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취업 장애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기업체 특성,직무만족이 전반적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s of Personal and Company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y on General Work Satisfaction

장애와 고용

2015, vol.25, no.1, pp.137~171(34 pages)

UCI : http://uci.or.kr/G704-001872.2015.25.1.006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장애와 고용

이형렬

(대전보건대학)

초록


본 연구는 취업 장애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인구사회학적, 장애)관련 변수, 기업체 특성관련 변수, 직무만족관련 변수가 전반적 직장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3년)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와 직접 관련이 있는 87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와 백분율, 차이검증은 t-검정(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집단간 차이는 사후검증(duncan-test),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여부에 대해서는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방식에 의해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nter Method)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로는, 첫째, 개인적 특성과 기업체 특성 변수들은 모두 전반적 직장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장애근로자들에게는 직무만족 변수가 전반적 직장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강하게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직무만족 요인 중에서도 임금?소득, 직업안정성, 일 내용, 근로환경, 의사소통?대인관계, 인사고과 공정성, 복리후생, 장애인에 대한 이해?수용정도의 변수들이 전반적 직장만족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함의를 근거로 하여 취업 장애근로자의 전반적 직장만족 강화를 위한 직업재활적 측면의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personal variables; sociology of population and disability, company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variables of workers with disability were empirically examined to find their influences on general work satisfaction. For this study, raw data of the 6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2013) was used, and among which 873 copies were analyzed. To verify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ifference was verified by t-test and one-way ANOVA. For a difference between groups, duncan-test was used, and for multicollinear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nter Method were used by VIF;Variance Inflation Factor. Study results sho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ersonal and company variables do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general work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hat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eneral work satisfaction. Second, among job satisfaction factors, variables including salary and income, job stability, duty at work, working environment,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fair promotion, welfare and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n the disabled especially affect the general work satisfac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implications, intervention plans for reinforcement of general work satisfaction for workers with disabled were suggested in a perspective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