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지은정-]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24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본 논문은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를 경험한 해외 국가에서 어떤 자원봉사 지원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유형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검토하여 우리나라 고령자 정책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비교적 관점에서 문헌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OECD, EU국가는 활기찬 노화를 균형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자원봉사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독일, 프랑스, 미국, 일본정부는 고령자 봉사 프로그램을 설계운영하거나 지원하고, 금전적 지원과 법적 지원을 제공하며 적극적으로 고령자의 사회참여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고령자 정책은 대부분 소득보장과 일자리, 건강영역에 집중되어 있고, 사회참여 특히 자원봉사지원은 주변적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노인정책의 패러다임을 활기찬 노화로 전환하여 자원봉사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is necessary for elderly policies. The paper investigates which volunteer work supports are carried out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are by the type of foreign countries that have experienced aging of the elderly earlier tha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nd the European Union countries are highlighting the elderly volunteer work in order to achieve the concept of active aging. In particular, the governments of Germany, Franc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designing a program, and providing legal support and monetary assistance to support the voluntary work of the elderly. However, elderly policies in South Korea are mostly concentrated with income security, employment and health. Unfortunately, volunteer work support has been peripheral among the government poli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volunteer work of the elderly in South Korea by having the elderly policy’s paradigm shift toward active ageing.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269-296
    * DOI : 10.15855/swp.2014.41.2.269
    * UCI : G704-001012.2014.41.2.010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는 매우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가 될 것이 예측되며, 조기퇴직과 근로계층감소에 대한 대책 및 연금개혁 또한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OECD 국가의 연금개혁동향의 개괄적 특징 및 긍정적부정적 (기대)효과를 살펴본 후, 한국노동패널 3~7차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완전퇴직/점진적 퇴직현황과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50세 이상 중고령자의 약 1/4명은 퇴직 후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근로를 지속하였고, 퇴직을 포함한 여러 종사상 지위의 재취업단계를 거친 완전퇴직자의 98%는 여전히 구직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역시 노동시장 참여여부의 전통적 퇴직개념이 부적절하며, 임시일용직 또는 자영업이 중고령자에게 근로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점진적 퇴직자의 바뀐 종사상 지위의 지속기간이 대부분 1~2년으로 짧다. 따라서 다양한 퇴직형태에 대한 고려 및 소득공백기간을 최소화하고 근로의지와 능력이 있는 중고령자의 근로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점진적 퇴직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점진적 퇴직지원의 주된 방안인 부분연금제도는 대상연령을 연금수급연령이하로 하고, 급여수준은 연금과의 연계선상에서 수리적으로 공정하게 설정하되, 실질적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부분연금제도만 단순히 도입하는 것으로서는 부족하며, 이에 대한 사회경제전반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노동시장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중고령자의 양적질적 고용확대를 보장해야 하며, 더불어 점진적 퇴직지원이 비자발적 조기퇴직경로 혹은 고령자의 파트타임근로를 강요하는데 오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reviewed pension reform's overall characteristic and (anticipated) positive?negative effect in OECD countries's and then analysed middle-old age's retirement transition and determinants of full/gradual retirement through the 3~7th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considering that Korea has been aging society quickly and it is necessary to suggest not only solution of early retirement and working age reduction but also pension reform. As a result of this study, about 1/4 of 50 years and older have been continuing to work through various pathways after retirement and 98% among fully retired older who passed by re-employment step of occupational status including retirement are still searching for jobs. This showed that it is also inappropriate to typical retirement concept itself on the lines of labour market participation in Korea and part-time/temporary work or self-employment have been used by means of alternatives of maintaining works for middle-old ages. However, the duration of changed occupational status of gradual retirees is mostly only 1~2 yea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gradual retirement to minimize a term of income insecurity and promote the work of the old ages who have will and capacity of work. Most of all, partial pension system which is main program of gradual retirement, should make the rules that beneficiaries are those who age less than pensionable age and benefit levels should be actuarial fairness together with pension system and provide substantial help. But, the introduction of partial pension system is not the only way to solve and needs overall social?economic approach. Especially guarantee the increase of quantitative?qualitative employment for middle-old ages linking labor market policy and supporting gradual retirement not ought to be abused to force the part time works and early retirement route against their own wil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35-168
    * DOI :
    * UCI : G704-000330.2006.58.3.002서지정보 닫기
