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요인과 주관적 건강의 영향

Constructs of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and effects of perceived health

노인복지연구

2009, vol., no.46, pp.29~52(23 pages)

UCI : http://uci.or.kr/G704-001512.2009..46.001

한국노인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노인복지연구

신학진

(전주기전대학); 전상남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 개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의 구조를 분석하고, 하위요인들 사이의 영향력의 정도를 밝히고자 했다. 또한 보건의료분야에서 발달시킨 생의학적 모델에서 제시한 건강요인을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요인의 조절변수로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전주시에 소재한 4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응답자를 편의 추출하여 설문지로 응답을 얻었다. 회수된 설문지 315케이스 중에 결측값이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97케이스가 분석대상이 되었다.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요인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등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간의 영향의 방향과 영향력의 크기를 확인했다. 둘째, 건강집단보다 불건강집단에서 자율적 삶이 자녀에 대한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건강집단보다 불건강집단에서 자기완성지향성이 적극적 인생참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불건강집단보다 건강집단에서 적극적 인생참여가 자기수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로 첫째, 건강이 성공적 노화에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척도가 필요하다. 둘째, 불건강집단이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 간에 더 큰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상태로 인해 더 민감하게 성공적 노화의 성패에 영향을 받으므로 성공적으로 노화를 달성하기 어렵다. 셋째, 성공적 노화의 구조를 확인함으로써 실천현장에서 노인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결정하거나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끝으로 연구를 통해서 성공적 노화요인과 주관적 건강의 조절효과를 좀 더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onstructs network of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Especially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the perceived health factor from the biomedical model of successful aging.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effect of factors, we conveniently collected 315 samples from 4 senior welfare centers in Jeonju and exploite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297 cases excluding some cases with missing values. As the results, first, we confirmed the directions and the degree of effects among various constructs of successful ageing. Second, the unhealthy group showed higher tendency than the health group that autonomy influences the satisfaction for their children. Third, the unhealthy group is prone to be that personal growth influences the active social interaction. Fourth, according to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health, the healthy group has a tendency to show that the active social interaction influences self-acceptance. The study suggests, first, developing a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including health factor is recommended. Second, an unhealthy group's construct sensitively affects another construct, so that the unhealthy group is harder to achieve the successful aging than the healthy group. Third, the confirmed constructs network provide a criteria, to who works in an elderly care setting, such as the contents of program and priority of the contents. With the overall results, we could slightly further explain the constructs network of successful aging and the effect of the perceived health to the network.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