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성별과 한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al Gender on Adolescent Depression in Single-Parent Families: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Functional Communication

청소년복지연구

2013, vol.15, no.1, pp.1~22(21 pages)

UCI : http://uci.or.kr/G704-002137.2013.15.1.004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청소년복지연구

김재엽

(연세대학교); 양세정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성별과 청소년 자녀의 우울과의 관계에서 한부모-자녀 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한부모가족 청소년 자녀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0년 4-5월에 “아동?청소년의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대문구 소재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 학생으로, 최종분석은 한부모가족 청소년 140명(모자가족 청소년 90명, 부자가족 청소년 5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성별이 한부모가족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부모-자녀 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한부모-자녀의 기능적인 의사소통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가구주의 성별이 청소년의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한부모-자녀 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한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함을 제시하였고, 부자가족의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functional communication which influences adolescent depression in single mother-headed and single father- headed families. Ultimately, the researcher will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reduction of adolescent depression levels. To conduct this research, we utilized data collected from the “Study of Family and School Lif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eld from April to May in 2010. The target group of analysis was elementary 5th grade to 2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daemun-gu and the final analysis utilized data from 140 adolescents of single- parent families. The data of 140 adolescents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by SPSS 18.0.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gender and its influence upon adolescent depress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functional communication was examin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gender of the single parent in itself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adolescent depression levels, while the parent-child functional communication showed to have effect. The results denoted that children from single-father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communicate in a less functional method than children from single-mother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provides sugges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to alleviate to alleviate depression levels and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