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형 사회배제성 척도의 기준관련 타당도 연구

A Study about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Korean-type Social Exclusiveness Scale(KSES)

사회보장연구

2014, vol.30, no.2, pp.273~293(20 pages)

UCI : http://uci.or.kr/G704-000662.2014.30.2.007

한국사회보장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사회보장연구

윤성호

(동서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2년에 제작된 KSES(Korean-type Social Exclusiveness Scale)의 기준관련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기준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적 배제개념과 맥락이 유사한 소외를 기준을 하였다. 시이맨(M. Seeman)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박영숙(1997)의 “소외측정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KSES의 동시적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사회배제성 전체 값은 소외의 정도와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소외 하위 범주인 무력감, 자기소외, 무의미성, 사회적 고립, 무규범성 등 모든 범주와 KSES의 측정치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다만 무규범성과 KSES의 하위 영역 간 낮은 상관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평균비교검증(t-test)를 통해 근거를 보완하였다. 이로써, KSES(2012)는 소외측정지표를 기준으로 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Korean-type Social Exclusiveness Scale(KSES 2012). For this purpose, the criteria is “alienation” that is similar to the context of social exclusion’ concept. To test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KSES, I selected Park(1996)’s alienation indicator that developed based on Seeman’s studies. I found the strong correlation within alienation indicator and KSES. Alienantion indicator include 5 sub-categories; powerlessness, meaningless, normlessness, social isolation, and self-estrangement. These sub-categories correlated with KSES’ domains. In case of normlessness, it had weak correlation with KSES’ domains. But, the problem is solved through the analysis of t-test. Through this research, the crierion-related validity of KSES is tested.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