  • 지금까지 자영업은 노동시장연구에서 배제되거나, 연구가 수행되더라도 자영업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영업자는 일을 하면서도 빈곤위험에 크게 노출된 집단이다. 그럼에도 자영업자의 경제적 심각성에 주목한 논문은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을 통해 자영업자의 취업빈곤 실태와 취업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영업자의 빈곤율이 임금근로자보다 평균 3.2배 높다. 특히, 임시일용직의 빈곤위험이 높지만, 자영자의 빈곤율도 높다. 둘째, 자영업자의 빈곤정도는 임금근로자보다 더 심각하다. 셋째, 자영업자가 취업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24%이지만, 빈곤층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53%에 이른다. 취업빈곤층의 절반이 자영업자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상용직에 비해 임시일용직과 자영자의 빈곤위험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임시일용직뿐 아니라, 자영자 역시 주된 정책대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말해준다. 다섯째, 고졸이하 중고령층 자영업자, 그리고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중고령 자영업자의 취업 빈곤율이 다른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한 정책개입이 시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Until recently, self-employment workers are often excluded from labor market studies. Most relevant studies has focused on the determinants of entry into self-employment. However, the self-employment is highly exposed to poverty risk although they are working. Despite tha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economic severity of the self-employed.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self-employed's in-work poverty and the determinants of in-work poverty among the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employed people experience 3.5 times higher in-work poverty risk than employees. Especially, the ratio of own-account self-employed people living below the poverty line is similar with that of even precarious employees. Second, the extent of poverty of self-employment is more serious. Third, the proportion of self-employed among working poor is about 53% although self-employed workers are composed of only about 24% among working people. Fourth, temporary employees and self-employed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poor than full time employees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mplies that it is desirable to regard the self-employed as the policy target group along with temporary employees . Fifth, the ratio of in-work poverty of self-employed aged 40-64 whose education level is low and the self-employed aged 40-64 who work in low-skilled service sector a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It implies that measures to alleviate their economic difficulties are urgently need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47-174
    * DOI : 10.20970/kasw.2013.65.1.007
    * UCI : G704-000330.2013.65.1.006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자영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자영업내 소득격차도 크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자영업 소득불평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4차 자료를 통해, 일반화된 엔트로피지수로 자영업 소득불평등을 측정하고 불평등 요인과 추세를 분해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 자영업 근로소득 불평등은 매우 높으며, 자영업내 소득양극화가 심각해지고 있었다. 둘째, 자영업 근로소득 불평등의 주된 요인은 고용형태, 교육수준, 연령집단, 사업체규모 그리고 산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형태에 따른 고용주와 자영자 집단의 상대소득변화효과가 불평등 증가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크다. 교육수준과 연령집단, 사업체 규모에 따른 불평등 증가는 집단내 불평등(순효과) 증가의 기여도가 가장 크고, 집단구성의 변화효과도 불평등 악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Self-employment rate is high in Korean labor market, while the income gap within self-employed is also high. Although, there are very few studies that addressed on the income inequality of self-employed. Thus, this study has measured the earnings inequality of self-employed by generalized entropy indices and decomposed inequality factor and trend. The empirical study is based on Korea Welfare Panel Study wave 1~4. The main result from this analysis is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ly, earnings inequality of self-employed is severely high and the earnings polarization within self-employed has become more serious in Korea. Secondly, this study provides the evidence that the main factor of earnings inequality of self-employed is the status of self-employment, education level, age group, workplace scale and industry. Thirdly, the contribution of relative changes in the incomes of the status of self-employment is the largest to the inequality trend. In terms of education level, age group and industry, the increase of inequality within group(pure effect) mainly attributes to the rise of earnings inequality of self-employed and the change effect of group composition contributes to deterioration of inequal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5-83
    * DOI : 10.20970/kasw.2012.64.2.003
    * UCI : G704-000330.2012.64.2.013서지정보 닫기
  • 최근 퇴직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고 있지만, 강제퇴직에 대한 실증연구는 많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에서 고령자 고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연공서열형 임금구조로 지적되기 때문에, Lazear의 연공서열형 모형(1979)은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강제퇴직을 설명하는데 시사점이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논문은 Lazear 모형이 우리나라 강제퇴직을 설명할 수 있는지, 고령화연구패널조사(1∼2차)를 통해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임금과 근속기간의 상호작용이 강제퇴직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임금소득 증가율이 높은 근로자는 근속기간이 길수록 강제퇴직률이 높아지지만, 임금소득 증가율이 낮은 근로자는 근속기간이 길어도 계속 근로하여, Lazear 모형을 지지한다.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retirement recently, very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addressed on mandatory retirement. In Korea, several scholars suggest that the seniority systems may be the main reason that employers have been reluctant to hire older workers. Therefore, the seniority system that Lazear(1979) proposed has significant implication on explaining mandatory retirement in Korea.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niority system that Lazear proposed can explain the retired employees' mandatory retirement. The empirical study is based on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ave I-II. The main result from this analysis is that interaction between wage and job tenure on mandatory retire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mployees with high wage growth rates, the probability of mandatory retirement rate is higher as their job tenure is longer. On the other hand those employees with wage growth rates, that is lower although their job tenure is longer. This study supports the assertion of Lazear(1979).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95-327
