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rough children's books. Educational objectives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are emphasized and reflected in the content of activities and the way of teacher's interactions. This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disability awarenes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49-7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8.8.2.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컴퓨터교육과 관련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및 보육과 관련된 학술지 중에서 한국진흥재단에 등재된 7개의 학술지에 실린 총 9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과 다중응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 이후 유아컴퓨터교육 관련 연구는 시기별로 꾸준히 나타났다. 둘째, 유아컴퓨터교육과 관련한 연구 주제를 보면, 유아 발달 관련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 중 연구유형에서는 양적연구와 실험연구가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구대상은 주로 유아이었다. 자료수집은 검사나 질문지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고, 분석방법은 t-test나 변량분석과 같은 차이 검증이 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the relation to young children computer education. For this, the objects of study were selected from total of 95 articles in seven journals registered on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relate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and child care journals. The criteria of analysis were made reference to prior researches in study tren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f relation on young children computer education was steadily studied since 2001. Second, among those topics of researches on 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and computer, the majority of topics wer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rd, quantitative and experimental researches were the most frequent in type of research and the subjects were young children. The majority of the data collection was through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The method of difference like t-test and ANOVA was mainly used for the analysi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95-211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2.12.2.009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중심의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때에 참교육의 한 가지 대안으로 유아체험학습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발달에 적합한 유아기 체험학습의 방향을 이론적 관점에서 고찰?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달에 적합한 유아체험학습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체험학습에 대한 이론적 연구동향, 유아기에 적합한 체험학습, 발달에 적합한 유아기 체험학습의 교육과정, 유아발달과 유아체험학습의 관계를 연구문제로 다루었다. 이론적 고찰에 의하면, 유아기 체험학습은 학습내용에 대한 정확한 지식획득이란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체험활동의 대상을 선택하여 계획하는 과정 그 자체도 충분히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경험이라는 것이다. 이에 우리는 발달에 적합한 유아체험학습을 통해 첫째, 생활경험과 시야를 넓히고 사회적 사실과 현상 간의 관계를 보다 잘 이해시킬 수 있으며, 둘째, 실제로 보고, 듣고, 느낌으로써 풍부한 경험을 갖게 하고, 개념학습을 강화시키며, 셋째,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고, 상호협조의 사회, 생산과 소비, 대인관계 등을 이해함으로써 이웃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할 수 있다. 특히 발달적으로 유아기는 적극적인 에너지와 세상에 대한 도전적 경험을 필요로 하고, 자신의 활동에 대한 주도성을 갈망하고, 호기심이 많고 목적지향적이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심도 있는 경험을 구성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유아체험학습이 학습목표의 달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고양시키는 교육적 성과를 대입해보면 유아발달에 있어 유아체험학습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certain a educational value of personal experience learning for young child and to suggest a educational course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ersonal experience learning for the early childhood. For the purpos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theoretically approch of personal experience learn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ersonal experience learning for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of personal experience learning for the early childhood, and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 experience learning for young child and young child development. Based upon the preced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bout the study issues, it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sonal experience learning for the early childhood was play an important part from the viewpoint of an accurate knowledge acquisition on educational contents. Also it play an valuable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plan on the object of personal experience activ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87-117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9.9.3.