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인의 복지정책 선호에 관한 연구: 성장과 분배, 선별과 보편을 중심으로

Welfare Policy Preference in South Korea: Growth versus Redistribution and Targeting versus Universalism

사회보장연구

2014, vol.30, no.2, pp.67~90(23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662.2014.30.2.013

한국사회보장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보장연구

김수완

(강남대학교); 김상진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정책 선호를 성장과 분배 지향성, 선별과 보편 지향성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 시점에서 한국인은 성장과 분배, 선별적 복지와 보편적 복지 중 어느 쪽을 더 선호하는가? 누가 성장 지향적이며, 누가 보편 지향적인가? 또한 성장과 분배, 선별과 보편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볼 때 한국인의 복지정치 선호는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 질문에 대해 한국복지패널 자료(2010)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과 분배 중 어느 것을 더 중시하는가에 대한 의견은 양분되어 있는 반면, 선별-보편 지향에 있어서는 보편지향의 의견이 더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분배지향, 선별-보편지향 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장-분배지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소득수준인 반면, 선별-보편지향에 영향이 큰 변수는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넷째, 두 축을 조합하여 성장?선별형, 분배?선별형, 분배?보편형, 성장?보편형으로 구분하였을 때, 네 가지 유형에 속하는 빈도수가 비교적 고루 분포되었다. 다섯째, 연령대가 높을수록 성장지향적이고 선별지향적으로 나타나, 복지선호에 대한 세대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성장지향성이 높고, 선별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지적한 하위계층의 비계급성과 보수 성향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This study examined welfare policy preference in South Korea, focusing on two dimensions of ‘Growth versus Redistribution’ and ‘Targeting versus Universalism’. On the research questions such as, ‘Are contemporary Koreans growth oriented or redistribution oriented?’ ‘Do they prefer targeting welfare policy or universalism welfare policy?’ ‘Who are growth oriented as well as who prefer universalism welfare policy?’ ‘Which type of welfare policy is most preferred?’, this study analysed quantitatively using the 5th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data (201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Koreans prefer universal policy (50%) rather than targeting (35%), while the ratio of the growth-oriented and that of the redistribution-oriented show almost the same frequencies. Seco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growth/redistribution orientation’ and ‘targeting/universalism preference’. Third, among six independent variables, political ideology and income level affect the orientation of growth/redistribution while age and education affect the preference of targeting/universalism. Fourth, when generating four welfare policy types using two dimensions, frequencies of each type, i.e, ‘Liberal Market type(growth/targeting oriented)’, ‘Redistribution type(redistribution/ targeting oriented)’, ‘Social Protect type(redistribution/universalism oriented)’, ‘Growth-Universalism type’, do not shows much differences. Fifth, age effect exists as older people have the more targeting- and growth- orientedness, but class cleavage is not found as those with low education also prefer targeting welfare policy and growth. Finally, those who are males, younger, higher educated, higher incomers, conservative, and not economically active in labor market tend to be included in the ‘Growth-Universalism type’.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