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인의 기부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정기적 참여, 비정기적 참여 및 미 참여에 대한 비교분석 -

A Study of Korean's Giving Behavior : Analysis on Regular Participation Vs. Irregular Participation, Regular Participation Vs. Non-Participation, and Irregular Participation Vs. Non-Participation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08, vol.10, no.1, pp.1~38(37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981.2008.10.1.004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강철희

(연세대학교); 주명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기부 참여행동과 관련해서 정기적 기부참여, 비정기적 기부참여 및 기부 미 참여라는 구분된 행동의 양상이 어떠하고 또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아름다운 재단이 2006년에 실시한 전 국민 기부 및 자원봉사 실태 조사 자료(총 1005명)에 기초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기부참여현황에 대한 기술적 분석의 결과, 비정기적 참여가 457명(45.5%), 미 참여인 경우가 317명(31.5%), 정기적 참여가 231명(23.0%)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참여에 대한 본 연구의 모형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기부 미 참여 대 비정기적 참여, 미 참여 대 정기적 참여, 비정기적 참여 대 정기적 참여 등의 세 가지 비교 모형 모두에서 자원봉사 경험과 나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수용이 비정기적 참여 및 정기적 참여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남성)과 기부 사회화는 미 참여를 준거로 했을 때 비정기적 참여와 정기적 참여 등의 기부 참여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 유형 중 자영업과 고위공직자/전문직/준 전문직/사무직인 경우, 비정기적이든 정기적이든 간에 기부참여 가능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의 경우에도, 기부에의 정기적인 참여의 가능성은 전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미 참여를 준거로 했을 때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나눔 대상과의 거리에서 개인적 이해를 넘는 인식을 가질수록 정기적인 기부참여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해서 기부 문화 확산을 위한 측면 및 사회복지 자원 활성화 측면에서 연구의 의미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Korean's giving behavior by using '2006 National Survey Data on Korean's Giving and Volunteering' conducted by the Beautiful Foundation. Particularly,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degree of Korean's participation in givi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s participation in giving. By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is paper predicts variables that explain odds for regular participation in comparison with irregular participation, for regular participation in comparison with non-participation, and for irregular participation in comparison with non-particip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ttern of participation in giving, irregular participation represents 45.5%; non-participation 31.5%; and regular participation 23%. Second, in every comparison on Korean's participation in giving, consistently significant variables are volunteering experience (+) and acceptance on importance of philanthropic education (+). Sex (male) and socialization in giving (+) are variables that increase odds for participation in giving regardless of regular giving and irregular giving. Occupation (self-employment and professionals and white collar jobs) and marital status (married) are variables that decrease odds for participation in regular giv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regular participation in giving and non-participation, age (+) and acceptance on social distance with possible donee (+) are variables that increase odds for participation in giving.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findings with guid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giving behavior. This paper finally discusses implications for promoting and strengthening Korean's giving culture.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