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정보
  • 문헌DB
  • 주제별검색
  • 학술지별검색

학술지별 검색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의 이주경험과 정신건강

Understanding of migration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immigrant youth

한국아동복지학

2017, vol., no.58, pp.231~262(31 pages)

UCI : http://uci.or.kr/

한국아동복지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 > 한국아동복지학

유비

(성균관대학교); 최정태

초록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총체적 이주경험은 그간 실천적·학문적으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해왔다. 국외 실증연구들의 결과와 이론적 논의에 의하면 이주와 연관되어 출생지에서 경험하는 유수기간 및 유수기간 내 동거인의 차이와 이주 이후의 거주기간, 가족과 또래의 지지 등 정주지 사회에서의 경험은 이주경험이라는 큰 틀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탐색적·시론적인 연구로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이주이전 경험과 이주이후 경험 그리고 우울, 불안, 자살생각 등의 부정적 정신건강문제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이주이전의 유수기간과 유수기간 내 주 양육자 이외 친척, 형제, 친구와의 동거여부는 이주이후 또래와 가족의 지지 및 한국문화적응 수준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부정적 정신건강문제들과 연관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South Korea has long been a culturally homogenous society, yet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has turned the countr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many empiric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way immigrants adapt to the Korean socie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However, examining the overall process of migration (from family separation to reunific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to the host society) that immigrant youth usually experience has been understudied. Previous empirical research and theoretical work have identified prominent factors that predict immigrant youth's mental health: experiences of family separation, living with others rather than primary caretakers during the separation, the length of residency in the host society, and family and peer support. In this respect, this exploratory and preliminary study that examined whether the experience of migration process and post-migration are related to Korean immigrant youth's mental health problem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longer duration of family separation; living with relatives, siblings; and friends rather than primary caretakers during the separation; receiving less support from family and peer after migration; and a lower degree of cultural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Drawing up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