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학습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 이외에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Does Self-Direction in Learning Influ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o Academic Achievement?

청소년복지연구

2015, vol.17, no.1, pp.305~332(27 pages)

UCI : http://uci.or.kr/G704-002137.2015.17.1.003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청소년복지연구

김서현

(이화여자대학교); 임혜림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는 사실에 대하여 새롭게 문제제기를 하였다. 특히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성취의 측면뿐만이 아니라 관계성의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를 경험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교우관계,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수립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에서 중1패널 3차년도 2,258명의 청소년(중학교 3학년)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의 자기주도성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 모두에 대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분해 결과에서는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총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직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간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Self-direction in learning has been strongly emphasized nowadays. This study raises a new issue of the fact that there is relatively less interest in its spillover effects of self-direc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prove that self-direction in learning could affect not only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irection in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chool(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mediated by self-esteem among middle schoolers. The 3rd wave data of 2,258 adolescents from ‘2010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ion in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chool. Secondly,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elf-direction in learning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was positively involved in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chool.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ffect decomposition, total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ion in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chool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to be affected most through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terms of direct effect while peer relationships appeared to be affected most through self-direction in learning mediated by self-esteem indirectly. Based on the results, youth welfare practice implication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