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의 재정복지와 ‘근로소득세 면세점 제도’에 관한 연구

The Fiscal Welfare and the Earned-Income Tax Exemption System in Korea

사회보장연구

2013, vol.29, no.4, pp.55~79(24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662.2013.29.4.001

한국사회보장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보장연구

김도균

(서울대학교)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시민권의 성격을 조세정책의 측면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첫째, 이 글은 기존의 시민권 이론을 T.H.마샬(Marshall)의 시민권 이론과 C.틸리(Tilly)의 시민권 이론으로 구분한 후, 한국의 국가-시민 관계는 국가형성과 시민권의 관계를 강조하는 틸리의 시민권 이론을 통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시민권의 제도적 토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회정책 중심의 논의에서 벗어나 조세정책의 성격을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둘째, 이 글은 한국 조세제도의 중요한 특징으로 ‘근로소득세 면세점 제도’를 강조한다. 그 동안 한국은 근로소득공제나 인적공제, 특별공제 등 ‘근로소득세 면세점 제도’를 통해 근로소득세 실효세율을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해 왔다. 그런데 ‘근로소득세 면세점 제도’는 조세지출 개념으로는 잘 파악되지 않기 때문에 그 동안 복지국가 논의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글은 조세지출과 재정복지라는 개념의 기원과 의미가 서로 상이하다는 점을 밝히고, ‘근로소득세 면세점 제도’는 조세지출보다는 재정복지라는 개념을 통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한국의 ‘근로소득세 면세점 제도’가 일종의 재정복지로서 시민권의 성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features of citizenship by analyzing tax policy in Korea. First, while it distinguishes the existing citizenship theory into T.H. Marshall's and Charles Tilly's, it points out that the state-citizen relationship in Korea could be more clearly explained by Tilly's citizenship theory which underl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making and citizenship. Following it, it stresses that tax policy rather than social policy should be more importantly examined in order to anatomize the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the citizenship in Korea. Second, it puts an emphasis on the ‘earned-income tax exemption system’ as a noticeable feature of the Korean tax system. The Korean tax system has so far kept the effective rate on earned-income tax relatively low by taking advantage of the ‘earned-income tax exemption system’ such as earned-income deduction, personal allowance, special tax deduction, and so on. However, as the ‘earned-income tax exemption system’ is hard to be recognized by the concept of tax expenditure, it has not attracted so much attention from welfare state researches. This paper makes clear that the concept of tax expenditure is definitely distinguished with those of fiscal welfare in its origin and meaning, and then it points out that the ‘earned-income tax exemption system’ could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concept of fiscal welfare rather than tax expenditure. In result, this paper argues that the ‘earned-income tax exemption system’ in Korea, as a sort of fiscal welfare, ha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eature of the citizenship.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