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실
  • 논문자료
  • 주제별검색
  • 저자별 검색

저자별 검색

[채구묵-]에 관한 논문검색 결과 13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검색결과다운로드
  • 선택 다운로드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59-181
    * DOI :
    * UCI : G704-000330.2004.56.3.01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OECD 18개국의 8년간(2000-2007년) 패널자료를 이용한 결합회귀분석에 의해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이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본 후, 한국의 적극적노동시장정책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은 실업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둘째 적극적노동시장정책 세부 프로그램 중 직업훈련은 실업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셋째 구직서비스와 고용보조는 부분적으로 실업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적극적노동시장정책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으로, 첫째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을 확대하고 체계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노동수요에 맞추어 체계화?전문화해야 하고, 셋째 고용보조의 경우 대체효과, 전치효과, 자중손실효과가 적도록 프로그램을 계획?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구직서비스의 경우 실업률 감소에만 초점을 두지 말고 재실업 예방, 소득불평등 완화, 생산성 향상 등을 고려한 정책을 개발?추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on unemployment by pooled cross-section time series analysis utilizing panel data of 18 OECD countries, and seek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of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tive labor market policy negatively affects unemployment rates. Second, vacational training program among three major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has a negative effect on unemployment rates. Third, employment service program and employment subsidy program have partially negative effects on unemployment rates.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ystematize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Seco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systematized and professionalized according to labor demand. Third, employment subsidy programs need to be planned and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minimizing a substitution effect, a displacement effect and a deadweight loss effect. Fourth, employment servic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carried out under the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reduction of unemployment rates but also the prevention of re-unemployment, mitigation of income inequality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87-211
    * DOI : 10.20970/kasw.2011.63.3.008
    * UCI : G704-000330.2011.63.3.008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제1차 조사(2006년 조사)부터 제5차 조사(2010년 조사)까지의 5년간 자료를 결합(pooling)하여 실업자 재취업 영향요인 및재취업 형태(정규직, 비정규직)별 영향요인을 생명표분석, 콕스회귀분석, 다항명목로지스틱회귀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실업자 중 많은 수가 실업 중 비경제활동인구로 전락하고,둘째 여성이 남성보다 재취업률이 낮으며, 셋째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재취업률이 높고, 넷째 연령이 많을수록 재취업률이 낮으며, 다섯째 비정규직, 단순노무직, 서비스업 종사 경험이 있는 경우 재취업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자 재취업 향상과 관련된 시사점은, 첫째 실업자가 비경제활동인구로전락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 둘째 성차별을 완화할 수 있는 노동시장정책을 도입해야 하며, 셋째 실업자가 성장산업에 필요한 지식ㆍ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제도를 체계화, 전문화해야 하고, 넷째 비정규직, 단순노무직, 서비스산업 종사자 등 지식ㆍ기술 수준이 부족한 실업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reemployment and reemployment by reemployment types(permanent and temporary positions) by life-tables, cox regression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pooling waves 1-5(2005-2010)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ny of the unemployed have degenerated into economically inactive persons. Second, women are less likely to be reemployed than men. Third, higher educated workers are more likely to be reemployed. Fourth, older workers are less likely to be reemployed. Fifth, workers who have experience of temporary positions, elementary occupations, or service industry works are less likely to be reemployed. The implications concerning the improvement of reemployment of the unemployed are as followed. First, systems which prevent the downfall of the unemployed into economically inactive persons and support the job-seeking activities of the unemployed should be prepared. Second,labor market policies which can mitigate sexual discrimination must be introduced. Thir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systematized and specialized in order to help the unemployed learn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to get jobs in growth industries. Fourth,systems which can help the unemployed lacking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temporary employees, elementary occupation workers, or service industry workers should be prepared.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251-293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3..40.005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OECD 19개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업급여(최초 순소득대체율, 실업급여기간, 실업급여+실업부조기간)가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및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후, 한국의 실업자 소득보장제도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실업급여+실업부조기간이 실업률, 6개월 이상 장기실업률, 12개월 이상 장기실업률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둘째 실업급여 관련 3개 독립변수 모두 경제활동참가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셋째 최초 순소득대체율, 실업급여+실업부조기간이 경제성장률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대한 실업급여제도가 실업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만, 실업자들이 비경제활동인구로 전락하도록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며,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실업자 