    * DOI : 10.16999/kasws.2011.42.4.295
    * UCI : G704-000143.2011.42.4.014서지정보 닫기
  • 고령근로자는 생산성이 낮아서 기업의 부가가치창출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크다. 그러나 이를 지지할만한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생산성은 연령 외 인적자본의 축적(교육, 경험, 훈련 등)에도 영향을 받는데 이와 같은 요인을 고려한 논문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한국노동연구원의 5차 사업체패널자료(2013년)를 활용하여 교육훈련이 인력고령화와 생산성의 관계를 완충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업체 내 고령자 비율과 상관없이 노동생산성이 인건비보다 높아서 고령근로자가 기업경영에 부담이 되는 것으로 보기 어려웠다. 또한 인력고령화가 노동생산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교육훈련을 통해 생산성을 보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는 교육훈련을 확대?내실화하여 기업의 생산성도 높이고 고령자의 고용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Older workers are generally regarded as less productive than younger workers. This negative notion about old people limits their job opportunities.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is hypothesis. Productivity depends on a person’s abilities (physical and cognitive abilities) as well as on human capital (education, experience, and training).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focused on this point.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focused on the direct relation between aging and productivit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workforce and productivity using the fifth Workplace Panel Survey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no evidence that older workers’ wages exceed their contribution to labor productivity’ wages exceed their contribution to labor productivity. Second, while an aging workforce is negatively related to low productivity, education and training offsets this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m.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xpand and reinforce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a firm’s productivity and to increase older workers’ employment rat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45-270
    * DOI :
    * UCI : G704-000662.2016.32.2.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의료비 지출이 가입자에게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의료비지출자의 종사상 지위변화와 가구내 소득·소비실태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의료비지출에 미치는 요인과 이와 같은 의료비가 종사상 지위변화 및 소득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노동패널'의 4차 연도 부가조사인‘건강과 은퇴’응답자 가운데 의료비 지출자 4,215명의 자료를 5차 연도와 병합하였다. 분석결과 의료비지출자의 근로소득대비 의료비는 평균 5.5%로 나타났으나, 저지출 집단과 고지출 집단과의 격차가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상대적 저소득그룹의 의료비 부담이 가구근로소득의 1/3을 차지하여 저소득계층은 의료적으로 취약할 뿐만 아니라 의료비부담이 과중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의료비 고지출 집단은 사적이전소득이 높아, 의료비가 발생할 경우 가족 및 친지로부터 의료비 등의 지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의료비가 발생할 경우 금융소득 및 부동산을 처분하여 의료비를 충당하는지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의료비 지출자 가운데 종사상 지위는 14.4%만이 변화하였으며, 의료비 지출의 평균이상 여부가 종사상 지위변화의 주요 요인이 되었다. 즉, 의료비 저지출 집단은 건강이 상대적으로 나쁘지 않음을 의미하여 의료비의 비중이 낮을 뿐 아니라, 이와 같은 요인이 종사상 지위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의료비지출이 높은 그룹은 건강이 악화되어 종사상 지위까지 변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이와 같은 종사상 지위변화는 총소득 변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쳐, 종사상 지위가 변화된 경우 총소득이 감소하여 가구내 경제상황이 더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나라 건강보험은 질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과 함께, 경제활동 축소 및 중지에 따라 발생하는 소득손실을 보장하는데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change of the occupation and the income of the subscriber of the medical expenditure due to the economic influence on them. The data of this study are based on 4,215 of medical cost payers among respondents of the survey on "Health and Retirement", which was the fourth additional research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medical cost is 5.5% of the income. The ratio of the medical cost to an earned income is highly different between low-income group and high income group. For the low income group, the medical cost reaches up to 1/3 of the total family income. That proves that the medical cost si a heavy burden on them. The group with the high medical expenditure seems to be supported by their own private property and other family members whenever it is needed. But it doesn't show the exact sources of the property, which includes the fund from the interests and real estates. On the other hand, only 14.4% of the subscribers changed their job status on the 5th year, and 85.6% of those kept their job status until the 5th year from the 4th year. This shows that the amount of the medical cost could be the important factor for them to change their job; for example, it is crucial whether the medical expenditure is over the average rate or not. Furthermore, the change of the occupation caused by the medical cost has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gross income. It makes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family get worse. Therefore, the health insurance in Korea is lack of the compensational function, which substitutes the family income reduced by the change of the job status due to the high medical cos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5-35
    * DOI :
    * UCI : G704-000330.2004.56.3.002서지정보 닫기