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연령, 성별, 모의 취업유무에 따른 유아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이용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고,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그리고 유아의 중독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시와 K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어머니 30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이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과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유아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연주(2007)의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에 대한 중독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경옥 외(2006)의 유아 컴퓨터 게임 중독 척도를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는 아버지를 통해 처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모두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높았고, 유아들은 주로 일주일에 3~5회 사용하였으며, 1회 11~20분 사이로 이용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주요 기능은 게임이었으며, 보호자와 함께 사용하며, 이용의 주된 이유는 유아가 원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에 대한 갈등이 유아가 오랜 시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나타났으며, 이용시간에 대해 규제와 감독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부모의 허락을 받고 이용하게 하였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이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중독적 특성은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여아보다는 남아, 어머니가 취업한 경우에 중독 관련 행동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smart phone and tablet PC use among children under 5 years old, and mothers' perception of smart phone and tablet PC and their children's smart phone and tablet PC addictive tendencies. Through this process, this research gives warning, the potential risk of addictive use of smart phone and tablet PC which can be used for an educational purpo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or home. The subjects were 302 children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in S and K city, 302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ference.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3 areas related to‘children’s‘smart phone and tablet PC utilization’,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smart phone and tablet PC utilization’,‘their children's smart phone and tablet PC addictive tendencies. It used ,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found that children experienced smart phone and tablet PC from their father at the first time and children used smart phone and tablet PC with their mothers. Also, mostly both parents owned smart phone and tablet PC and children usually used smart phone 3-5 times a week during 11-20 minutes at a time. In addition, among the function of smart phone and tablet PC devices that children preferred the most was the game function, under caregivers' supervision, for the children's needs. About parents' perception of children's use, the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generated because of long hours of use. Thus, the regulations and supervision of the hours of use and the allowance of parents for the use were arranged. Lastly, for the addictive tendencies among children's use of smart phone and tablet PC devices were generally high among older children than younger children, boys than girls, working mothers than non-working mother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237-260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4.14.4.004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의 보육서비스와 유아교육서비스는 그 주관부처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로 이원화되어 있어, 행?재정적 지원체계, 평가체계, 교사양성과정 및 인사관리시스템 등이 서로 다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보육 및 유아교육 관계자의 의지가 아닌 위로부터의 교육과정 통합이 시도되어 2012년 만 5세 누리과정을 시작으로 어린이집, 유치원 교육과정의 통합이 이루어졌고, 2013년에는 만 3~5세 누리과정의 공통 적용으로 만 3~5세 어린이집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과정이 통합을 이루었으며, 이러한 정부의 의지는 2014년 평가체계의 통합으로 이어지고 있다. 두 기관의 평가체계의 통합은 현재 어린이집의 평가인증제와 유치원의 학교평가제의 도입 및 발전과정을 반영해 볼 때 그리 단순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평가체계란 교육 및 보육서비스의 질 관리 측면에서 볼 때 반드시 필요하고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두 기관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평가체계의 구축은 심층적으로 다루어야 할 주제임에는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힌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의 개선방안은 첫째, 1차 평가는 전문가에 의한 평가인정모형의 적용, 2차 평가는 전문가에 의한 소비자중심 평가모형의 적용, 둘째, 어린이집 평가지표와 유치원 평가지표 시 공통지표와 특성화지표의 개발, 셋째 평가체계의 내실화, 넷째, 평가조력자와 평가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마련, 다섯째, 평가결과에 따른 재정지원의 차등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원방향으로는 평가인증원의 설치, 유아교육기관 질 관리를 위한 기관 코칭 시스템의 구축, 평가결과의 공시 및 활용방안의 지원, 평가 메뉴얼 중심의 연수 및 교육지원, 평가조력자 및 평가자 간 신뢰도 및 평가역량 강화 시스템의 구축, 행·재정적 인센티브 관리 시스템의 구축 등을 제안하고 있다.