소득보장제도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은, 첫째 관대한 실업급여제도 도입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둘째 관대한 실업급여제도 도입 시 실업률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과 증가한 실업자들이 비경제활동인구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셋째 관대한 실업급여제도가 개인의 생산성 향상 및 경제성장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unemployment benefits (net replacement rates in the initial phase of unemployment, duration of unemployment benefits, and duration of unemployment benefits plus unemployment assistances) on unemployment rates,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s, and economic growth rates by utilizing data of 19 OECD countries, and seek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of the Korean income maintenance system for the unemploy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ration of unemployment benefits plus unemployment assistances positively affects unemployment rates, 6 months and over long-term unemployment rates, and 12 months and over long-term unemployment rates. Second, all 3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unemployment benefits do not affect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s. Third, net replacement rates in the initial phase of unemployment and duration of unemployment benefits plus unemployment assistances positively affect economic growth rates. This means that generous unemployment benefit systems influence the increase of unemployment, but do not influence downfalls of the unemployed into non-labour force participation, and positively influence economic growth.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income maintenance systems for the unemployed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troduction of generous unemployment benefit systems. Second, measures to reduce the increase of unemployment rates and to prevent the downfalls of the increased unemployed into non-labour force participation should be prepared in the introduction of generous unemployment benefit systems. Third, in order to connect generous unemployment benefits with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active labour market policies should be activa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319-342
    * DOI : 10.15855/swp.2009.36.4.319
    * UCI : G704-001012.2009.36.4.010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5-61
    * DOI : 10.20970/kasw.2007.59.4.002
    * UCI : G704-000330.2007.59.4.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 실태 및 원인을 분석해 본 후, 소득불평등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소득불평등 실태 및 원인 분석을 요약해 보면, 첫째 외환위기로 급등한 소득불평등도는 1999-2004년 동안 증감을 반복하였으며 2005년 현재 외환위기 직후와 같이 높은 수준이고, 둘째 소득불평등도 원인에 대한 장기분석(1985-2004년) 결과, 실업률, 비정규직비율, 지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소득불평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외환위기 전후(1995-2004)의 소득불평등도 원인분석 결과 실업률, 비정규직비율, 대?소기업임금비율이 높을수록 소득불평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장기자료(1985-2004)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던 지가상승률이 외환위기 전후자료(1995-2004)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장기자료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대?소기업임금비율은 외환위기 전후 자료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첫째 실업률을 낮출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비자발적 비정규직 비율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셋째 부동산 가격을 안정 또는 인하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넷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를 줄일 수 있는 중소기업 종합지원대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and causes of income inequality and seeks assignments for mitigating income inequality. An analysis of the conditions and causes of income inequalit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come inequality, which rapidly increase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creased and reduced repeatedly during 1999-2004, and remained a level in 2005 as high as that of the year directly after the economic crisis. Second,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income inequality by utilizing the long-term data(1985-2004) shows that unemployment rate, nonstandard employment rate, and the rising rate of land prices positively affect income inequality. Third,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income inequality by utilizing the data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1995-2004) demonstrates that unemployment rate, nonstandard employment rate, and the workers' income ratio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enterprises positively affect income inequality. Fourth, the rising rate of land prices which significantly affects income inequality in the data of 1985-2004 does not affect income equality in the data of 1995-2004, and the workers' income ratio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enterprises which does not affect income inequality in the data of 1985-2004 significantly affect income equality in the data of 1995-2004. These result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mitigating income inequality. First, alternative plans to reduce unemployment rate must be prepared. Second, policies to reduce nonstandard employment rate should be established. Third, programs to stabilize or lower the land prices must be deliberated. Fourth, a master-plan to support small to medium enterprises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reduce the wage differentials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to medium enterprise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199-221
    * DOI : 10.20970/kasw.2007.59.1.008