  • 평균수명이 연장되는 가운데, 퇴직연령은 53세(평균)에 불과하여 퇴직 후 보내는 시간이 전체 인생의 40%에 이른다. 따라서 퇴직 시기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도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아직 노후설계는 사회적 핵심논제가 아니고 인식수준도 낮아서 준비되지 못한 상태로 노년을 맞는 계층이 많다. 그러나 준비된 노후생활을 영위하고, 사회적으로도 고령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노후설계정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을 뒷받침할 만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나마 수행된 연구도 대부분 노후준비진단지표, 준비 실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보편적?균형적 관점에서 노후설계서비스를 진단하고 서비스 체제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는 사회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그리고 보편적?균형적 노후설계서비스 구축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노후설계에 개입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 생애에 걸쳐 이뤄져야 할 노후설계가 특정 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연령계층별로 보더라도 50대 이후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재무영역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노후설계서비스의 핵심인 연계서비스와 사후관리는 거의 실시되지 않는다. 보편적?균형적 관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노후설계보다는 생애설계로 접근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100세 시대에 장수위험으로 인한 경제문제도 중요하지만, 비재무 영역(여가, 평생교육 등)도 중요하므로 재무와 비재무영역을 균형적으로 제공하고, 연계서비스와 사후관리서비스도 제공해야 노후준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tirement age is just 53 years old on average, while the life expectancy has been lengthened in Korea. Most people may live nearly 40% of their life after retirement. Thus, it is important how they spend it in their old age. A later life planning policy is necessary to prepare for old age,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and for a reduction of negative impacts of ageing from a social perspective. Despite that, the later life planning service is not a critical social issue and the social cognition about it is low. However, there is some research related to thi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tries to exam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later life plan service according to universal?balanced viewpoints. Moreover, it intends to provide a useful policy im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following: Firstly, it is essential for government policy for life design in that the social participation culture in Korea has been less developed and social infrastructure has been insufficient. Secondly, this service is only provided to a special class even though it should be provided to every citizen. In addition, it just focuses on people over fifty, although it has to serve all age groups. Also, the later life planning service has been focused on a financial service and it has not created a link service, along with a follow-up service, which are the main points of the later life planning service. Thus, it should be provided to all nations including the social vulnerable group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encourage the life design rather than later life design service. And this service should be balanced between financial and non financial aspects, since leisure, lifelong education and volunteer activities are also essential.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249-283
    * DOI :
    * UCI : G704-000662.2013.29.4.003서지정보 닫기
  • 최근 시민참여와 시민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시민서비스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가운데 배척되는 경향이 있다. 활동비 지원 자원봉사에 대한 우려가 큰 가운데 시민서비스가 자원봉사의 기본정신과 다르다는 인식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반적 통념처럼 시민서비스가 자원봉사의 대척점에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자원봉사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시민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시민서비스는 자발성과 무보수성의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시민서비스가 시민의식을 훼손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원봉사 가운데 활동비를 지원받는 단기?간헐적 활동과 의무봉사가 더 큰 문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시민서비스와 자원봉사는 자발성, 무보수성보다는 구조적 특성 즉, 목표, 지속성, 공식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나아가 미국에서 시민서비스가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활동비?수당을 지원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참여자의 삶의 질 향상을 이끌고 사회적 인정보상, 교육지원을 통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자긍심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interest in civic engagement and civic service is increasing. However, in Korea, few studies have focused on civic service. This might be on account of general awareness that civic servic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basic spirit of voluntary work, while interest in paid volunteer work is on the rise.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civic service is the real antipode of volunteer work. Under this kind of critical viewpoi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civic service based on the attributes of voluntary work and civic servic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contrary to common belief, civic service has not been established to go beyond the principle of voluntary and unpaid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work. Rather, some voluntary work has broken out of principle of voluntary activities. Secondly, civic service and volunteer work might be characterized as different not due to spontaneity and unpaid service b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oal, continuity and formality. Furthermore, the reason for the soft landing of civic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is not because they have supported the reimbursement of expenses and the provision of stipends. Rather, it is because their long-term activities have promoted real community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finding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and they have derived a sense of pride and satisfaction from social recognition and rewards for their contribu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31-63