    Child care servic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s in our country are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hich is divided. So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evaluation systems, and personnel management systems, teacher training course are going to be different. After trying to integrate child care servic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s, they made the Nuri Curriculum which integrating curriculum of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facilities for 3-5 years old children from 2012. It is not simple to integrate system in the accreditation system of child care service and kindergarten certification evaluation system when reflecting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However, the evalu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thing to manage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 quality, so there is no doubt an important subject for the two organizations to build an effective and efficient evaluation system. This study suggested some to improve evaluation systems of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t the first, the first evaluation is needed to apply to evaluation accreditation model by professor. Then, the second evaluation is needed to apply customer oriented evaluation model by professor. Next, it is needed developing the common evaluation certification indicator of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substantia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Fourth,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between evaluate supporter and evaluator. Finally, it is needed to provide a differential method of finan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83-10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4.14.2.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 사회지능이 연령,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발달하는가를 양승희, 박낭자(2005)의 교사 평정용 사회지능 평가도구로 유동적 사회지능(Fluid Social Intelligence)과 결정적 사회지능(Crystallized Social Intelligence)을 측정하였다. 유동적 사회지능 검사는 사회지능 검사도구의 사회적 민감성(social sensitivity)·사회적 표현성(social expressivity)·사회적 유연성(social fluidity) 검사로, 결정적 사회지능 검사는 사회지능 검사도구의 사회적 지식(social knowledge) 검사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표집된 1,238명의 만 3세, 만 4세, 만 5세 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사회지능 발달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지능의 유동적 사회지능과 결정적 사회지능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 사회지능의 유동적 사회지능과 결정적 사회지능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how the social intelligence of the young children is developing in proportion to their ages, gender. Both Fluid Social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Social Intelligence was the children's social intelligence was checked by their classroom teachers using the Teacher Rating Scale of Social Intelligence for Young Children(Yang, & Park, 2005), and then Fluid Social Intelligence by social sensitivity, social expressivity, and social fluidity, Crystallized Social Intelligence by social knowledge one respectively. Soci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were examined with the use of a nation-wide kindergarden and childcare center sample of 1,238 young children from classes of 3-, 4- and 5-year-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luid Social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Social Intelligence in proportion to their ages. Second, Fluid Social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Social Intelligenc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portion to their gend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75-190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2.12.1.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에 따른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적 신념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두 개 대학교의 영유아교육 관련학과 1~3학년 예비유아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3명의 자료를 제외한 268명(98.9%)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가 선호하는 교수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수법 선호 경향 척도를 구인타당도에 따라 개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하여 유사한 응답이 나타난 문항들을 요인들로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선호하는 교수법이 도덕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AMOS 7.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수법 선호 경향은 각 교수법에 바탕이 되는 교육신념과 관련되어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와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인 두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의 경우 분별이 되지 않고 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에 미치는 결과를 살펴보았는데,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가 도덕지능에 긍정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는 도덕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수법 선호는 창의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체계에 서로 다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의성 성장 신념체계는 높은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성 고정 신념체계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중심 교수법 선호는 아무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dependent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ffect the moral intelligence and creative mind se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on the moral intelligence and creative mind sets, we surveyed 271 freshmen to junior students majoring in young child education at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The total data from 268(98.9%) students, excluding the data from 3 insincere answers,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wo factors,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and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were suggested by EFA, and they are deep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belief that he or she holds. Second, on the effects of the preferred teaching methods on the moral intellige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has more positive effect on the moral intelligence, whereas the preference of the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has no effect. Third, an intensive investigation on the preference of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which shows a similar relationship with the moral intelligence, reveals that it has a highly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growth perception but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fixation perception.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 preference of the 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has no effect at al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219-237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5.15.4.