    * UCI : G704-000330.2007.59.1.010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69-91
    * DOI :
    * UCI : G704-001012.2003..16.006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근무조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해 보았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근무조건의 문제점으로 (1) 낮은 보수, 장시간 근무 등 열악한 노동조건과 (2) 시설장의 비전문성 및 외부인사 영입, 중간관리자의 전문지식 활용 미흡, 종사자의 잡무부담 과중, 보수교육 미비, 시설운영의 투명성?합리성 미흡 등 시설운영의 비전문성?비민주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1) 봉급(기본급여) 인상 및 모든 종사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단일봉급표 제정, 각종 수당의 확대 적용, 봉급과 수당을 정부보조금으로 지급, 종사자의 법정정원 확대 등 노동조건 개선과 (2) 시설장의 자격기준 강화 및 임기 제한, 중간관리자의 이직?조기퇴직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보수교육의 체계화?전문화, 시설운영의 투명성?합리성 제고 등 시설운영의 전문성?민주성 향상을 들 수 있다. 개선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1)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조직화(전문가조직 및 노동조합), (2) 조직을 이용한 대정부 및 대사회복지시설법인(장) 활동, (3) 종사자 스스로의 개선활동 등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seeks the strategies for realizing the improvement plans.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workers, which are (1) poor labor conditions such as low wages and long-time works, and (2) non-professional and non-democratic operations of facilities such a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directors and appointments of directors from the outside, insufficiency for utilizing professional knowledge of middle managers, excessive chores of workers, deficiency of reeducation for workers, and shortcoming of transparency and rationality of facility operations. The plans to resolve these problems are (1) improvements of workers' labor conditions including the increase of workers' basic wages and the enactment of a uni-salary table which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all social welfare workers, the expanded application of various allowances to workers, the payment of wages and allowances by government subsidy, and the increase of legal number of workers, and (2) improvement of professional and democratic operations of facilities 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qualification criterions for directors and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terms, the preparation of measures restraining early retirement and leaving their jobs of middle managers, the system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reeducation systems for workers, and the promotion of transparency and rationality of facility operations. In order to realize such improvement plans, the following strategies can be considered such as (1) organizations of social welfare workers(trade union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2) activities against the government and the corpora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via organizations, and (3) spontaneous improvement activities by social welfare workers.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45-96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1..33.004서지정보 닫기
  • 및 노동조합 성공적 조직화를 위한 함의1) 요약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65-97
    * DOI :
    * UCI : G704-000330.2003.54..006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사회복지노동조합 결성의 필요성, 장애요인을 살펴보고, 노동조합 결성의 방향, 즉 바람직한 노동조합의 조직형태를 점검해본 후, 노동조합의 성공적 결성을 위한 전략을 탐색해보았다.한국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열악한 근로조건, 비민주적.비전문적 조직운영, 저급한 복지서비스, 재정의 취약성 등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제로 결집된 힘을 발휘할 수 있고, 법적인 보장을 받을 수 있는 노동조합 결성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노동조합 결성의 방향으로, 가입대상은 실제적인 사용자인 국가를 교섭당사자로 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법령에 근거하여 설립.운영하는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근로자로 한정하되, 이러한 시설에 근무하는 관(원)장을 제외한 모든 종사자에게 조합에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직형태는 복지시설의 영세성으로 인해 시설단위별로 노동조합 결성이 쉽지 않다는 점, 단체교섭 내용이 시설종사자 전체의 권익에 관련된 사항이 많아 실질적인 교섭당사자가 국가인 점을 고려할 때 전국적으로 통일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전국규모의 산별노조가 바람직하다. 노동조합의 성공적인 결성을 위해서는 우선 노동조합 결성추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기초조직이 구성되어야 하며, 사회복지종사자들로 하여금 노동조합 결성이 필요하다는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의식화 운동이 전개되어야 하고, 복지대상자 및 시민의 지지를 이끌어 낼 사회복지 개혁의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여 공론화하고 대정부 활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으며, 상급단체 및 유사직종의 노동단체, 시민단체의 지원을 얻을 필요가 있고, 예비사회복지사인 사회복지관련학 전공 학생들과 연대하여 사회복지 조직화 운동을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27-58
    * DOI :
    * UCI : G704-001012.2002..14.003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 제2차년도 조사(2007년 조사)부터 제8차년도 조사(2013년 조사)까지의 7년간 자료를 결합하여 빈곤진입 영향요인을 이산시간위험모델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령이 많을수록, 사별?이혼과 미혼이 유배우보다, 사적이전소득 없음이 500만원 미만보다, 실업자, 자영업, 임시?일용직이 상용직보다, 미취업, 농?임?어업 종사가 행정?교육?보건?복지 업종 종사보다, 미취업, 농?임?어업, 단순노무직, 서비스?판매직 종사가 전문?사무직 종사보다 빈곤진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취업가구원수가 많을수록, 공적이전소득 없음과 500만원 이상이 500만원 미만보다, 사적이전소득 500만원 이상이 500만원 미만보다 빈곤진입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빈곤 기간이 길어질수록 빈곤진입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진입 예방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은, 첫째 안정되고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정책이 마련?실시되어야 하고, 둘째 실직, 노령으로 인한 소득 상실?감소 시 일정수준 이상의 소득이 유지되도록 하는 사회보장제도가 마련?실시되어야 하며, 셋째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을 확대하고 전문화?