    * DOI : 10.16999/kasws.2014.45.2.31
    * UCI : G704-000143.2014.45.2.01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OECD 선진자본주의 10개국 공적연금의 노인 빈곤완화효과를 복지체제를 감안하여 이중차분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유럽의 고령자 패널인 SHARE(waveⅠ~Ⅱ)와 미국의 HRS(2004~2006)이다. 단순 이중차분 분석결과, 연금을 계속 수급하지 못하는 노인의 빈곤율은 악화되지만, 연금수급자의 빈곤율은 급감하였다. 이중차분을 통한 공적연금의 빈곤완화효과는 45.6%로, 기존의 pre/post방식의 빈곤완화효과보다 다소 크다. 하부집단으로 보면, pre/post 접근으로 측정한 보수주의 체제의 정책효과는 이중차분에 비해 과소평가되고, 사민주의와 자유주의는 과대평가되었다. 이중차분 회귀분석결과, 경제성장률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공적연금은 노인의 빈곤완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지체제에 따라 공적연금의 빈곤완화효과가 다르다. 자유주의 체제에 비해 보수주의와 사민주의체제 공적연금의 빈곤완화효과가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states and the poverty. Yet,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addressed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using difference in difference(DID). This study aims to analyze poverty alleviation effect for the old aged of public pension in 10 OECD countries using DID considering welfare states regimes. The empirical analyses are based on panel data of individuals aged 50 and over from two sources: SHARE in Europe(wave I~II) and HRS in USA(2004~2006). As a result of simple DID,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poverty rate of the old aged who has not been received the pension is increased, while the poverty rate of pensioner is sharply decreased. The anti-poverty effect of public pension using DID is 45.6% which is bigger than that of pre/post approach. The policy impact used by pre/post approach in conservative welfare regime is underestimated while those in liberal and socialist regime are overestimated. In last, GDP growth rate has not significant while public pension contributes to poverty alleviation effects of the old aged. Poverty alleviation effects of public pension are also varied with welfare state regimes.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s of public pension in conservative welfare and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regime are significantly bigger than that in liberal welfare state regim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263-293
    * DOI : 10.16999/kasws.2011.42.4.263
    * UCI : G704-000143.2011.42.4.010서지정보 닫기
  • 베버리지 보고서는 세계 제 2차대전 이후 국내외의 지지를 받아, 영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의 복지정책에 큰 영향을 미쳐왔지만, 그의 사회보장 원칙과 가정에 대한 비판도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물론 베버리지 사회보험의 원칙과 가정이 실현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이러한 비판가운데 일부는 잘못된 이해와 해석, 베버리지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실행된 정책 혹은 최근상황을 기준으로 평가한 것도 있다. 이는 베버리지가 받아야 할 비판이상의 부당한 평가 역시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베버리지가 사회보장제도를 고안했을 때에 적합했던 원칙과 가정을 비판하기보다, 변화된 상황을 고려하여 복지국가의 이념과 가치를 지키며, 사회적 연대와 보편주의를 고수할 수 있는, 사회보장의 원칙과 가정마련에 주력하는 것이 더 건설적이라고 생각한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75-208
    * DOI :
    * UCI : G704-000330.2006.58.1.011서지정보 닫기
  • * 본 연구를 위해 유익한 조언을 해주신 심사위원님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Thoughts of basic income maintenance systems for old agein Latin Americas which have the Defined Contribution Syst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89-126
    * DOI :
    * UCI : G704-000662.2006.22.1.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령자 노동지위가설과 사회적 지위획득모델의 한계를 보완하고 통합하여, 노후 노동지위에 미치는 생애과정의 메커니즘을 조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60세 이상 남성근로자의 노동지위는, 직종은 대부분이 농어업이거나 단순노무직이고, 고위직?(준)전문가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종사상 지위도 상용직과 고용주는 4.4%에 불과한 반면, 약 70%가 임시일용직과 자영업이며, 약 60%는 연 천 만원 이하의 저임금근로자였다. 대부분의 고령자는 노후에도 고위직을 유지한다는 노후풍요가설이 적용되는 경우는 소수에 불과함을 말해준다. 둘째, 약 20%가 5천만원 미만의 재산을 가지고 있는 반면, 9.3%는 6억 이상의 재산을 소유하여 격차가 크다. 노후풍요가설처럼 대부분의 사람이 노후에 필요한 적절한 부를 축적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재산은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커서, 부의 축적은 사회적 지위획득모델이 더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교육수준에 따라 생애노동경력뿐 아니라, 노후 노동지위가 달랐다. 넷째, 경로분석결과, 교육수준은 생애노동경력과 재산을 매개로 노후 노동지위에 영향을 미쳤다. 즉,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은 생애노동경력이 불안정하고, 재산이 적으며, 노년에도 일은 하지만 저임금, 낮은 사회적 직종, 불안정한 고용형태에서 근무하였다. 생애불평등이 노년에도 지속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비정규직과 영세자영업 확산을 축소시키고, 불안정 고용이 덫이 되지 않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illuminates the mechanism of life course on labor status of old age complementing the limits of labor status hypothesis of old age and model of statues attainment and combining them. The main results from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in four points. Firstly, older men mostly engag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y or low-class occupations. A very small portion held high level or professional occupations. Regular full-time employees or employers were only 4.4% while, about 70% of older employees were temporal employees or self-employed. This shows that the elderly affluence hypothesis which alleges that most older men maintain high level occupations, applies to only a few. The second finding is that wealth differentials are sizable: about 20% of older workers own less than 50 million won, while 9.3% possess more than 600 million won. Therefore, it is not safe to claim that most people have accumulated enough wealth for old age according to the elderly affluence hypothesis. This gap being mainly reflected by education level, suggests that the model of status attainment is appropriate as wealth accumulation hypothesis. Thirdly, educational level determined not only lifetime careers, but also labor status of old age. Fourthly, using path analysis, the last finding is that education had effect on labor status of old age through lifetime career and wealth. That is, old men who have low education level had unstable lifetime career and own less wealth. They work in low income job, low social occupations and unstable occupation type in old age. This shows that life inequality continues until old age. Therefore, the in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y, spread of part-time work and small scale self employees should be discouraged. Furthermore, related polic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being caught in unstable work.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23-357