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신념과 보육관련 교과목 이수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D대학의 1, 2, 3학년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교사신념으로 발달관신념, 교사효능감, DAP 신념을 포함시켰으며, 이수 교과목은 다섯 가지 교과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행동주의 교사신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에서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과 영역별 성적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신념은 보육기초, 영유아교육, 건강ㆍ영양 및 안전 교과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신념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친 개별 교과는 수과학지도 및 실습, 보육교사론, 유아보육 교재교구개발 및 실습과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curriculum courses at college. The subjects were 187 student attending a department of child care education at D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beliefs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a modified version of TBTI(teacher belief test inventory: scale for developmental perspective), TEBI(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aled for teacher efficacy), and TBS(teacher belief scale: scale for DAP belief).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haviorism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Secon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belief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oundation of child care’, ‘infanc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 healthㆍnutritionㆍsafety’ subject matter areas. Thir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belief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ubject matter, such as ‘mathematics &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 care education for teaching’, and ‘instruction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17-141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6.6.1.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정서발달과 관련된 영아특성변인과 어머니 특성변인을 확인하여 영아발달에 적극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변인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영아특성변인으로 성, 연령, 출생순위, 기질을 선정하였고, 어머니 특성변인으로는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애착, 부모역할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와 수원시에서 지원하는 지역사회 서비스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만 1, 2세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67쌍이었고,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정서발달은 교사가 평정하였고, 영아특성변인과 어머니 특성변인은 어머니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는데, 먼저, 연구대상 및 변인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상관분석을 하였고, 다음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아특성변인 및 어머니특성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영아의 특성변인 중에는 성, 연령, 기질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특성변인 중에는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애착 및 부모역할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아의 성과 연령, 기질의 적응성, 긍정적인 기분은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특성변인 중에서는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애착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infants' communicational ability, emotional development, infants' variables and maternal variables. Even though there are lots of variables to have an effect on the infants' development, we have paid attention to the infants' and maternal relationship. So we collected and examined their's relationship.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ixty-seven mothers and their 1- to 2-year-old infants who lived in Suwon City. We used Child Development Scale(CDS),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Parenting Behavior Scale, Toddler Care Questionnaire,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PPC), and Attachment Scale to measu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ercentages, mean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between infants' and maternal variables with SPSS Program 18.0. As a result, 1 and 2-year-old infants' and their materna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l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m. Especially, infants' sex, age, temperament were related infants' communicational ability and emotional development. Second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 attachment, and parenting competence were related infants' communicational ability and emotional development. Third, the effect of infants' sex, age, temperament on infants' communicational ability and emotional development were more influential than any other infants' variables. Finally,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 attachment on infants' communicational ability and emotional development were more influential than any other maternal variabl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57-8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1.11.4.010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보건ㆍ안전체험실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1곳의 6세반, 7세반 유아 각각 39명으로 총 78명이었다. 78명의 유아들은 인근 D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상설 「어린이 보건ㆍ안전 체험실」에서 보건ㆍ안전에 관한 유아 교육 프로그램을 체험교육으로 받았으며, 4회에 걸쳐 11개 영역의 학습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린이 보건ㆍ안전 체험실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은 놀이안전지식 획득과 안전지식 획득에 있어 유의한 교육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한 검증 결과, 즉 안전문제 해결사고능력에서는 유의한 교육적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의 교육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s on child health and safety experience class. The subjects were 78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one educare center in Gyeonggi Province(39 six-year old children, 39 seven-year old children). And the subjects were made to act for four session in eleven safety areas. The results of this child health and safety experience class were checked twice by means of a post test, and were measured by the play-safety knowledge test, safety knowledge test, the safety problem-solving thinking test, self-complacency report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ing of the play-safety knowledge on child health and safety experience clas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pre-and post-test sores on play-safety knowledge. Second, the rating of the safety knowledge on child health and safety experience clas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pre-and post-test sores on safety knowledge. Third, the rating of children"s safety problem-solving thinking ability on child health and safety experience class were not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pre-and post-test sores on children"s safety problem-solving thinking ability. Finally, a feeling of satisfaction on child health and safety experience class were found on a high level in a ag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05-121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5.5.1.