체계화 할 필요가 있고, 넷째 모든 국민이 경제적 부담 없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다섯째 빈곤층이 경제적 부담을 느끼지 않고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건강보장제도가 마련될 필요가 있고, 여섯째 가족해체를 예방하고, 해체가족을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poverty-entry by discrete time hazard models based on pooling waves of the second through the eighth(2007-2013)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s who are older in age, persons who are bereaved, divorced or unmarried in comparison with married persons who have spouses, persons who don't receive any private transfer income in comparison with those who receive private transfer income of less than five million won, the unemployed, the self employed, temporary employees in comparison with regular employees, the persons who don't have jobs or persons who work in agriculture, forestry or fishery businesses in comparison with those who work in administration, education, health or welfare business, and the persons who don't have jobs, persons who work in agriculture, forestry or fishery jobs, in simple labor jobs, or in service or sales jobs in comparison with those who work in office or specialized jobs are more likely to enter poverty. Second, persons who have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persons who are healthier, persons who have more employed household members, persons who receive none or more than five hundred won of public transfer income in comparison with those who receive public transfer income of less than five million won, and persons who receive private transfer income of more than five million won in comparison with those who receive private transfer income of less than five million won are less likely to enter poverty. Third, persons who maintain a state of non-poverty for a longer period are less likely to enter poverty. The implications for preparing prevention measures of poverty-entry are as follows. First, economic policies which can create stable and high quality jobs should be established and carried out. Second, a social security system which can guarantee a certain level of income in case of loss or decrease of income due to unemployment or old age must be introduced and carried out.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systematize and specialize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Fourth, an educational system in which every citizen can receive education without economic burden should be introduced. Fifth, a health security system which allows treatment for the poor without financial burden need to be introduced. Sixth, plans which can prevent family dissolution and support dissolved families need to be prepar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 페이지 : 293-317
    * DOI : 10.15855/swp.2015.42.2.293
    * UCI : G704-001012.2015.42.2.001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복지국가 유형과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1) 사회복지비 지출이 많은 복지제도 유형과 적은 복지제도 유형, (2) 보편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과 선별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있는 유형, (3) 통합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과 조합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 중 어느 유형이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 완화가더 큰지 검토해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1) 사회복지비 지출이 많은 복지제도 유형이 적은 복지제도 유형보다, (2) 보편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이 선별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보다, (3) 통합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유형이 조합적 복지제도를 많이 채택하고 있는 유형보다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 완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복지 관련 시사점으로, 첫째 사회복지비 지출을 증대할 필요가 있고, 둘째 아동수당, 무상보육,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 무상급식, 장애수당, 기초노령연금 등 보편적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확대ㆍ도입해야 하며, 셋째 공적연금 등 조합적 복지제도로 되어 있는 것을 통합적 복지제도로 개선하고, 건강보장, 실업보상 등에통합적 복지제도를 확대ㆍ도입해야 한다.

    By analyzing the ‘welfare state types’ relation with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at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which welfare state types mitigate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ate more largely between (1) a large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ime-type and a small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ime-type, (2) a universal welfare regime-type and a selective social welfare regime-type, and (3) an encompassing welfare regime-type and a corporatist social welfare regime-typ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itigations of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ate are larger in a large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ime-type than in a small social welfare expenditure regime-type, larger in a universal social welfare regime-type than in a selective social welfare regime-type, and larger in an encompassing welfare regime-type than in a corporatist welfare regime-type. The implications concerning social welfare which can help the mitigation of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rate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ocial welfare expenditure. Second,universal social welfare systems such as children's allowance, free child-care, free education until high school, allowance for the disabled, and basic old age pension should be expanded and introduced. Third,corporatist welfare systems such as public pension should be changed to encompassing welfare systems, and encompassing welfare systems should be expanded and introduced in health security and unemployment compensation.초록 닫기
    * 발행처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페이지 : 325-365
    * DOI :
    * UCI : G704-SER000010228.2012..37.004서지정보 닫기
  •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학회
    * 페이지 : 337-362
    * DOI :
    * UCI : G704-000330.2005.57.3.004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