    * DOI : 10.20970/kasw.2009.61.1.013
    * UCI : G704-000330.2009.61.1.009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정책은 대부분 노인의 소득보장을 중심으로진행되고, 사회참여를 위한 정책 기반은 취약하다. 최근에는 노인의 사회참여 특히 자원봉사를 활성화시키고자(활동비 지원 자원봉사 강화 등) 하지만,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자원봉사를 잠식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노인일자리사업도, 자원봉사를 확대하는데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논란이 되고 있는 활동비 지원 자원봉사의 현황 및 문제점, 노인일자리사업과 자원봉사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 자원봉사는 무보수성, 자발성을 여전히 강조하지만, 직간접적으로 경제적 지원을 하는 자원봉사도 상당부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초기에는 노인일자리사업이 자원봉사를 일정부분 잠식한것으로 보이지만 자원봉사 전체 지형을 바꿀 정도는 아니다. 또한 노인일자라사업에서 중복참여자의 비율이 높음을 고려할 때, 최근으로 올수록 자원봉사자의 노인일자리사업 이행률이 높지 않고, 전체적으로 노인일자리사업과 자원봉사의 상관성을 찾기 어렵다.

    Despite rapid population ageing in Korea, most of policies have focused on income maintenance programs of the aged, while policies for social participation have been less developed.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intends to encourag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eniors, especially, voluntary activities through expanding financial incentives such as stipends, meals while on duty and reimbursement for transportation to offset expenses incurred for performance. However,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encroaches on the elderly voluntary work. Thus it has become an obstacle to expand not only senior employment program but also voluntary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paid voluntary work's current situation, problem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and voluntary activities. The main result from this analysis is summarized in two points. Firstly, most volunteerism still emphasize unpaid and spontaneous voluntary, but there are considerable proportion of financial incentives,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ly, in the beginning of the elderly job creation program, the voluntary work of the old was partly reduced. However it cannot change the whole voluntary work's frame. In ad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high rate of duplication among participations, the transition from the voluntary activities to employment program may not be huge. It is hard to find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m.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31-61
    * DOI : 10.16999/kasws.2012.43.4.31
    * UCI : G704-000143.2012.43.4.001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2014년 전국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경제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의 상호작용이 우울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는 노인취업률이 높지만(32.0%), 취업을 제외한 비경제영역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57.5%에 불과하였다. 노인의 42.5%는 지난 1년 간 사회활동을 전혀 하지 않은 것이다.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가 상당히 낮은 실태를 말해준다. 둘째 사회활동의 조합으로 보면, 경제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역할보완관점을 지지한다. 셋째, 사회활동에 따라 우울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경제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같이 하는 노인의 우울증이 15.9%로 가장 낮은 반면, 어떤 사회활동도 하지 않는 노인은 54.7%에 이르러 심각한 수준이었다. 넷째, 회귀분석결과 경제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하게 나타나 역할강화관점을 지지하였다. 노인의 경제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분절적으로 지원하기 보다는 통합적인 정책을 실시하는 것이 노인복지 향상에 더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teractional effect of paid-work and non-paid social activities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Data from the 2014 Older Adults' Life Survey implemented by South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analyzed. 32.0%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engaging in paid work, and 57.5% participates in unpaid social activities. 42.5% of the older adults did not participate in any social activity during the previous year. The degree of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s varied in relation to different levels of social activity, as expected from literature review. Incidence of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s who participated in both paid-work and non-paid social activities was the lowest among the 4 groups (15.9%), and depression rate of the older adults who did not participate either in paid-work or non-paid social activities was the highest among the 4 groups (54.7%).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also discovered that the interaction term of paid-work and non-paid social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s, supporting the role enhancement perspective. Policy suggestions on integrating paid-work and non-paid social activities rather than segmented policy to improve well-being of later life of the elderly are provid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페이지 : 57-85
    * DOI :