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서울시 및 경기도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42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인간애,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관계, 직무수행, 창의·인성으로 구성된 보육교사의 인성 척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 척도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8.0을 이용하여 Pearson적률 상관분석 및 단계적 투입법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 각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개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중 원아들과의 활동, 대인관련, 개인관련, 그리고 직무스트레스 전체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인성은 업무관련, 행정적 지원, 경제적 안정, 그리고 직무스트레스 전체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애는 업무관련, 개인관련, 그리고 직무스트레스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인성 요인 중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관계, 창의인성이 스트레스 대처유형 중 적극적 대처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트레스 대처유형 중 소극적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창의인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인성교육 강화와 인성교육의 내용구성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on Teacher’s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A total 242 childcare teachers were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ree questionnaires in Seoul and Gyeonggi. Personality self assessment scale consists of five areas, with humanity, positive self-concept, social relations, performance of teacher’s duties,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s Job Stress scale and Stress Coping.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by SPSS 18.0.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eacher’s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Next, humanity, positive self-concept,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indicated effective variance on Teacher’s Job Stress. Finally, positive self-concept, social relations,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indicated effective variance on Stress Coping. In particular, creative personality was indicated effective variance on in Stress Coping. Discussions included teacher’s personality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s content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some respects and leave positive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child care field. First, the Personality is made up the humanity, positive self-concept, social relations, performance of teacher’s duties,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there are the relation among each sub-factors,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econd, it is emphasized that the child care teacher training and program should be execu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29-14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5.15.3.003서지정보 닫기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fants and young childrens" educare curriculum based upon reviews of literatures and the recent trends. There were recently the curriculum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This mod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also significant mean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in educare center. The specific contents explored in this were the recent trends toward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study direction on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 educare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 and content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in educare center. First, this study presented infant curriculum for 0-12 months, toddler curriculum for 13 months-two years old, and preschooler curriculum for three-five, six years old. Second, the objective areas and contents of curriculum were composed of the six developmental domains such as the aesthetic domain, the affective domain, the cognitive domain, the language domain, the physical domain, and the social domain. Finally, the main contents by the six developmental domains was selected according to principle of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39-62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4.4.2.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에 적합한 영아보육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으로 어머니-영아 관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아상호작용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 이를 통해 구체적인 모아상호작용의 유형을 확인하고 걸음마기 영아의 발달에 적합한 보육을 지원할 수 있는 모아상호작용의 방법을 단계별로 제안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방법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는 모아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연구 동향 고찰, 모아상호작용의 유형 확인, 발달에 적합한 모아상호작용의 단계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발달에 적합한 모아상호작용의 단계는 어머니 주도형의 모아상호작용단계와 영아 주도형의 모아상호작용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는데, 어머니 주도형의 모아상호작용단계는 긍정적 정서 나타내기, 애정표현하기, 모델보이기, 촉진하기, 지지하기, 달래주기, 호기심 충족시키기,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주의 환기시키기, 비계설정하기, 함께 구성하기 및 참여하기, 도움주기, 언어로 설명해주기, 제안하기, 질문하기, 지시하기, 규칙 및 습관들이기, 갈등해결하기, 성취감주기, 피드백 주기의 순서로 상호작용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아 주도형의 모아상호작용단계는 긍정적 정서 나타내기, 애정표현하기, 인정하기, 민감하게 대처하기, 함께 구성하기 및 참여하기, 호기심 충족시키기, 비계설정하기, 도움주기, 피드백 주기의 순서로 상호작용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ly approach on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to ascertain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styles and to suggest the stage of mother-toddler interaction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educare. For the purpos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udy trends on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mother-toddler interaction styles, stages of mother-toddler interaction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Based upon the preceding literature review about the study issues, it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stages of mother-toddler interaction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were devided into maternal initiative interaction stage and toddlers' initiative interaction stage. First, maternal initiative interaction stage were progressed in order to positive emotion expressing, affection expressing, modeling, facilitating, supporting, comforting, curiosity satisfying, protecting from danger, turning attention, scaffolding, co-construct and participating, providing direct help, explaining in words, suggesting, asking, directing, rule and routine activiting, conflict solving, providing achievement, providing feedback. Next, toddlers' initiative interaction stage were progressed in order to positive emotion expressing, affection expressing, acknowledging, seneitivelly coping with a situation, co-construct and participating, curiosity satisfying, scaffolding, providing direct help, providing feedback.