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부모 여성의 조직 참여 특성이 임파워먼트 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젠더의식 변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ingle Mothers' Community Participation on Empowerment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Gender Consciousness

사회복지연구

2010, vol.41, no.2, pp.189~216(27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143.2010.41.2.001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복지연구

이인숙

(부산장신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 여성들이 조직 참여를 통해 공동의 목표 수행과 정서적 유대 등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근거로 조직 참여 특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젠더의식 변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부산?경남의 14개 기관의 한부모 여성 43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조직 참여 특성과 관련된 임파워먼트 실천수준, 젠더의식변화, 임파워먼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부모 여성들이 참여하는 조직 유형별로 임파워먼트 실천수준과 젠더의식 변화, 그리고 임파워먼트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체로 일자리훈련형이 세 가지 모두 높게 나타났고, 사회복지기관형이 낮은 편이었다. 둘째, 조직 참여 특성 중 조직 수준에서는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이, 개인 수준에서는 조직 참여 정도와 임파워먼트 실천수준이 임파워먼트의효과에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 실천수준과 임파워먼트 효과 간의 인과관계에서 젠더의식 변화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여, 임파워먼트 실천수준이 한부모 여성들의임파워먼트의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젠더의식 변화가 매개될 때 더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점과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how the effect of single mothers' community participation on empowerme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gender consciousness that medi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is two variables defining the organization, which single mothers have been participated, as a community based on that there are common goals, emotional bond, and reciprocal action between the members. 439 single mothers, who have been participated in one of 14 organizations in Pusan and Gyeongnam, have been surveyed and the practice elements of emporwerment, gender consciousness, and empowerment have been analyzed from it. The results are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practice elements of empowerment, gender consciousness, and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single mothers' community. Mostly it was high among job training type community and low among social welfare institution type community.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determinant factors of empowerment are the degree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he practical elements of empowerment. Third, The changes in gender consciousness should be proceeded before that the practice of community empowerment, which the changes in gender consciousness represent the ful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al elements and empowerment effect, leads the improvement of single mothers' empowerment.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