    * UCI : G704-000981.2016.18.4.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내부노동시장 및 외부노동시장과 분절된 근로빈곤노동시장의 경로제약성이 취업과 취업의 질에 누적적인 영향을 미쳐, 장기간 근로빈곤노동시장에 머물게 함으로써 근로빈곤탈출을 저해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3~7차이고, 분석방법은 Markov 이행확률과 이산시간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내부노동시장과 외부노동시장 그리고 근로빈곤노동시장의 삼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근로빈곤유형은 최근으로 올수록 취업빈곤층은 계속 감소하는 반면, 비경활 빈곤층은 점점 증가하여 근로빈곤층의 주된 유형이 되었다. 근본적으로 빈곤층에 대한 노동수요가 부족하며, 빈곤층의 취업자체를 저해하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장벽이 존재함을 볼 수 있다. 회귀분석에서는 근로빈곤노동시장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근로빈곤 이탈률이 감소하였다. 이는 한번 근로빈곤노동시장에 편입되면 그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근로빈곤노동시장 내에서 폐쇄적으로 이동하여, 다시 빈곤으로 연결되는 악순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근로조건을 보장하는 노동수요 활성화정책과, 근본적인 노동시장구조 개혁 및 빈곤층 노동에 대한 부정적 사회인식과 차별완화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ath dependency of working poor labor market segmented from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labor market affects employment and quality of employment of working poor. It Further examines how path dependency makes working poor to remain in the labor market and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escape from a vicious poverty cycle. Data is based on the 3~7th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Markov's transition probability and discrete-time hazard analysis a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Korea labor marke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primary labor market, the secondary labor market and the working poor labor market. The proportion of employed poor has been reduced, but the proportion of non economically-active working poor has been increased and has become the main group among the working poor. This shows that labor demand of working poor is fundamentally lacking and there are structural barriers that block working poor's employment itsel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longer working poor labor market participation is, the lower poverty-exit rate. This is an evidence of vicious poverty cycle that the poor have little chance to exit from working poor labor market, once they step into it. Therefore, the longer their participation in poor labor market, the more likely they would move only within the closed working poor labor market.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reform labor market structure and to alleviate negative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about the poor labor while activating labor deman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47-174
    * DOI : 10.20970/kasw.2007.59.3.007
    * UCI : G704-000330.2007.59.3.005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보장학회
    * 페이지 : 1-33
    * DOI :
    * UCI : G704-000662.2003.19.2.004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퇴직소득심사제도가 고령자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분석결과를 미국중심으로 고찰하고, 2005년 1월 기준 퇴직연금 혹은 장해연금을 수급하고 있는 178,363명의 공무원에 대한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원자료를 통해 공무원연금의 지급정지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취업한 공무원은 총 8,086명으로 전체 분석대상의 4.5%였으며, 지급정지된 공무원의 중위생존기간은 3.3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액정지자의 중위재취업기간은 반액정지자에 비해 20개월 가량 짧고, 실제 회귀분석에서도 100% 지급정지자는 50% 지급정지자에 비해 재퇴직발생확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행 제도는 유급소득활동만으로도 지급정지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재취업노력조차 하지 않거나, 일시금수급을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를 분석에 포함한다면 그 영향은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연금 지급정지제도의 발전적 방향으로서, 지급정지제도를 연령과 소득에 따라 차등적용하되, 지연연금제도와 병행하거나 부분연금제도의 도입을 제안한다. 또한 효과적인 정책마련을 위해서는 심도 있는 실증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소득, 고용형태 등을 포함한 재취업특성에 대한 자료구축이 시급하며,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관리체계 또한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reviews theoretical argument about the effect of retirement earnings test on the labor supply of the aged which is controversial issue in OECD countries and analyze the effect on the incidence of re-employment, re-employment period of suspended officials and the possibility of re-retirement through Government Employment Pension Corporation data. It consists of 178,363 public officials who received pension benefit or disability pension in January 2005.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public officials re-employed were 8,086 which is 4.5% of total retired, and median survival time of suspended pension payments is 3.3 years. Also the median re-employment period of 100% suspended officials is about 20 month shorter than that of 1/2 suspended officials and it is shown in regression analysis that the possibility of re-retirement by 100% suspended official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those of 50%. It specially expects greater influence if includes in case taking lump-sum or no making effect of re-employment because current system withhold pension payments even by earned income itself. Therefore, this analysis suggests suspension of pension payment properly applied according to the age and income together with ?Delayed Retirement Credit ?or ?Partial Pension? for developmental alternatives of civil servant's suspension of pension payments. Fu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that distinctive quality data about re-employment including earnings to perform deep-empirical research for effective policy. Lastly, it is extremely necessary to reinforce management system of Government Employment Pension Corpor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75-404
    * DOI :