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7-48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9.9.1.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기본보조금 제도의 특성과 제도의 실시 배경 및 과정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 제도의 실시로 인해 제기되어질 수 있는 많은 논쟁점들에 대하여 숙고해보았다. 이를 통하여 민간시설을 포함한 전체 보육시설에 대한 추후 정부의 보육재정지원의 합리적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기본보조금의 기본성격의 규명을 통한 기본보조금의 효용성, 지원방식과 지원대상의 문제, 기본보조금 투입의 서비스개선 비용 효과, 기본보조금의 관리방안의 효율성, 그리고 기본보조금제도의 실시로 촉발된 보육료 자율화의 공론화와 보육의 공공성의 관련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민간의존도가 높은 보육현실에서 민간시설 지원제도에 대한 논의는 추후 보육재정지원방식 전반에 시사점이 크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government subsidies for a private daycare center and to discuss in issues of that. Six important issues regarding basic government subsidies for a private daycare center were discussed in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government subsidies for a private daycare center, method of financial support, receiver of financial support, service improvement effect, management efficiency, self-regulation of educare expenses and the publicness of educ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15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9.9.1.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가정 및 국가 보육발전을 위한 빙안으로 가정보육시설의 전문성 향상과 맞벌이 부모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특화된 가정보육시설의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에 가정보육시설의 국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현재 가정보육시설을 위한 전체적인 진단 과정에서 가정보육시설의 현황, 위상,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며, 질 높은 가정보육시설의 운영 방향은: 무엇인 지를 점검해보고, 질 높은 가정보육시설로의 도약을 위해 마지막 파트에서는 미래 보육발전을 위한 가정보육프로그램의 방향으로, 보육의 책무감적 측면에서 부모의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인 부모의 욕구와 바람 중심의 one-shot system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즉, (1) 원아 확보를 위한 임신부 대상 예비부모교육 및 출산 지원 프로그램, (2) 산후휴가 동안 영아를 위한 가정육아 지원 프로그램, (3) 부모의 안정된 직장 생활을 위한 보육프로그램, 영아ㆍ토들러를 위한 발달에 적합한 다문화 가정보육프로그램, 유아를 위한 발달에 적합한 가정보육프로그램, (4) 영아전담, 시간연장형, 휴일 등의 특수 보육 프로그램 등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 professional improvement of the home-based educare centers and development of the specified home-based educare program into a plan for a family and national educare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reviewed the theoretical approach, that is, the research trends, present condition and phase, strength and weakness, and a managerial direction of the home-based educare centers. In finally part, this study was to provide parent needs and desires-centered one-shot system program into home-based educare program for the educare development in 21C. That is, proposed (1) a preparent education and birth support program for a pregnant woman, (2) home-care support program for the infants during a maternity leave, (3)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lticultural home-based care program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home-based care program for the stable parent"s place of work, and (4) the special educare program including the infant whole responsibility, the prolongation of a time, and a holiday educ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1-24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07.7.2.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과 영아발달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이며,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모아상호작용양상과 모아상호작용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가구월평균소득 120%이하의 가구원 중 수원에 거주하는 만 1,2세 영아와 어머니 57쌍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연구기간은 2009년 7월 6일~12월 24일까지이며, 주 2회, 각각 1시간씩 6개월 동안 총 23회기, 46시간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은 교사가 제공하는 3개 영역수업에서 어머니 역할 코칭 프로그램인 모아상호작용단계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아발달척도, 모아상호작용양상척도, 모아상호작용유형척도를 사용하였고,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은 영아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운동발달, 자조기술발달, 의사소통능력발달, 인지발달에서 각각 유의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은 모아상호작용양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어머니의 행동반응에서 유의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모아상호작용 프로그램은 모아상호작용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긍정적 상호작용과 비판적 상호작용에 있어서 각각 유의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program and toddler development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other-toddler interaction program for toddler development, mother-toddler behavior response, and mother-toddler interaction behavior styl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fifty-seven mothers and their 1- to 2-year-old toddler located in Suwo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6 to December 24, 2009, and a total 23 sessions(46hours) mother-toddler interaction program was conducted 2 times a week for 1 hour each during 6 month. Mother-toddler interaction program was applied maternal role coaching program in teacher's class. To measure, Child Development Scale(CDS),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Scale(MIPIS), and Caregiver Interaction Scale(CIP) were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program and toddler development. Especially, it changed significantly in physical motor development, self-help development, communication development, cognition developmen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mother-toddler interaction program in mother-toddler behavior responses. Especially it changed mother's behavior reaction. Finally,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mother-toddler interaction program in mother-toddler interaction style. Especially it changed positive interaction and punitive interaction. Overall, mother- toddler behavior response has induced some changes to desire interaction such as reducing punitive interaction and detached interaction in mother-toddler interaction styl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보육학회
    * 페이지 : 67-94
    * DOI :
    * UCI : G704-SER000008863.2011.11.2.004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