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원봉사참여 및 참여의사의 영향요인:노인세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Volunteering Participation among Korean Baby Boomers and their Volunteer Intentions :Centered on Comparisons with Older Adults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013, vol., no.47, pp.227~256(29 pages)

UCI : http://uci.or.kr/G704-001921.2013..47.005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이현기

(중부대학교)

초록


서구국가들은 베이비붐세대의 대규모 은퇴에 직면하여 그들의 자원봉사참여 양상의 변화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갖고 있고, 이와 같은 상황은 우리도 마찬가지이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사회적 배경 하에서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 참여와 참여의사 실태를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추정하여 베이비붐세대의 고유한 영향요인을 식별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분석을 위해서 전국규모 사회의식조사 자료에서 분석대상으로 한국 베이비붐세대 표본 6,903명을 추출하여 사용했고, 영향요인 추정을 위해서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순서형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q였다. 이결과 베이비붐세대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18.2 퍼센트, 현 노인세대는 8.9 퍼센트로 나타났고, 참여의사는 베이비붐세대 81.6 퍼센트, 노인세대는 49.6 퍼센트로 나타났다. 베이비붐세대의 높은 자원봉사 참여 및 참여의사를 설명하는 특징적 영향요인으로 높은 교육수준, 사무직, 사회참여, 사회적 연결망, 계층의식 변수 등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노인세대의 참여 및 참여의사의 영향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 농어업 직, 참여단체수, 유배우, 종교 등의 변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베이비붐세대와 크게 다른 것이다. 생활환경 변수는 베이비붐 세대보다 노인세대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베이비붐세대의 높은 참여는 식별된 영향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간주하나 두 세대의 영향변수의 차이는 코호트 효과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또는 현재 참여를 위하여 그들의 자원봉사 욕구를 반영하는 신축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volunteering intentions among Korean baby boomers, and estimate determinants of both volunteering and volunteer intentions. Based on the parameters, the study tries to predict volunteering participation for baby boomers in retirement years. The thesis uses cohorts perspective and integrated theory of resources as theoretical underpinnings, which explain how Korean baby boomer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and what makes them engage in volunteering. For the purpose, the study used data of The Korean Social Survey by Statistics Korea and selected 6,903 samples of the baby boomers and di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ordered-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s results, education, white collars, urban-rural exchange experiences, stratification consciousness, culture/arts/sports viewing, residenti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tress, traffic safety satisfaction, metropolitan areas, Dong area variables appeared to more important to baby boomers, comparative to current older adults. As for the volunteer intentions, education, household incomes, professional/managerial, social network size, having spouses, culture/arts/sports viewing variables came to be more influential to baby boomers, comparative to older people. The differences of determinants between two cohorts are believed to come from unequal distributions of resources across generations, which are caused by baby boomers cohort effects. The baby boomers had higher level of education, social resources, volunteer intentions. Accordingly the paper predicted that Korean baby boomers would have higher volunteering rate than current older adults in retirement years. Finally the study stressed that volunteer policy needed to transform in order to attract baby boomers.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