    * UCI : G704-000330.2005.57.2.01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기존에 제기된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를 설명하는 이론(가설)이 우리나라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판단아래, 노후빈곤노동가설과 숙련편향기술진보설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총괄(1965~2007), 추계인구(1965~2007), 임금구조기본통계(1993~2005), 노동패널 1~9차 원 자료, 2005년 가계조사이며, 회귀분석은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65년 이후 증가추세를 이어가고 있어, 선진국의 감소추세와는 다르다. 둘째, 1998~2005년까지 빈곤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비빈곤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보다 평균 5.2% 높았다. 셋째, 점점 상위 직종(고위직 및 전문가)은 비고령 계층이 차지하고, 하위 직종(단순노무직)은 고령계층이 주를 이루어가고 있었다. 넷째, 고학력자의 노동공급이 증가한 것보다 그들에 대한 노동수요는 더 크게 증가한 반면, 저학력자의 노동공급은 줄었는데, 이들에 대한 노동수요는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그 결과 대학프리미엄이 139%(1993년)에서 157.8%(2005년)로 높아졌다. 다섯째,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을 설명하는 이론(가설)으로서, 산업화?근대화 가설은 최근 우리나라 상황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노후풍요가설은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에 영향을 미치지만, 영향력은 미약하였다. 특히 노후빈곤이 노후경제활동의 주된 메커니즘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주장한 노후빈곤노동가설이 지지되었다. 숙련편향기술진보설은 우리나라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부분적으로 설명하지만, 그 외에도 인적자본 특히 고학력보다는 고졸이면서 상대적으로 숙련편향정도가 낮은 직종의 기술 혹은 노후빈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s applying the elderly poverty labor hypothesis and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hypothesis to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LFPR) of older males in Korea. These hypotheses have hardly been examined on the this group.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data "Summary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1965~2007)", "Population projection(1965~2007)", "Report on wage structure survey(1993~2005)" and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1998~2006)". The method employed for this study is logistic regression. The main results from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in five points. Firstly, Korean older males' LFPR have been increasing since 1965 when industrialization was expanding at full steam. This trend has been different from the decreasing trend of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second finding is that poor older males' LFPR is, on the average, 5.2% higher than that of non-poor older males from 1998 to 2005. The third result is that the non-elderly man has been increasingly positioned at higher grade occupations, while the elderly man has been held at lower grade occupations. The fourth is that labor demand for highly educated workers has exceeded the increased labor supply of the group, while the demand for low educated workers has decreased far beyond the declined labor supply. As a result, college premium has increased from 139% in 1993 to 157.8% in 2005. The final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ndustrialization theory and modernization hypothesis still holds for the LFPR of Korean older males. However, the elderly affluence hypothesis of the LFPR of older males are hardly persuasive in explaining Korean phenomenon. Especially, we find that the elderly poverty is the main mechanism in determining the Korean LFPR in old ages. This supports the elderly poverty labor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hypothesis partially explains the LFPR of older man. However, we believe that other factors; human capital specially high school education rather than university education and skill required in less skill biased occupations or the poverty; also have taken effec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1-58
    * DOI : 10.20970/kasw.2008.60.3.002
    * UCI : G704-000330.2008.60.3.011서지정보 닫기
  •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자영업의 비중이 크고 연령집단에 따라 자영업 비중의 차이가 크지만, 경기변동이 자영업 이행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집단별 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5~11차 자료를 활용하여 구축가설과 유인가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업률이 높을수록 자영업 이행률이 높아져 구축가설을 지지한다. 기업가정신의 발현보다는 노동시장여건의 악화로 자영업으로 밀려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령집단별로 보면, 청년층에 비해 30대와 40대의 자영업 이행률이 높다. 경제활동이 왕성한 30~40대가 주변부 노동시장에 진입할 확률이 높아서, 자영업이 특정 연령계층의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40대의 자영업 이행은 직업기회가 제한될 때 급증하여, 경기불황에 자영업으로 밀려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의 고용이 경기변동에 취약한 것을 말해준다.

    Although the rate of self-employment is high in Korean labor market and the rate gap between age groups is high, few studies have addressed on the effects of push factors on transition into self-employment across age group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if push factors exert different effects on the self-employment decisions across age groups. There is interest in testing push hypothesis and pull hypothesis.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ave 6~11 is used to test this study's hypothesis.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paper is that in case of high unemployment,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into self-employment increases. It is consistent with the push hypothesis. Many people are forced to become self-employed person due to the high rate of unemployment and limited occupational choice rather than the role of entrepreneurship. By age subgroup, the transition into self-employment of the ages of 30 and 49 is high. In addition, people at 40-49 years of age are more likely to become self-employed as a response of inadequate job opportunities. It provides the evidence that the self-employment is not a matter of special age group in that people in the 30 to 49 year old age group whose economic activities are vigorous move into marginalized labor market. Furthermore, it seems to be threatened the employment's stability of the prime age in that even people who are age 40-49 years of age are pushed into self-employment because of the recessio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페이지 : 141-178
    * DOI : 10.16999/kasws.2012.43.2.141
    * UCI : G704-000143.2012.43.2.003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